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광학실험 | Spatial Frequency Filtering(공간주파수) 공간 주파수공간 주파수란 어떠한 패턴의 모양이 단위 길이당 얼마나 많이 반복 되는가를 나타내는 수이다. 일반적인 주파수를 F=1/T (T : 시간주기) 로서 단위를 S-1라고 한다면 공간 주파수 F'=1/λ (λ : 공간주기) 로 나타낼 수 있으며, m-1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임의의 상을 공간좌표 평면에서 공간주파수 평면으로 바꾸어 주는 것을 Fourier Transform이라 하고, 역으로 공간주파수 평면에서 공간좌표로 바꾸어 주는 것을 Inverse Fourier Transform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어떠한 물체의 상이 렌즈를 지나면서 Fourier Transform 이 일어나며, 그 이미지가 다시 같은 렌즈를 한번 더 거치면 Inverse Fourier Transform이 일어나 원래의 .. Engineering/그외 공학 2024. 5. 28. 전기화학실험 | 분극시험 - 분극곡선 TIP 분극(electrochemical polarization)과 부식전위의 개념을 알고 분극곡선을 통하여 부식반응을 이해하고 금속의 부식정도를 비교할 수 있다. 분극물질마다 분극 되는 정도는 가해진 전기장(E) 세기에 비례하며, 비례상수를 전기감수율(electric susceptibility)라 한다. 전기장 내에 물체를 위치해 놓으면 도체인 경우는 자유전자들이 물체 내에서 움직여 정전기 유도현상을 나타난다. 하지만 유전체인 경우는 두 가지 방법으로 분극된다. 첫째는 영구쌍극자이다. 분자같이 작은 범위에서 (+)전기를 띤 부분과 (-)전기를 갖는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을 전기쌍극자라 한다. 보통의 경우 영구쌍극자의 방향은 열에너지에 의해 일정치 않아 물체가 전기를 띠지 않게 된다. 하지만 .. Engineering/그외 공학 2024. 4. 25. 전기화학실험 | 분극실험을 통해 분극곡선 측정 TIP 전기화학적 분극실험에 대해 알고 평형전극전위로부터 전위 Shift가 일어나는 분극현상과 부식전위의 개념을 알고 분극곡선을 통해 부식반응을 이해한다. 정전위법과 동전위법 전위를 일정시간 유지시킨 후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정전위법, 일정 스캔속도로 전위를 변화시키면서 전류를 측정하는 것이 동전위법이다. 동전위법의 장점이라면 빠른 시간 내에 분극곡선을 얻을 수 있어, 전체 전위범위에 따른 재료의 분극거동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비해서, 정전위법은 일정 시간 전위를 유지시키고, 전류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시간이 매우 소요되는 특징이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편을 마운팅 한다. 2) 시편을 폴리싱 하여 산화된 표면을 제거한다. 3) NaCl(1M), KCl 과포화 용액(4%.. Engineering/그외 공학 2024. 4. 22. 수리학실험 | 삼각과 사각 Weir 수공학에 있어서 위어는 하천이나 기타 개수로 내에서의 흐름을 조절하는 데 흔히 사용되며 위어의 상류수의와 위어를 통해 유하하는 유량 간에는 독특한 관계가 통상 성립되므로 위어 상류의 수위만을 측정함으로써 유량을 산정할 수 있어 유량측정장치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개수로 흐름의 유량측정은 소규모 수로의 경우에는 체적 측정법 또는 중량 측정법등의 직접 측정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유량이 커지면 각종 위어(weir)나 계측수로등의 간접적인 측정방법을 사용한다. 본 실험에서는 삼각위어에서의 월류수심을 측정하여 유량계수를 산출하고 실험식에 의해 구해진 계산유량과 위어의 정부를 월류하는 실제유량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여기서 유량계수란 수로에서 처음의 유량과 나중의 유량이 같아야 함에도 불구하고 손실에 의해서 유량.. Engineering/그외 공학 2023. 9. 22. 응용공학실험 | 공기-연료비 변화에 따른 화염형상 및 온도측정 TIP 열전대, 광고온계를 이용하여 화염의 각각 위치에 대하여 공연비 (A/F ratio), 높이(H) 를 변화시키면서 화염의 형상과 온도를 측정하고 각 부분의 온도 변화를 비교한다. 비교한 실험결과에 따른 화염특징을 규명한다. 실험 배경 Fahrenheit가 1706년에 수은 봉입형 유리 온도계를 제작 하였으며, 1821년에 Seeback에 의하여 열전효과가 발표되었다. 1900년경 Flank에 의하여 제안된 복사법칙을 이용한 복사 온도계는 현재 전자기술발달로 인해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1942년에는 Celsius가 얼음이 녹는 온도를 0, 끓는 온도를 100으로 하자는 제안을 하여 현재 섭씨온도 개념을 만들었으며, 최근에는 광학과 미소제작기술의 발달로 인해 Coheren Anti-Stoke Rama.. Engineering/그외 공학 2023. 9. 19. 탄도실험 | 강내탄도 TIP 1. 추진제의 연소로 인해서 발생하는 강내의 약실, 탄두, 총구에서의 압력을 측정하여 압력-시간, 속도-시간, 압력-거리, 속도-거리 등의 그래프를 도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행해지는 실험이다. 2. 이를 통해서 추진가스가 탄자에 미치는 영향과 화기의 기본 원리인 탄도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한다. 또한 구해진 값을 통해서 탄도효율, 피에조 효율을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실험 준비 단계에서 실험실 내의 장비(총열, 압력센서, 적외선 스크린, 등) 상태를 확인한다. 2) 미리 준비해둔 총열에 천공된 탄을 장전한다. 3) 탄을 격발한다. 4) 사격 결과를 확인한다.(압력 센서를 통해 압력 곡선을 확인하고, 스크린을 통해서 총구속도를 확인한다) 5) 결과 분석(압력-시간 그래.. Engineering/그외 공학 2023. 1. 10. 화학야금실험 | 아연분말 및 아연잉곳 제조 TIP 산화아연을 전기로를 통해 환원시켜 아연 분말을 얻어 아연을 회수한다. 이후 사용되기 힘든 분말상태의 아연을 고주파 용융장치를 통해 Ingot 형태로 만들어준다. 철강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에서 발생하는제강분진은 아연, 철, 구리 등 많은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어, 현재 지정폐기물로 지정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제강 분진은 철 생산량의 약 1 ~ 1.5%가 발생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2013년 기준 약 40만 톤 정도가 발생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단순 매립하여 왔으나, 토양 및 지하수 오염에 대한 우려 증가 및 기술 발전에 따라 점차 재활용 비중이 증가하고 있으며, 2013년 기준 매립 30.1%, 재활용 65.3%, 기타 1.9%, 보관 2.7%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분진에는 아연, 철,..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12. 19. 선박해양공학실험 | 선박의 파형계측 6 자유도 운동 선체가 항주하게 될때 선체의 운동은 x축, y축, z축 의 직교좌표계에서 운동을 하게되고 힘을 받게 된다. 이러한 운동에서는 병진운동과 회전운동을 병진운동은 어떠한 축에 대하여 평행이동을 하는 운동을 말하고 회전운동은 어떠한 축에 대하여 회전이동을 하게 되는 운동을 말하게 되는데 이는 6개의 운동방향으로 분류하게 된다. 1. 병진운동에서 전후요(Surge) : 전후축(x), 앞뒤 왕복운동 좌우요(Sway) : 수평축 (y), 좌우 왕복운동 상하요(Heave) : 상하축(z), 위아래 왕복운동 2. 회전운동에서 횡요(Roll) : 유동방향(x)에 대한 모멘트 선수요(Yaw) : 양력방향(z)에 대한 모멘트 종요(Pitch) : 측력방향(y)에 대한 모멘트 이러한 선체의 6자유도 운동에 의해..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12. 19. 열역학실험 | 액체-증기평형 TIP 함께 끓는 혼합물의 온도-조성 기액평형도를 결정하는데 있다. 실험 방법 1. 굴절률-조성 곡선의 작성 1) Table 2을 참조하여 7가지 sample을 시험관에 준비. Sample No. Sample의 조성 1 Pure MeOH 2 MeOH 5㎖ + 벤젠 1㎖ 3 MeOH 4㎖ + 벤젠 2㎖ 4 MeOH 3㎖ + 벤젠 3㎖ 5 MeOH 2㎖ + 벤젠 4㎖ 6 MeOH 1㎖ + 벤젠 5㎖ 7 Pure 벤젠 Table 2. 시료 sample 2) 각 Sample의 굴절률 측정 3) MeOH와 벤젠의 밀도를 찾아 혼합물에 들어 있는 각 성분의 몰수와 몰분율 계산 4) 굴절률-몰분율 graph를 그리고, “최적곡선”구함 2. 굴절률 측정 1) Table 2에 나와있는 sample 7개를 제조한다. 2)..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12. 10. 응용공학실험 | 외팔보의 진동모드 및 공진 TIP 외팔보는 항공기 날개, 로봇 팔, 우주 구조물 등과 같은 많은 시스템의 기본이 되는 구조물이다. 이러한 외팔보의 진동실험을 통하여 진동현상(고유진동수 및 진동모드)에 대한 이해와 실험 모드해석 개념을 습득하고 이론적 진동해석 결과와 비교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특정주파수(고유진동수)에서의 공진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진동저감 기술의 개념을 정립하고자 한다. 구조물에서 하중을 담당하는 1차원 부재의 대부분은 보이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보의 형태는 외팔보이다. 외팔보는 한쪽 끝은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자유로운 보이며 고정단에 발생하는 모멘트와 전단력을 통해 하중을 지지한다. 항공기의 날개나 탱크의 포신 등 많은 구조물을 외팔보로 모델링할 수 있다. 하중을 받는 외팔보의 진동은 필..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9. 18. 화장품원료시험법 | 산가 측정법 TIP 1. 산가의 정의를 이해하고 시험법을 익혀 시료의 산가를 측정하여 지방산의 종류를 알아보고, 유지의 화장품 원료로의 사용 적합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2. HCl과 KOH 용액은 일차 표준시약으로 표준화(농도결정) 해야 한다. 화장품 원료기준의 일반시험법 내용 1. 정의 : 검체 1g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수산화칼륨의 ㎎수 2. 측정대상 : 지방산 및 수지산의 정량, 또는 천연유지, 고급알코올, 계면활정제 중에 함유된 유리산의 양을 측정 3. 원료 특징, 제조공정, 경시변화 등에 따라 산가가 달라진다. 유통과정, 보관조건에 따라 유리지방산의 함량이 증가도거나 또는 변패될 경우 산가가 증가한다. 4. 산가측정법의 의해 물이 발생하므로 산가가 낮은 경우 0.1N 수산화칼륨액을 사용하는 제 1법을 사용..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7. 25. 유공압기초실습 | 전기공압 기초회로 - 주회로 최소신호 TIP 신호 중복을 억제하는 주회로 차단법과 최대신호 차단법을 이해하고 공식과 회로도를 그리고 또 체크백신호표를 만들어 전기 시퀀스 회로도를 알 수 있다. 또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해하고 고친다. 전기회로 일반 지식 1. 전기회로 : 제어요소(스위치)가 전류를 통전 혹은 차단함으로써 제어대상(부하, 램프)을 원하는 상태로 만든다. 2. 스위치 : 조작부+접점부 3. 조작부는 : 자동복귀형(push button), 수동복귀형(toggle,select), 잔류접점형 4. 접점부 : conact, aker, a접점, b접점, c접점 실험 방법 실험 1. 주회로 차단법(A+ B+ B- A-) 1. 주회로 차단법 공식 편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할 경우 릴레이가 ON되는 조건식 첫 릴레이가 ON되는 조건식 : R=1(S..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6. 19. 나노화학실험 | Firefly Reaction TIP 유기실험 기술을 배양하고 루미놀을 합성해본다. 화학발광 원자 또는 분자가 화학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에너지에 의해 들떠서 빛을 내는 현상이다. 대부분 열을 수반하지 않는 냉광으로 광화학 반응의 역이라고 여겨진다. 루미놀의 강알칼리성 용액을 과산화수소 등으로 산화시키면 낮에도 보일 정도로 밝은 청자색 빛이 발광된다. 이 성질을 이용해 과산화수소를 발생하는 효소 반응에서 효소의 기질 정량이나 효수검출을 할 수 있게 한다. 발광원리 본 실험에서 루미놀이 산화되어 triplet상태를 갖는 들뜬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주변에 비복사적 과정으로 에너지 준위가 감소하다가 더 이상 주변에 에너지를 전달할 수 없을 때 계간전이를 통해서 삼중항 상태가 안정한 단일항 상태로 전환되며 빛을 주변에 방출해 Ground..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6. 13. 기초광학실험 | 프리즘 TIP 프리즘이 어떻게 흰색 빛(백색광)을 각 구성 색으로 분리하는지를 관찰하고, 서로 다른 색깔을 서로 다른 각도로 프리즘에 굴절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이해 할수 있다. 햇빛이나 전등의 빛이 여러 가지 단색광으로 나누어지는 현상을 빛의 분산이라고 한다.대표적으로 빛을 분산시키는 광학 장치 에는 프리즘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백색광이 어떻게 여러 가지 단색광으로 분리시키는지 관찰한다. 파장이 긴 빨간색 광선은 파장이 짧은 보라색 광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이 적게 된다는 것을 알수 있고,그 이유에 대해서 이해 할수 있는 실험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광선 상자 모드의 광원을 흰 종이 위에 놓고, 바퀴를 돌려 흰색 단일 광선을 선택한다. 2) 트라페조이드를 아래 그림과 같이 ..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4. 4. 안전공학실험 | 분진 폭발 TIP 미분말상 고체의 분진폭발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나타내는 가연성 분진의 위험성을 조사할수 있다 분진 폭발 지름이 1,000μm 보다 작은 입자는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분체라고 부른다. 그 중 75μm이하의 고체입자로서 공기 중에 떠 있는 분체를 분진이라 부른다. 이들은 항상 우리의 생활주변이나 생산공정 중에 존재하고 있으며 대단히 입자가 작아서 대략 직경이 10-5cm 이하로 되면 aerosol로 공기 중에 분산하여 현탁상태 가는 고체 입자가 분산하고 있는 상태이다. 공기 중에 떠도는 농도 짙은 분진이 에너지를 받아 열과 압력을 발생하면서 갑자기 연소·폭발하는 현상이다. 먼지폭발·분체폭발이라고도 한다. 석탄가루에 의한 탄진폭발이 잘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 밀가루·설탕·철가루·플라스틱 가루·폴리에틸..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4. 4. 기초광학실험 | 평면 연마 TIP 렌즈의 평면 연마 이론을 이해하고 평면연마 과정을 실험을 통하여 습득하며 렌즈의 평면 연마를 할 수 있다. 우리는 평면 연마 중에서 SMOOTHING에 중점을 두어 실험을 한다. 렌즈의 연마방법은 크게 렌즈를 피치를 연마판에 붙여서 연마하는 방법(현장에서는 오스카식 연마라 부르고 있다.), 리세스툴(recess tool)을 써서 연마하는 방법, 고속 연마기를 이용하여 렌즈를 한 개씩 연마하는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 렌즈를 피치로 연마 판에 붙여서 연마하는 방법이 가장 많은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방법은 다른 방법에 의한 연마 작업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공정을 포함되고 있으므로 이 방법을 중심으로 렌즈연마의 대략적인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자. 실험 방법 1. 재료 수령 실..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3. 30. 기초광학실험 | 프리즘 분광기 TIP 프리즘을 이용한 분광을 확인하고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프리즘의 굴절률을 측정한다. 프리즘(Prism) 분광기는 전자기파를 파장에 따라 분산시켜 카메라를 사용하여 분산된 신호를 기록하는 장치이다. 빛을 분산시키는 주요 방법에는 프리즘이나 회절격자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빛을 분산하는 가장 단순한 방법은 프리즘을 이용하는 것인데, 프리즘은 빛의 분산이나 굴절 등을 일으키기 위해 유리나 수정으로 만들어진 기둥 모양의 광학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삼각 기둥 모양이다. 프리즘광학적 평면을 2개 이상 가진 투명체로서 적어도 한 쌍의 면은 평행이 아닌 것으로 소재로 보통은 광학적 유리를 쓰는데, 자외선 ·적외선에 대해서는 유리 대신 수정·암염(岩鹽) 등이 쓰인다.빛을 굴절시킬 수 있는 광학적 평면을 ..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3. 29. 응용공학실험 | 금속 재료의 미세 변위 측정 TIP 빛의 간섭 현상에 대해 이해하고, 마이켈슨 간섭계를 이용하여 관찰한 간섭무늬의 변화를 바탕으로 금속 재료의 미세 변위를 측정한다. 이를 통해 금속 재료의 열팽창계수를 측정함으로써 간섭계를 이용한 재료의 미세 변위 측정 원리를 이해한다. 재료의 공차와 미세 변위 측정과의 연관성 재료의 공차, 또는 치수공차란 최대 허용 치수와 최소 허용 치수와의 차를 말한다. 치수공차가 중요한 이유는 아무리 도면을 따라 제품을 제작한다 하더라도 모든 제품을 완벽하게 도면에 따라 만들 수 없다. 그에 따라서 오차가 생기기 마련인데 제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도면과의 미세 변위를 측정할 수 있다면 제품이 갖고 있는 치수공차를 최소한으로 줄일 수 있을 것이고 그에 따라서 제품의 완성도가 더욱더 높아질 것이다. 최근에는 치수공..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3. 24.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