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법적정을 이용하여 수돗물(또는 해수) 중의 염화물 이온의 함유량을 구할 수 있다.
침전
1. 침전 반응
NaCl이나 와 같이 이온으로 된 화합물의 수용액이 섞이면 물에 잘 녹지 않는 성질을 가진 물질이 생길 때가 있는데, 이러한 반응을 침전 반응이라 한다.
2. 침전적정(precipitation titration)
적물질과 작용하여 정량적으로 침전을 생성하는 물질의 용액을 표준액으로 사용하는 용량분석의 방법이다. 표준액중의 성분, 즉 침전제는 목적물질이 존재할 때는 침전에 소비되는 데 당량점에 달하면 용액중의 농도가 급속히 상승한다. 이러한 점을 침전제로 반응하는 지시약, 전기적 방법 등으로 인식하면 목적물질의 정량분석이 가능하다. 이밖에 목적물질과 착이온을 형성하고 당량점에 달했을 때 침전이 생기기 시작한다. 와 과의 반응같은 경우도 여기서 함께 고려한다.
실험 방법
1. 0.01M AgNO3표준화
➀ NaCl 0.01~0.02g 칭량하여 삼각플라스크에 넣고 증류수 10 ㎖를 첨가하여 녹인다.
➁ 갈색뷰렛에 0.01M AgNO3용액을 채운다.
➂ 삼각플라스크에 5% K2CrO4지시약을 1 ㎖ 정도 넣는다.
➃ 0.01M AgNO3용액으로 적정한다.(황백색 혼탁액 → 적갈색)
➄ 위 과정을 3회 반복한다.
2. 미지시료 분석
➀ 시료(수돗물, 정수기, 연못물) 100 ㎖를 피펫으로 300 ㎖에 삼각플라스크에 취한다.
➁ 시료에 5% K2CrO4지시약 1 ㎖를 넣는다.
➂ 지시약을 첨가한 용액에 0.01M AgNO3표준용액으로 적정한다.
➃ 황백색 혼탁액에서 적갈색으로 색이 변화되어 약 10초간 유지되면 적정을 중지한다. 15초 정도 흔들어도 적갈색이 유지되면 종말점에 도달 한 것이다.
➄ 소비된 0.01M AgNO3표준용액의 부피를 기록한다.
➅ 3회 이상 반복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