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자생물학실험 | 성장곡선 그리기 TIP 배지 속 세균의 성장을 흡광도를 측정하여 그래프를 작성 및 해석해보자. 생장 곡선 1. lag phase 균을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할 때 배지에 적응하는 시기로서 세포가 새로운 환경에서 증식하는데 필요한 각종 효소 단백질을 생합성하는 시기이다.분열을 위해 세포의 크기가 커지고 호흡활성 도가 높아지는 시기이며, 세포내의 RNA양은 현저하게 증가하고 효소단백질 합성이 왕성해진다. 2. exponential phase 미생물의 발육 과정에서 속도가 최대가 되는 시기. 균의 세대시간이 가장 짧고 대사산물이 원형질의 합성에 가장 잘 이용되는 시기이다. 3. stationary phase 세균이나 세포가 증식할 때에 대수증식기를 경과하면 분열, 증식이 정지하여 개체수의 증가가 나타나지 않는 상태를 유.. Biology/분자생물학 2023. 3. 7. 일반생물학실험 | 곰팡이의 분리 및 배양 TIP 곰팡이는 토양, 물, 공기 등의 자연 환경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세균에 비해 크고 복잡한 구조를 가진 다세포의 균사상 진핵세포 생물로 그 형태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형태학적으로 곰팡이를 분류하는 것은 실로 매우 중요하다. 배지의 pH를 낮추거나 살리실산나트륨 등의 화학 약품을 첨가하면 세균이나 효모의 발생이 억제되어서 곰팡이를 분리하기가 쉽다. 따라서 곰팡이의 내산성을 이용하여 구연산 발효에 사용되는 흑국 곰팡이를 분리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목적하는 장소로부터 토양을 채취한다. 2) 멸균된 생리식염수 10㎖에 1g의 토양을 취해 볼텍스 믹서로 섞는다. 3) 1㎖ Pipette을 이용해 2)로부터 1㎖를 취해서 각각을 2개의 Petri Dish에 넣는다. 4) 하나의 Petri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10. 5. 미생물학실험 | Gram-Stain TIP 여러 미생물을 가지고 그람염색을 해본 후 그람음성도에 따라 분류 해 보자. Gram-Stain 세균이나 효모를 동정하고 분류하는 염색 방법으로 1884년 덴마크의 의사 한스 크리스찬 그람이 고안했다. 세균은 그 고정 표본을 Crystal violet, gention violet으로 염색하고, lugol solution으로 처리 한 후 순 에틸 알코올로 탈색조작 하였을 때 탈색되지 않는 균군(gram양성균)과 탈색되는 균군(gram음성균)으로 구별된다. 계속하여 옅은 safaradine sol또는 fuchisin sol로 대비염색하면 전자는 그대로 자색, 후자는 후염색에 의해 적색으로 염색된다. 이것은 세포표면 특히, 세포벽의 화학구조의 차이에 의한 것이다. 그람양성균과 그람 음성균 사이에서 화학적.. Biology/미생물학 2022. 8. 2. 미생물학실험 | 미생물의 염색 TIP 세균을 분별염색(differential staining) 하게 되면 그람양성균인지 그람음성균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색을 띄게 된다. 나타나는 색의 차이를 통해서 세균을 동정, 분류하고 구조적 차이에 대해서 이해한다. 세포벽은 삼투압이나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세포를 지키는 역할을 한다. 종마다 가지고 있는 세포벽의 종류가 다른데 진정세균은 세포벽으로 펩티도글리칸층(N-acetylglucosamin과 N-acetylmuramic acid의 beta-1,4,결합)을 가지고 있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 모두 펩티도글리칸층을 가지지만 그 두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슬라이드 글라스 위에 3차 증류수 1~2 방울 정도를 떨어트린다. 2) 백금이를 화염멸균하.. Biology/미생물학 2022. 7. 30. 일반생물학실험 | 그람 염색법 계통분류학(systematics)은 생물들의 다양성과 그들의 유연관계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계통분류학은 계통학과 생물의 특성을 규명하고 이름을 부여하며 자연적인 유연관계에 따라 그룹으로 배치하는 분류학을 함께 연계한다. 이 때 대상 생물의 형태적, 생태적, 생리적, 분자생물학적 특징을 종합하여 종을 판별하는 것을 동정이라고 부른다. 한편 세균을 동정할 때 세균은 세포의 모양에 따라 구균, 간균, 나선균 등으로 나누기도 하지만, 본 실험에서는 그람 염색법을 이용하여 세균의 형태학적인 차이에 근거해 세균을 그람 양성균과 그람 음성균으로 분류하고자 하였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준비된 대장균과 고초균 sample을 각각의 이름을 labeling한 슬라이드글라스에 도말하였다. 2) 실온에서 약 5분간..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7. 29. 미생물학실험 | 그람염색법 그람염색은 세균의 형태, 크기, 배열, 그람 염색상에 따라 세균을 분류하는데 가장 흔히 이용하는 염색 방법으로서 병인균의 신속한 예비 보고와 검체 질 평가에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그람염색법은 1884년 덴마크의 의사 H.C.J.그람(1853∼1938)이 고안한 특수 염색법으로, 표본을 아닐린수(水)·겐티아나액(液)으로 물들여서 요오드·요오드화 칼륨액으로 처리한 후, 순(純)에탄올로 씻으면, 조직은 탈색되지만 균은 탈색되지 않고 자주색으로 보인다. 그러나 그 후 여러 가지 균종이 발견되자 그 속에는 조직과 마찬가지로 에탄올 세정에 의하여 탈색되는 균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때 탈색되는 균을 그람음성균, 탈색되지 않는 균을 그람양성균이라 부르기로 하면서 이 염색법은 당초의 목표와는 달리 세균의 분류에 이.. Biology/미생물학 2022. 7. 27. 환경미생물학실험 | Gram staining 미생물은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동물, 효모 등의 여러 가지 형태로 나뉘어진다. 환경미생물을 간단히 확인하는 방법으로는 현미경 관찰이 우선적으로 이야기되는데 세균은 너무 작아서 관찰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염색을 함으로써 미생물을 염색하여 세포와 배경간의 충분한 대조를 주어 현미경 관찰을 보다 쉽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염색법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단염색(simple stain), Gram stain, 항산성염색(Acid fast staining), 아포염색(Spore staining) 등이 그 종류이다. 그 중 우리는 이번 실험에서 Gram staining으로 E.coli와 bacillus를 염색하고 광학현미경을 통하여 관찰할 것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Take a few .. Biology/미생물학 2022. 7. 25. 일반생물학실험 | Gram Staining TIP 1. Gram staining의 원리와 방법을 숙지한다. 2. Gram(+)균과 Gram(-)균을 관찰하여 미생물 분류의 기본을 익힌다. 세균의 세포벽의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기초적 세균염색법의 일종으로 1984년 Christian Gram이 창안, 현재는 1921년 Hucker의 개선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세균을 크게 2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가장 기본적인 염색 방법이다. 우선 열고정시킨 세균을 염기성 색소로 염색한 후, I2-KI 혼합용액으로 처리한 다음, 아세톤 또는 알코올로 탈색하여 다른 색소로 염색한다. 처음에 염색한 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Gram(+)라고 하고, 두번째 염색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Gram(-)라 한다. Gram(+)..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7. 25. 생명과학실험 | 원생생물의 관찰 TIP 채집 수에 살고 있는 원생생물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김새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있는 환경에서 세균의 운동성을 이해한다. 원생생물이란 보통 1개의 핵을 가진 단세포생물로서 가장 원시적인 생물을 말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배를 형성하고, 조직분화가 나타나지 않고 파동모가 있는 경우에는 미소관이9+2구조로 배열되는 진핵생물을 원생생물이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다세포생물이어도 원생생물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짚신벌레, 볼복스, 아메바, 유글레나, 규조류 등이 있다. 짚신벌레는 몸 전체에 균일하게 섬모가 나있고, 섬모운동을 한다. 입의 뒤쪽부터 가로로 분열하여 증식하고 성숙하면 접합에 의한 유성생식을 한다. 암수 구분은 없지만 접합을 할 수 있는 상대가 유전적으로 정해져 있다. 세균류를 먹고..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2. 4. 5. 생물학개론 | 미생물의 유전 TIP 1. 미생물 세균 DNA 2. DNA복제 3. DNA 수선 4. 재조합 5. 전위 6. 형질도입 7. 플라스미드 8. 접합 9. 형질전환 미생물 세균 DNA 디옥시리보핵산 또는 DNA는 생물체의 유전 물질로서 유전자들이라는 기능적 단위로 구분되어있다. 거의 전부의 유전자는 폴리펩티드들 또는 단백질들을 암호화한다. 나머지 유전자들은 단백질로 만들어지지 않는 RNA분자를 암호화한다. 유전자의 염기 서열은 그것이 암호화 하는 폴리펩티드의 구조를 결정한다. DNA의 염기 서열의 안정적인 복제는 생물체의 고유의 특징이 그 자손에게 그대로 전달되는 것을 보장한다. DNA는 5‘에서 3’ 방향으로만 중합된다. 뉴클레오티드의 전구물질은 뉴클레오시드 5‘ 이며 늘어나는 DNA사슬에 중합되면서 두 개의 인산을 소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5. 2. 일반생물학실험 | DNA 추출과 전기영동 TIP DNA 추출법을 알고, 전기영동의 원리를 이해한다. DNA 추출 1. Plasmid 세균의 세포 내에 염색체와는 별개로 존재하면서 독자적으로 증식할 수 있는 DNA로, 고리 모양을 띠고 있으며 세균의 생존에 필수적인 유전자는 아니다. 유전공학에서는 세균 내 플라스미드를 세포 밖으로 빼내고 제한효소로 끊은 뒤, 필요로 하는 유전자를 삽입하여 이를 다시 세균에 넣어 배양하는 유전자재조합 기술을 사용한다. 2. Plasmisd의 특징 ① 복제기점(original of replication)을 갖기 때문에 증식할 수 있다. ② 항생제 내성 유전자(antibiotic resistance gene)을 가져 selection marker로 사용될 수 있다. ③ Multi cloning site(MCS)가 존재..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5. 1. 미생물실험 | 세균의 생장곡선 (Growth Curve) TIP 1. 미생물의 성장과 분열과정을 이해한다. 2. 미생물의 성장은 4단계를(Lag phase, Exponential phase, Stationary phase, Death phase.) 거친다. 미생물의 생육곡선(growth curve) 미생물을 배양할 때 배양시간과 생균수의 대수(log)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S자를 그리며 유도기(적응기)와 대수기(로그대수기), 정지기, 사멸기로 나누어진다. 1. 유도기(lag phase, induction phase) ① 균을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할 때 배지에 적응하는 시기 ② 세포가 새로운 환경에서 증식하는데 필요한 각종 효소단백질을 생합성하는 시기 2. 증식기(대수기), 로그대수기(logarithmic phase, exponential ph.. Biology/미생물학 2020. 9. 27. 미생물실험 | 세균의 형태 및 크기 측정 TIP 크기의 단위, 세균의 형태와 종류의 다양함, 미생물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프레파라트를 만드는 법에 대하여 배우고,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능한 세균의 크기를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배운다. 세균과 고세균 세균이란 미세한 단세포(單細胞)생물. 넓은 의미의 세균은 원핵균류를 가리키지만 좁은 의미로는 원핵균류 중에서 마이코플라즈마류·점액세균류·스피로헤타류·방 선균류를 제외한 것을 가리킨다. 보통 세균이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세균류를 가리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세균(Bacteria)의 형태는 구형, 타원형, 막대형, 나선형, 사상형 등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구균, 간균, 나선균, 사상형세균 등으로 구분하여 부른다. 최근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세균과 고세균을 나누어 보는 경향이 .. Biology/미생물학 2020. 7. 10. 일반생물학실험 |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관찰 TIP 1. 모든 생물체의 생명현상이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단위인 세포의 구조를 살피고, 동식물 세포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2. 세포를 현미경으로 잘 관찰하기 위해 사용되는 염색의 원리를 알아본다. 3. 동물세포인 구강상피세포와 식물세포인 양파표피세포를 관찰하여 세포의 구조를 관찰하고 동물세포와 식물세포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동․식물세포의 공통점과 차이점 세포구조 식물세포 동물세포 세포막 있다 있다 핵막 있다 있다 염색체 여러개, 길쭉함 DNA+히스톤단백질 여러개, 길쭉함 DNA+히스톤단백질 엽록체 있다 없다 미토콘드리아 있다 있다 세포벽 주성분: 셀룰로오스 없다 액포 잘 발달 발달 미약 중심체 없다 있다 리보솜 있다 있다 실험 방법 1. 식물세포 관찰(양파표피세포) 1) 면도칼을 사용하여 5㎟의 크기..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7. 7. 미생물실험 | 균주 보관법 동결건조법 조작이 저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열에 약한 물질의 건조법으로 유용하다. 이 방법은 미생물, 의학, 약학방면에서 수분이 많을 때는 불안정하고 또한 열에 극히 민감한 재료(세균, 바이러스, 혈장, 혈청)등을 이 방법에 의해 –10 ~ -30℃의 저온에서 건조시켜 보관하면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물에 대한 용해성이 뛰어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 식품공업에서 육류, 어류, 야채, 과즙 등을 건조시킬 때 이 방법으로 건조시키면 향, 맛이 남고 천연품에 가까운 인스턴트 음식을 얻을 수 있다. 동결보존시 이용하는 동결보존제는 세포 동결시 세포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 보존제를 동결배지에 넣어준다. 동결보호제는 세포외액에 얼음결정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삼투압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손상을 막아주고.. Biology/미생물학 2020. 4. 19. 미생물실험 | 토양균 Streaking TIP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여 그 과정을 숙지하고 미생물의 존재를 거시적으로 확인한다. 멸균 미생물 관련 실험을 하는데 앞서 멸균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주위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들이 배지에 오염되어 자라게 된다면 실험하고자 하는 미생물에 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멸균이란 어떤 물체에 있는 모든 생명체가 제거되었거나 죽은 상태를 뜻한다. 멸균이라는 말은 살균이랑 다소 차이가 있다. 살균이란 미생물의 번식능력만을 소실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멸균의 종류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열, 투과, 전자기파, 화학약품이다. streaking & spreading 1. Streaking : 세균의 순수배양을 하기 위한 분리방법의 하나로 고체배지상에서 세균이.. Biology/미생물학 2020. 3. 31. 미생물 실험 | 현미경의 관찰 및 염색 - 여러 가지 미생물 염색법 TIP 다양한 균들과 곰팡이를 여러 가지 방법으로 염색 및 관찰하여 보고 각각의 특징을 알 수 있다 Staining의 종류 1. 염색의 이유 미생물은 무색투명하고 곰팡이나 효모에 비해서 크기가 작고 명암의 차이가 크지 않기 때문에 현미경으로 관찰하기 쉽지 않으므로 염색을 해서 관찰하면 쉽게 검체 내의 세균의 유무와 균 양을 간단히 알 수가 있고 세균의 염색상과 형태를 보아서 균종이 추정되어 세균의 동정방향을 결정할 수 있으며, 세균 감염증 진단에 도움이 된다. 또한 조기에 항생물질의 선택방침을 결정할 수 있다. 현미경으로 세균을 관찰할 때는 살아있는 상태로 검경하는 신선표본과 고정한 상태에서 색소로 염색하여 검경하는 고정염색표본이 있다. 신선표본은 세균의 운동상태나 형태, 크기 등이 관찰되고, 고정염색표.. Biology/미생물학 2020. 2. 23. 분자생물학실험 | 세균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의 원리 E.coli는 linear 또는 circular DNA를 받아들일 수 있는데, 이러한 과정을 transformation이라 하며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이루어진다. E.coli cell이 DNA를 uptake 할 수 있는 상태(competent)로 만들어 주기위해 E.coli cell을 Ca과 같은 multivalent ion의 존재 하에 0℃에서 incubation한다. 이때, cation은 E.coli cell membrane에 존재하는 lipid의 negatively charged phosphate와 complex를 이룰 것으로 추정된다. 낮은 온도는 cell membrane을 응고시켜 charged phosphate의 분포를 안정화하여 cation에 의하여 효과.. Biology/분자생물학 2020. 2. 1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