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의약화학의 이해 | 신약개발의 여러 방법 - 2부 기존 약의 품질 개량 1928년 영국의 미생물학자 Fleming 은 Staphylococci균의 배양정지를 검사하는 중에 뜻밖에 페니실륨 (Penicillium) 이라는 곰팡이로 오염된 배양접시의 배지에서 세균의 성장이 억제당하는 것을 관찰하였다(그림 1). Fleming은 세균이 곰팡이에 의하여 자라지 못하는 것은 페니실륨으로부터 항균효과의 물질(항생물질)이 분비되는 것 때문이라 설명하고 이 물질을 페니실린이라고 명명하였다. 그러나 그때는 술폰아미드제들이 활발히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던 시대인지라 이 발견은 그 당시 별로 주목을 끌지 못했다. 10 년이 지난 1938 년에 영국 Oxford 대학교의 병리학교수 Florey와 그의 공동연구자인 생화학자 Chain 이 lysozyme 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보건의료/Drug Design & Discovery 2020. 4. 11. 의약화학의 이해 | 신약개발의 여러 방법 - 1부 오늘날 소수의 질병을 제외하고는 비록 만족할 만한 효력은 없다 하더라도 치료제가 알려지지 않은 질환 은 거의 없다. 그렇다고 해서 모든 병이 약으로다 치료될 수 있다는 것은 아니다. 더구나 이상적인 약, 즉 유해한 부작용이 없고 목적하는 질병에 선택적으로 치료효과가 있으며, 사용이 간편한 약이란 전혀 없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질병의 형태는 생활환경, 위생시설, 생활수준에 따라 다르고, 또한 문명의 정도 및 생활 습관 특히 의식생활의 차이에 따라 다르다. 50 년 전만해도 폐결핵은 안정 외에는 치료방법이 없는 병으로서 수많은 희생자를 낸 불치의 질환이었으며, 중세기의 혹사병도 수백만 명의 인명피해를 가져오는 공포의 병이었다. 오늘날은 우울증이나 심장병과 같은 소위 문화병 또는 성인병이 사회와 .. 보건의료/Drug Design & Discovery 2020. 4. 7. 의약화학의 이해 | 약리학의 일반원리 - 2부 생물학적 검정법 (biological assay) 과 in vitro 악리 시험 약물을 생체에 투여하고 그때 나타나는 동물의 전체 또는 부분적 반용을 관찰하여 그 약물의 정량적 또는 정성적 생리활성 (biological activity) 를 추정하는 실험을 생물학적 검정법이라 하는데 생약제제, 호르몬제제, 혈청제제 또는 항생제 동의 분석이나 약물의 효능 평가에 사용된다. 또, 동 · 식물 중에 존재하는 유용한 약효성분을 유리하려고 할 때도 추출 과정에서 이러한 검정법을 이용해서 그 성분을 추적한다. 일반적으로 물리, 화학반응은 반옹조건을 엄격하게 조정함으로써 실험 오차를 줄이고 높은 재현성을 얻을 수 있으나, 생물반옹에 있어서는 그러한 조정이 용이치 못하다. 완전히 동일한 두 사람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 보건의료/Drug Design & Discovery 2020. 3. 27. 의약화학의 이해 | 약리학의 일반원리 - 1부 약리학은 어떤 순수한 상태의 화합물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연구하는 과학이다. 그런데 화합물이 생체 내에서 생리효과를 초래하기 위해서는 우선 그 물절이 체내에 들어가야 하고, 그 홉수된 화합물은 생체 내의 어떤 물질과 분자적 수준에서 화학적 내지는 물리적 결합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결합은 일련의 생화학적 연쇄반옹을 유발하면서 증폭되어 결과적으로 우리가 관찰하는 생리효과를 발현한다. 일반적으로 체내에 홉수된 물질은 그대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체내의 복잡하고 다양한 생화학적 환경하에서 다양하게 대사되어 주로 대소변을 통하여 체외로 배출된다. 약은 주로 사용이 용이한 정 제 (tablet) 또는 캡슐 (capsule) 상태로 제조되는 데 불안정하여 복용이 불가 능 할 경우라든 지, 또 는 신속한.. 보건의료/Drug Design & Discovery 2020. 3. 26. 의약화학의 이해 | 창약화학(Medicinal Chemistry) 창약화학(medicinal chemistry)은 지난 70~80년 동안에 그 토대가 이루어진 아직도 발전단계에 있는 화학의 새로운 분야로서 약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 는 물질의 설계와 합성을 주내용으로 하고 있다. 창약화학자들은 약물이 생체 내에서 어떻게 작용하여 약리효과를 나타내는가 하는 작용기구(mechanism of action)를 분자적 차원에서 규명하고, 화학구조와 생리작용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정립하여 얻은 지식을 토대로 질병의 치료, 예방 또는 진단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을 분자·적 수준에서 설계하고 합성한 후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들의 생리효과 검색한다. 따라서 의약화학은 유기합성화학을 바탕으로 약리학, 효소학, 생화학 등 인접한 과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발전하는 .. 보건의료/Drug Design & Discovery 2020. 2. 9. 의약화학의 이해 | 의약품의 역사적 발견 역사가 시작되면서 인류에게는 여러 종류의 질병이 따랐고, 그들은 이러한 질병과 싸워서 이겨내지 않으면 안 되었다. 생존을 위한 질병과의 투쟁 과정에서 인간은 자연물질 중에서 질병에 대한 치료효과가 있는 물질을 발견하게 되었다. 그들은 약초를 발견하고 약효가 있는 광물질을 발견하였으며, 동물이나 동물의 일부분을 섭취하였을 때 질병으로 인한 신체의 고통이 줄어드는 것을 관찰하였다. 오늘날 그러한 약초와 광물질이 어떻게 발견되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이러한 발견은 장시간을 두고 축적되고 또, 그러는 중에 나름대로 체계도 세워지면서 정리되어 왔다.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는 약용 식물들. 약 3000년 전부터 알려진 양귀비 (opium poppy)는 morphine, heroin, 그리고 codein과 같.. 보건의료/Drug Design & Discovery 2020. 2. 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