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세포 분열 관찰 - 유사분열 TIP 현미경을 이용하여 유사분열을 관찰하고 특징을 알아본다. 유사분열유사분열 (또는 체세포분열)은 복제된 염색체가 두 개의 새로운 핵으로 분리 될 때의 세포주기를 말한다. 세포주기중 간기에서 세포성장과 DNA가 복제가 진행된 후에 유사분열이 개시되며, 전기, 중기, 후기 말기 등의 과정으로 핵분열이 이어지고, 세포질과 세포소기관들이 세포막으로 분리되어 두 개의 새로운 세포로 나뉘는 세포질분열을 동반한다.1) 식물의 유사분열은 동물세포와 동일한 핵분열 과정을 거치지만, 세포질 분열에서 골지체에서 떨어져 나온 셀룰로스 소낭들이 세포중앙에 배열하고 융합하여 세포판이라는 구조를 형성하고 성장하여 세포벽이 만들어져서 최종적으로 세포질 분열이 일어난다. 이와 같이 유사분열은 모세포를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4. 5. 31. 일반생물학실험 | 동물세포의 유사분열 염색체 관찰 TIP 두 가지 방법을 통해 동물세포의 유사분열 염색체를 관찰할 수 있다. 실험 방법1. Preparation of Mouse Metaphase Chromosomes1) 배양된 B16F10의 media에 colchicine(10㎎/㎖)을 4㎍/㎖이 되도록 첨가한다. ⇒ ( Total medium 10㎖에 4㎕) 2) 2시간 동안 37℃ incubator에서 배양한다. 3) Media를 제거하고 1X PBS 5㎖로 washing한 후 0.5% Trypsin-EDTA를 1㎖ 처리한다. 4) 3∼5분간 37℃에 둔 후 media(+FBS) 4㎖을 넣고 pipetting하여 cell을 50㎖ conical tube로 옮겨준다. 5) 상온의800rpm에서 3분간 원심 분리한다. 6) Media을 제..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4. 5. 17. 일반물리학실험 | 자외 및 가시분광광도계 원자 및 분자 스펙트럼모든 원자 및 분자는 전자기 복사선을 흡수하는 고유한 특정 주파수를 가진다. 원자 스펙트럼은 원자 내 전자가 일정한 에너지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이할 때 흡수 또는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말한다. 원자의 전자는 에너지를 흡수하며 들뜬 상태가 되고, 다시 빛을 방출하며 바닥 상태가 된다. 원자 내 전자의 전이는 원자의 전자 궤도의 에너지 준위 변화로 인해 일어나는데, 원자 내에서는 에너지가 양자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전이 시에 구할 수 있는 에너지는 불연속적이다. 또 각 원자는 고유한 전자 궤도의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스펙트럼을 가진다. 분자 스펙트럼은 분자의 에너지 준위 사이에서 전이가 일어날 때 관찰되는 빛의 스펙트럼이다. 분자의 에너지 준위는 전자의 상태.. Engineering/물리학 2024. 3. 14. 일반생물학실험 | 삼투와 물질이동 실험 개요 달팽이가 소금과 만나면 달팽이는 거품을 일으키다 점점 쪼그라든다. 이때 거품이 나는 이유는 달팽이가 일종의 자기 보호를 하는 것이지만 결국 달팽이는 말라 비틀어져 죽는다. 이 현상은 농도가 낮은 물질의 수분이 농도가 높은 물질로 이동하는 삼투압의 원리 때문이다. 달팽이는 자신의 몸체의 농도가 소금보다 낮기 때문에 투과성이 좋은 얇은 피부를 통해 몸체의 수분이 소금으로 이동되어 자신은 말라 비틀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물질 이동은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 둘 다 일어날 수 있다. 세포에는 선택적 투과성을 띠는 세포막이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입자가 큰 아미노산이나 화학 물질은 통과할 수 없지만 입자가 작은 물은 통과할 수 있고 이런 원리를 통해 물은 두 물질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삼..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11. 9. 일반생물학실험 | 적혈구 채취 및 세포 크기 분석 (어류의 혈구 관찰) TIP 1. 현미경을 이용하여 어류의 혈구 세포를 관찰한다. 2. 관찰을 통해 혈구의 구성성분에 대해 알아본다 세포 관찰 시 사용되는 염색액의 종류와 기능 염색액의 종류 기 능 아세트산 카민 염색체를 붉게 염색한다. 에오신액 산성 색소로서 세포질 염색제이다. 세포 내 단백질의 결정, 호분립, 입균, 조류, 동물 조직들을 붉게 염색한다. 메틸렌블루염색약 동물세포의 핵을 푸르게 염색한다. 염기성 푸크신액 염기성 색소로서 핵, 원형질, 목화된 세포막, 세균, 배낭 등을 붉게 염색한다. 산성 푸크신액 원형질(적색), 원생동물, 신경세포 염색한다. 라이트 염색액 과립구의 모든 과립을 명료하게 염색해 내는 장점이 있으나, 때로 너무 강하게 염색되는 경우가 있다. 핵의 염색성은 약간 나쁘다. 비스마르크 브라운액 염기..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3. 3. 일반생물학실험 | 동, 식물 세포의 관찰 TIP 1. 동물 세포와 식물 세포의 구조와 특징을 이해하고 기능적인 차이점에 대해 알아본다. 2. 접안 마이크로미터와 대물 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을 익혀 현미경으로 세포 크기를 측정한다. 세포 크기 측정 1. 마이크로미터의 종류 및 특징 ① 접안마이크로미터 : 눈금이 새겨진 둥근 유리으로 접안렌즈에 부착하여 사용한다. 접안마이크로미터 한 눈금의 길이는 고정된 값이 아니라 사용하는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라 달라진다. (대물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하여 접안마이크로미터의 한 눈금 길이를 측정하고 사용한다.) ② 대물마이크로미터 : 눈금이 새겨져 있는 평평한 판으로, 대물대 위에 올려 사용한다. 눈금의 간격은 1㎜를 100등분한 10㎛로 고정되어 있다. (접안마이크로미터의 한 눈금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한다.) 실험 방..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2. 27.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의 구조 및 원리 사용방법 TIP 현미경의 구조와 원리를 이해하고 조작법을 익힌다. 현미경의 구조 1. 기능 ① 접안렌즈 : 2개의 렌즈로 구성. 현미경의 맨 위쪽에 있으며 눈을 대고 물체의 상을 관찰하는 렌즈로, 배율이 좋을수록 렌즈의 길이가 짧다. 재물렌즈에 의해 상을 다시 확대한 상으로 만들어 눈에 보내는 렌즈로서 그 중간에 원형 구멍이 있는 금속판(시야조리개)이 있는데, 대물렌즈를 통과한 빛은 이면 위에 제1차상을 맺게 된다. ② 대물렌즈 : 경통의 하단에 붙어있고 물체의 상을 1차로 확대하고 물체를 확대나 축소의 기능을 조절하여 성능을 결정하는 장치이고 관찰하는 물체에 접하는 렌즈이다. 재물대 바로위에 있고 프레파라트를 향하고 있으며 길이가 길수록 배율이 높다. 보통3∼4개의 렌즉 복합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회전..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2. 23.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 사용법과 세포 관찰 TIP 1. 식물세포인 양파 표피세포와 공변세포 그리고 를 관찰하여 세포의 기본적인 형태를 이해함과 더불어 세포염색의 원리를 이해한다. 2. 현미경의 대안, 대물마이크로미터의 사용법을 익히고 마이크로미터를 사용하여 세포의 크기를 측정하는 방법을 숙지한다. 세포 관찰 1. 세포 고정 생물 시료 또는 표본에 인위적인 조작을 하여 그 상태를 가능한 보존하여 변화하지 않도록 유지하는 처리법. 이후 염색을 할 경우엔 염색 결과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합한 고정법을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주로 탄수화물, 단백질, 지질 등 세포의 기초물질로 구성된 표본을 이용하여 그 조직의 구조를 원래의 생체와 거의 동일하게 보존하는 과정이다. 2. 세포의 핵이 염색되는 방법 세포는 핵막이 있어 세포질과 핵이 서로 구분되어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2. 15. 동물생리학실험 |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관찰 TIP 1. 현미경으로 입 안의 상피세포와 양파의 표피세포를 관찰함으로써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2. 염색의 원리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세포(cell) 모든 동·식물의 생체구조의 기본단위. 영국의 후크(Hook)에 의해서 처음 기재되었다. 유전자인 DNA를 포함하는 핵과 각종 세포소기관이 존재하는 세포질로 구성된다. 양자를 합쳐서 원형질이라고 하며, 이것은 세포막에 의해서 외계와 경계된다. 식물세포에서는 다시 가장 바깥을 세포벽이 둘러싸고 있다. 생물은 단일세포로 구성되는지 다수의 세포로 구성되는지에 따라 단세포생물, 다세포생물로 분류된다. 또한, DNA가 핵막에 둘러싸여 있는가의 여부에 따라 유핵세포, 무핵세포로 분류된다. 다세포생물에서는 생체 각 부분에서 기능적으로 .. 보건의료/의약학 2022. 12. 11. 생명과학실험 | 원생생물의 관찰 TIP 채집 수에 살고 있는 원생생물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김새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있는 환경에서 세균의 운동성을 이해한다. 원생생물이란 보통 1개의 핵을 가진 단세포생물로서 가장 원시적인 생물을 말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배를 형성하고, 조직분화가 나타나지 않고 파동모가 있는 경우에는 미소관이9+2구조로 배열되는 진핵생물을 원생생물이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다세포생물이어도 원생생물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짚신벌레, 볼복스, 아메바, 유글레나, 규조류 등이 있다. 짚신벌레는 몸 전체에 균일하게 섬모가 나있고, 섬모운동을 한다. 입의 뒤쪽부터 가로로 분열하여 증식하고 성숙하면 접합에 의한 유성생식을 한다. 암수 구분은 없지만 접합을 할 수 있는 상대가 유전적으로 정해져 있다. 세균류를 먹고..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2. 4. 5. 일반생물학실험 | 생명에 대한 탐험 - 생명의 다양성과 통일성 : 원생생물 관찰 TIP 생명의 다양성과 통일성에 대해 이해하기 위해 생명의 탐험에 필요한 현미경의 구조와 작동원리, 올바른 사용법에 대해 배우고 다양한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에 대해 배운다. 현미경은 육안으로 관찰하기 힘든 작은 물체를 확대하여 관찰하는 실험기구로 생물학에서는 필수 기기의 하나이다. 현미경은 배율과 해상력으로 성능이 구분되는데 배율이란 물체를 얼마나 확대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며, 해상력이란 확대된 상이 얼마나 뚜렷하게 구별되는가를 나타내는 척도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원생생물샘플 한 방울을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slide glass 위에 떨어뜨린다. 2) Cover glass를 덮고 저배율 → 고배율로 관찰한다. 3) 생물의 형태와 운동성을 관찰하여 스케치한다. 4) 마이크로미터를 이용해 원..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4. 5. 일반생물학실험 | 효모와 균류의 관찰 TIP 곰팡이의 현미경적인 구조를 관찰하고, 효모의 형태 및 생리적인 현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효모란, 균계에 속하는 단세포의 진핵미생물로, Ascomycota와 Basidiomycota 두 개의 문(phyla)에 분포되어있으며 약 1500여 종이 알려져 있다. 옛날에는 식물에 포함시켜 광합성을 하는 고등식물과 조류에 대하여 광합성을 하지 않는 하등식물을 총칭하였다. 현재는 체제, 생식법, 생화학적 특성 등에 의하여 근본적으로 식물과는 다른 한 계통적인 생물군으로 분류하고 있다. 균류는 어느 것에도 엽록소 등과 같은 동화색소가 없다. 따라서 고등식물처럼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지 못하므로 다른 생물체나 유기물에 붙어서 기생생활 또는 부생생활을 한다. 실험 방법 1. 효모 관찰하기 1) 슬라이드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12. 22. 일반생물학실험 | 균류의 분류 및 관찰 TIP 우리 주위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곰팡이의 현미경적인 구조를 관찰하고, 산업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되는 효모의 형태 및 생리적인 현상을 알아보자. 균류는 미생물계 중에서 고등미생물에 속하는 것으로 핵이 뚜렷한 모양을 하고 있어 하등미생물인 세균류와 구별된다. 일반적으로 곰팡이라고도 불리우는 이 미생물군은 엽록소를 지니지 않으며 조직의 분화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고등 식물에서 볼 수 있는 줄기, 잎, 뿌리와 같은 구조는 찾아 볼 수 없다. 균류는 진화적으로 조류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는 두 가지 생물군이 미분화 상태의 엽 상체 구조를 지니기 때문이다. 균류는 크게 곰팡이와 효모로 구분하는데 곰팡이는 다세포체로 이루어진 생물이고, 효모는 단세포 생물의 특성을 지닌다. 실험 방법 1. 효모와 아스퍼질러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9. 16. 일반생물학실험 | 발효균의 관찰 TIP 현미경의 구조 및 사용법을 익혀 생물학 실험의 원활한 진행을 할 수 있으며 막걸리 속의 효모를 관찰함으로써 주의 사항을 습득한다. 효모의 특성 효모는 곰팡이와 같은 진균류(fungi)에 속하지만 일반적인 곰팡이와 달리 균사를 만들지 않고 단세포로 되어 있고 증식은 주로 출아법(budding)에 의한다. 효모는 공기의 존재와 무관하게 자라는 통성 혐기성 미생물로서 알코올발효능이 강한 종류가 많아서 예부터 양조, 알코올제조 제빵 등에 이용되어 왔으며 균체는 식량 및 사료용의 당백질, 비타민, 핵산물질의 원료 등으로 이용되기도 한다. 때로는 된장, 간장, 맥주, 포도주, 청량음료, 꿀 등을 변질시키기도 한다. 세포 형태는 구형이나 타원형을 나타나는 것이 많지만 소시지(sausage)형와 레몬형 등 다양..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21. 일반생물학실험 | 흰점박이 꽃무지 유충의 혈장 관찰 - 동물세포관찰 TIP 흰점박이 꽃무지를 통해 동물의 혈장을 관찰하고, 관찰을 통해 동물세포의 특징에 대해 이해한다. 흰점박이 꽃무지 몸 길이는 17~22㎜이며 몸은 광택이 강한 녹갈색이나 구릿빛 또는 붉은빛을 띠는데 녹색, 남색, 흑남색, 흑자색 등의 변이도 있다. 후경절 안쪽의 털은 회갈색이며, 중흉돌기의 끝은 은행모양이고, 딱지날개의 끝은 뾰족하게 돌출하였다. 교미구는 가는 직선형이며, 내판은 좁고 긴데 끝에 둥글게 돌출한 부분이 있다. 한국, 일본, 러시아에 분포하며 성충은 한여름에 많이 활동한다. 참나무의 진액, 자두나무, 살구나무, 포도나무 등에 모이며 수박과 같은 과일에도 잘 모인다. 일반적으로 유충은 굼뱅이라고 불린다. 유충은 동의보감에도 기록되어있는 약재이다. 약재뿐만 아니라 식용으로도 사용되는데, 먹을..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7. 4.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 사용법 및 동물조직 관찰 TIP 1. 광학현미경의 각 부분의 명칭과 기능을 알아본다 2. 현미경 사용 시의 주의사항을 익히고, 작동원리를 이해한다. 3. 동물조직의 슬라이드 표본을 관찰하여 조직의 구조와 형태를 이해한다. 4. 관찰한 동물조직을 통해 배율, 해상도 등 현미경의 특성을 이해한다. 심장근과 골 조직 샘플을 재료로 생물체의 기본적인 단위인 세포의 구조를 알아보고, 또한 광학현미경의 사용법을 익히고 특성을 이해해보고자 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광학 현미경의 광원을 켜고 광도조절기로 광을 중간 정도 까지만 올린다. 2) 회전판을 돌려 저배율에 맞춘다. (처음에는 저배율로 검경한다.) 3) 준비된 조직 슬라이드를 재물대 위 중앙에 고정시킨다. 4) 옆에서 보면서 조동나사를 돌려 대물대와 대물렌즈를 최대한 가까..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6. 21. 일반생물학실험 | 현미경 사용법 및 원생동물의 관찰 TIP 호숫물에 서식하는 원생동물의 형태와 운동성을 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한다. Kingdom Protista(원생생물계) 원생동물은 대부분 단세포상태로 살아가는 진핵생명체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러 세포기관을 갖고 있다. 이런 세포기관에는 세포의 이동 및 먹이의 포획에 관여하는 위족(pseudopodium), 섬모(cilium), 편모(flagellum)와 삼투압의 조절에 관여하는 수축포(contractile vacuole), 세포내 소화기관인 식포(food vacuole), 및 세포구(cytostome)등이 있다. 이들은 모두 타가 영양체(heterotroph)로 다른 미생물이나 고형영양물을 체내로 섭취하여 세포내소화를 하여 살아간다. 이들의 분류는 주로 이들의 운동방법, 즉 편모, 섬모, 또는 위..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6. 20. 일반생물학실험 | 감수분열의 관찰 TIP 감수분열 중인 세포의 현미경 표본제작 방법을 익히고, 감수분열과정을 관찰하고, 각 단계를 구별한다. 또한 prophase 1에서 관찰되는 염색체 접합을 관찰하고 이것의 생물학적 의미를 숙지하기 위해 감수분열 관찰 실험을 진행한다. 감수분열(Meiosis) 감수분열이란 동물의 난자, 정자 등 생식세포 형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분열이다. 2회의 분열이 연달아 일어나며, 1개의 모세포에서 4개의 딸 세포가 형성된다. 제 1분열을 이형분열이라고 하고, 제 2분열을 동형분열이라고 하며,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가 있다. 간기 : 염색체의 복제시기이다. 각각의 염색체는 동원체 부분에 붙어있는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자매 염색 분체를 형성한다. 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변하고, 상동염색체 한 쌍..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5. 30.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