보건의료/의약품 QbD 이해

Product Understanding | QTPP와 CQA 선정 - CQA(주요 품질 특성)의 선정

곰뚱 2020. 4. 15.

 

 

 

CQA(주요 품질 특성)

 

원하는 제품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 적절한 한도, 범위, 분포 이내에 있어야 하는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미생물학적 특성

-ICH Q8(R2)

 

TIP
 
 

환자와 임상 관점인 QTPP와 달리 CQA는 의약품 개발자의 관점에서 중요한 품질 특성을 의미함
QTPP 항목들 중 제제(Formulation)나 공정 변수에 의해서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품질 항목

 

 

CQA의 선정 절차

 

 

1. 잠재 QA 도출

모든 의약품 품질 특성을 도출

물리적 특성, 확인, 함량, 함량균일성, 분해산물

잔류용매, 수분, 미생물한도 등

 

2. Criticality 평가

환자에게 끼치는 해의 심각성 평가

QA(Quality Attribute, 품질 특성) 요구사항을

충족시키지 못했을 때 안정성과 유효성의 측면

 

3. CQA 선정

위험 관리를 고려하기 전 평가해서 선정

관리가 잘 된다고 해서 심각성이 낮은 것이 아님

 

 

제네릭 의약품의 CQA 작성 사례

1. 경구 투여 정제

 

 

완제의약품 품질 특성

목표

CQA 여부

설정 근거

 

 물리적 특성

성상

백색의 나정

아니요

육안으로 확인 가능

 냄새

냄새 없음

아니요

원료의약품 및 첨가제는 냄새가 없으며

제조 공정 또한 오염 우려 없음

분할선 형태

없음

아니요

-

마손도

 1.0% 이하

아니요

공정 시험 항목으로 관리되며,

1% 이하의 질량 손실은 함량에 영향을 주지 않음

 

확인

주성분 확인

안전성·유효성 확보에 필수

 함량

표시량 100%

치료 효과 이상 반응의 중요 요소이며, 제조 과정에서 관리되는 항목

함량균일성

대한민국약전

기준에 적합

안전성·유효성 확보에 필수

용출

30분에 80%

이상 용출

생체이용률과 관련되는 항목

 

 분해산물

A 0.1%

 

ICH Q3B

제조 공정 사용기간 동안 의약품 품질 관리 항목

B 0.2%

총 불순물 1.0%

잔류용매

ICH Q3C에 따름

아니오

제조 공정 중에 유기용매 사용 없음

수분

4.0% 이하

아니오

수분 증가는 분해산물 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미생물한도

공정서 기준 적합

아니오

원료유래 미생물오염의 우려가 적고, 건식 제조 공정 사용

728x90

 

 

바이오 의약품의 CQA 선정

 

바이오 의약품의 CQA도 합성의약품과 같은 절차로 선정  

 

1. Criticality 분석을 위한 도구

1) FMEA(Failure Modes & Effects Analysis)

 

2) FMECA(Failure Modes, Effects and Criticality Analysis) : 고장 모드, 효과 및 임계 분석

 프로세스의 잠재적 위험 요소 규명하고 제품 성능에 미치는 영향 평가하는 도구

 제품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중요한 위험 요소, 위험을 야기하는 요인 및 영향을 파악하는 데 활용

 결과의 심각도, 발생 가능성  검출 가능성 조사

- 위험의 우선 순위를 정함

- 위험 통제 활동의 효과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

 FMEA의 결과에 중요성 분석을 추가해 분석하는 도구

 제약 산업에서 주로 제조 공정과 관련된 실패 및 위험 평가 위험 순위 평가에 활용

 FMECA의 결과물은 각 위험 모드에 대한 상대적 위험 점수

- 상대적 위험을 기준으로 위험 요소의 순위를 매김

 

3) FTA(Fault Tree Analysis) : 오류 트리 분석

 제품 또는 프로세스의 기능 실패에 대해  번에 하나씩 인과 관계를 식별한 후, 이들을 결합하여 트리 구조 표시하는 방법

 트리의  레벨에서 실패 모드의 조합 AND, OR 등의 논리 연산자 설명

 실패의 근본 원인 대한 경로를 파악하여 여러 요소가 주어진 문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평가하는 효과적인 도구

 실패 원인 요소의 개선이 다른 문제를 발생시키지 않고 해당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확인

 

4) HACCP(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s)

 제품 품질, 신뢰성  안전성 보장하기 위한 체계적·예방적인 도구

 제품의 설계, 개발, 생산  사용 중에 발생하는 위험 요소와 영향 분석, 평가, 방지, 제어하는 과학적·체계적 방식

 7단계로 구성됨

- 유해성 분석 실시하고 공정의 각 단계에 대한 예방 조치 확인

- 임계점 결정

- 임계치 설정

- 감시 시스템 수립

- 모니터링의 중요 통제점이 제어 상태가 아님 나타낼  수행할 시정 조치 수립

- HACCP 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작동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시스템 수립

- 기록 보관 시스템 수립

 물리적·화학적·생물학적 위험과 관련된 위험 식별하고 관리하는  사용

 중요 통제점을 식별할 정도로 제품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가 충분할  가장 유용

 HACCP 분석 결과를 활용하여 제조 프로세스뿐만 아니라 전체 라이프 사이클 단계도 쉽게 모니터링

 

5) HAZOP(Hazard Operability Analysis)

 위험 상황이 의도된 설계 또는 작동으로부터의 편차에 기인한다고 가정하여 만들어진 도구

 ‘Guide-word’를 사용하여 위험을 식별하는 체계적인 브레인 스토밍 기법

- Guide-word : No, More, Other Than, Part of 등의 단어

 업스트림 공급 업체,장비  시설뿐만 아니라 제조 프로세스 전체 적용

 HAZOP 분석 결과는 리스크 관리 운영 목록으로 제조 프로세스의 중요 포인트를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음

 

6) PHA(Preliminary Hazard Analysis)

 사전 경험을 바탕으로 미래의 위험 요소 식별하고 발생 확률 분석

 광범위한 기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기존 시스템 분석  위험의 우선 순위 정하는 경우 유용

 설계 세부 사항이나 운영 절차에 대한 정보가 거의 없는 프로젝트 개발 초기 사용

 PHA 구성 요소

- 위험 이벤트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의 확인

- 발생할  있는 상해 또는 손상의 정도 대한 정성적 평가

- 심각성과 발생도를 조합한 위험도의 상대적 순위 가능한 조치 방법 확인

 

7) RRF(Risk Ranking and Filtering) : 바이오 의약품의 경우 주로 RRF를 사용함

위험을 비교하고 순위를 매기는 도구

다양한 양적, 질적 요소들에 대한 평가 점수를 하나의 상대 위험 점수로 통합하여

위험도 순위 지정

커트라인 개념인 ‘필터’ 사용하여 위험 순위를 관리 또는 조정

제조 현장의 우선 순위를 정함

위험 요소 또는 결과가 다양하여 한가지 도구로

비교하기 어려운 경우 유용

동일 조직 프레임 워크 내에서 정량적으로 평가 위험과 정성적으로 평가 위험을 모두 평가할  유용

 

 

 

RRF(위험 순위 매김)

 

Criticality Score = Impact X Uncertainty

 

1. Impact(영향도)

Efficacy, PK/PD, Immunogenicity, Safety의 4가지 항목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평가

 

2. Uncertainty(불확실도)

Impact 판단을 위해 사용한 정보의 출처를 평가

 

3. Score 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면 CQA로 판정, 기준값 이하이면 Non-CQA로 판정

 

4. 일반적으로 기준값은 20(A-Mab Case 참조)         

 

Impact 평가 기준 예: A-Mab Case

Impact

(Score)

Biological Activity

or Efficacya

PK/PDa

Immunogenicity

Safety

Very High

(20)

Very significant

change

Significant change on PK

ATA detected and confers

limits on safety

Irreversible AEs

High (16)

Significant change

Moderate change

with impact on PD

ATA detected and confers

limits on efficacy

Reversible AEs

Moderate

(12)

Moderate change

Moderate change with no impact on PD

ATA detected with in vivo

effect that can be managed

Manageable AEs

Low (4)

 Acceptable

change

Acceptable change

with no impact on PD

 ATA detected with minimal

in vivo effect

Minor, transient AEs

None (2)

 No change

No impact on PK or PD

ATA not detected or ATA detected with no relevant in vivo effect

No AEs

 

Uncertainty 평가 기준 예: A-Mab Case

Uncertainty

(Score)

Description

(Variants and Host Related Impurities)

Description (Process Raw Material) a

7(Very High)

No information (new variant)

No information

(new impurity)

5(High)

Published external literature for variant in related molecule.

---

3(Moderate)

Nonclinical or in vitro data with this molecule.

Data (nonclinical, in vitro or clinical) from a similar class of molecule.

Component used in previous processes

2(Low)

Variant has been present in material used in clinical trials.

---

1(Very Low)

Impact of specific variant established in Clinical Studies with this molecule.

GRAS or studied in clinical trials

GRAS = generally regarded as safe

a Assesses the impact of a raw material as an impurity. Impact of the raw material on the product during manufacturing is assessed during process development.

 

CQA Criticality 평가 사례 : A-Mab Case

Tool #1 (Impact × Uncertainty)

Attribute

Efficacy

PK/PD

Immunogenicity

Safety

Risk Score

Galactose Content

16 × 3 = 48

2 × 5 = 10

2 × 5 = 10

2 × 5 = 10

48

Risk Score : 4개 항목 평가 점수 중 최대값인 48점

Risk Score 값이 20을 초과하므로 CQA로 판정

 

 

CQA-AC(Acceptance Criteria, 허용 기준) 설정

TIP
 
 

의약품의 안정성과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CQA가 만족해야 하는 허용 범위
CPP(주요 공정 인자) 허용 범위 설정에 필요
→ 개발 초기, 정보 부족으로 인해 임시로 설정 후, Process Characterization 단계 이전에 확정

 

 

1. AC 설정방법

1) 사전 지식(Prior Knowledge) : 관련 문헌, 타사/자사 유사 제품

2) In-vitro 연구 결과

3) 비임상 연구 결과

4) 임상 연구 결과와 상업 생산 데이터 등 활용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