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생물공학실험 | 미생물 배양 배지 제작 및 세균배양 TIP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배지를 만들어 보고 직접 세균을 배양해 본다. 미생물 배양미생물을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을 배양이라고 한다. 진균, 세균, 랩토스피라 등은 무세포 배지에서 배양되지만 리케치아, 바이러스는 무세포 배지에서는 증식되지 않으므로 살아 있는 세포를 필요로 하는데, 부화란배양법, 조직배양법 등에 의해서 배양된다. 세균을 배양할 때에는 균종에 따라 각각 최적조건의 배지 선택이 중요하지만 바이러스, 클라미디아, 리케치아의 경우에는 최적세포의 선택이외에 숙주세포의 생명을 잘 유지하면서 배양해야 한다. 실험 방법1. 실험 과정1) LB Agar 분말 8g을 증류수 200mL에 넣는다. 2) 121℃, 1.5atm, 15-20 min 멸균조건으로 멸균한다. 3) 멸균된 배지를 .. Biology/미생물학 2024. 10. 2. 미생물실험 | Gram staining과 현미경을 이용한 관찰 TIP 현미경을 이용하여 gram staining을 한다. Gram positive 와 negative bacteria의 차이점 특 성 Gram 양성균 Gram 음성균 1. 세포벽 구조 두께(15∼80nm), 단층(single layer) 두께(15∼80nm), 삼층(triple layer) 2. 세포벽 조성 저지질(1∼4%). Peptidoglucan은 단층에 존재한다. 주성분은 세균 세포의 건물량의 50% 이상, teichoic acid가 있다. 고지질(11∼22%). Peptidoglucan은 내부 강인층에 존재한다. 주성분은 세균 세포의 건물량의 10% 정도, teichoic acid가 없다. 3. Penicillin에 대한 감수성 보다 많은 감수성이다. 보다 적은 감수성이다. 4. 염기성 색소에.. Biology/미생물학 2023. 3. 23. 미생물실험 | 균주 순수 분리 및 배양(Streaking, Spreading, Subculture) TIP 세균이 혼합된 시료로부터 단일 콜로니로 순수 분리하는 방법과 계대 배양하는 방법을 통해 single colony를 분리해 본다. 도말 자연 상태에서는 여러 종류의 생물종이 섞여 자라는데, 이러한 경우 한 종의 미생물을 연구하기 힘들다. 따라서 종의 특성을 연구할 때는 단일세포에서 자라난 세포 집단인 순수 배양체(pure culture)가 필요한데, 이를 얻는 방법이 도말이다. 도말에는 도말평판법과 획선평판법이 있는데, 도말평판법은 배지에 골고루 펴발라 도말하는 방법이고, 획선평판법은 한쪽 끝을 멸균하고 그곳의 접종원을 두 번째에서 멸균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법이다. 실험 방법 1. streak plate method 1) 미리 준비해 둔 LB plate의 온도가 실온이 될 때까지 실험대 위에 꺼낸.. Biology/미생물학 2022. 12. 31. 미생물실험 | 장내세균의 분리동정 TIP 사람의 장내세균을 분리하고 동정해 본다. 서론 사람의 몸속에는 수많은 세균이 있는데 그 중에서 장 내용물과 분변 중에는 1g당 10¹¹개 이상의 세균이 존재한다. 장내세균(Enterobacteria)은 동물의 장관 속에 기생하는 세균으로 대장균·장구균·젖산균·포도상 구균·진균 등이 있다. 그람음성의 간균으로서 아포를 형성하지 않으며 포도당을 분해하는 능력과 질산염을 아질산염으로 환원하는 능력이 있다. 장내세균 중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사람이나 온혈동물의 장내 기생하는 세균이다. 대부분 비병원성이지만 일부는 사람과 어린 동물에게서 다양한 장 질병과 설사 증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밝혀져 있다. 대장균의 존재는 분변에 의한 오염의 지표가 되며, 수질검사 등에 종종 응용되기 때문에 위생.. Biology/미생물학 2022. 12. 27. 미생물학실험 | 그람 염색법 TIP 분별염색 기법의 한 종류인 그람염색 방법을 익히고 그람염색 방법의 원리를 알 수 있다.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을 구분할 수 있다. 그람염색법은 미생물을 관찰하기 위해 사용하는 염색법이다. 그람염색은 미생물의 세포벽을 구성하는 특정구조와 화학반응을 일으켜 염색이 이루어지는데, 세포벽에 그람염색과 반응하는 화학구조를 갖는 미생물을 그람양성, 그렇지 못한 것을 그람음성으로 분류한다. 그람염색법을 통해 미생물을 분류할 수 있다. 그람염색(Gram staining)의 원리는 분별염색(differential staining)이다. 분별염색은 세균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2가지 이상의 생물학적 염료(biological dye)를 사용하는 염색방법이다. 분별염색 기법은 특정 세포구조물을 염색하기 위해 사.. Biology/미생물학 2022. 8. 1. 미생물실험 | 환경에 따른 미생물의 생장 및 조절 TIP 세균생장에 대한 온도의 효과를 설명하고, 미생물 생장에서 pH의 효과를 알아볼 수 있다. 우리는 인위적으로 미생물을 죽게 하거나 번식을 억제함으로써 미생물의 생육을 조절하여 식품의 저장기간을 늘리거나 식품의 부패를 방지할 수 있다.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온도, 수분활성도, pH, 산화환원전위, 산소, 영양소 등이 있다. 이러한 요소들 중, 중요도가 높은 것은 온도, 수분활성도, pH이다. 이들은 각각 따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밀접한 관련을 갖고 복합적으로 미생물의 생육에 영향을 미친다. 미생물은 자연환경에서 한 종류만 자라지 않고 다양한 미생물집단으로 자라면서 서로서로 생육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험에서는 온도와 pH가 생물 생장에 미치는 영양에 대.. Biology/미생물학 2020. 12. 9. 미생물실험 | 효모 관찰 TIP 효모를 관찰함으로써 효모의 외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들의 생활사와 생물학적 특징을 알아보도록 한다. 효모의 특성과 이용, 그리고 발효(fermentation) 효모의 세포벽은 주로 글루칸과 만난에 의하여 구성되며, 그 밖에 지질·단백질과 소량의 키틴질을 함유한다. 세포 내에는 핵·미토콘드리아·액포·글리코젠 과립을 가지며, 발효뿐만 아니라 호흡도 잘한다. 효모 자체는 값싼 지방·단백질원으로 사료에 사용된다. 비타민 B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또 비타민 D를 함유하는 것도 있으며, 의약품 공업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 실험에서도 알 수 있듯이 막걸리와 맥주발효에도 효모가 사용된다. 또한 효모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진핵생물로 인간의 세포와 세포주기가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유사점을 바탕으로 진핵생물의 DN.. Biology/미생물학 2020. 10. 9. 미생물실험 | 세균의 생장 곡선 미생물의 생장은 세포의 수나 생물량의 증가를 말한다. 단세포 생물체에서 생장은 통상 수적인 증가를 의미한다. 일부 세균은 생장이 왕성한 기간동안에는 세대기간이 20분 이내로 빠르게 생장할 수 있다. 이론적으로 이상적인 환경에서 매 20분 동안 두 배로 증가하는 단세포는 48시간동안 무게에서 2144배로 증가하게 된다. 세균의 생장곡선은 4가지 특징적인 단계로 나눈다. 유도기(lag phase)는 세포가 세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시기이다. 대수생장기(logarithmic phase 또는 exponential phase)는 일정 속도로 빠르게 증식하는 기간이다. 정지기(stationary phase)는 생장이 멈추는 기간이며, 사멸기(death phase)는 생균수가 감소되는 시기이다. 전형적인 세균의 생장곡.. Biology/미생물학 2020. 10. 2. 미생물실험 | 세균의 생장곡선 (Growth Curve) TIP 1. 미생물의 성장과 분열과정을 이해한다. 2. 미생물의 성장은 4단계를(Lag phase, Exponential phase, Stationary phase, Death phase.) 거친다. 미생물의 생육곡선(growth curve) 미생물을 배양할 때 배양시간과 생균수의 대수(log) 사이의 관계를 나타내는 곡선으로 S자를 그리며 유도기(적응기)와 대수기(로그대수기), 정지기, 사멸기로 나누어진다. 1. 유도기(lag phase, induction phase) ① 균을 새로운 배지에 접종하여 배양할 때 배지에 적응하는 시기 ② 세포가 새로운 환경에서 증식하는데 필요한 각종 효소단백질을 생합성하는 시기 2. 증식기(대수기), 로그대수기(logarithmic phase, exponential ph.. Biology/미생물학 2020. 9. 27. 미생물실험 | 순수 분리 및 배양 미생물에 대한 연구 시, 미생물의 생태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등 다양한 생물학적 특징을 밝혀야 하며 이를 위해 목표하는 미생물을 순수 분리하고 배양할 필요가 있다. 다른 종류의 생명체가 섞여 있지 않은 단일 종의 미생물의 배양을 순수 배양이라 하며, 적절한 환경에서 다른 미생물의 노출 및 오염 없이 배양해야 한다. 미생물의 배양은 미생물의 먹이가 되는 배지(media)를 이용하며, 배지의 상태에 따라 액체 배지와 고체 배지로 나눈다. 본 실험에서는 Luria Bertani media (이하 LB 배지)를 이용하여 실험하였으며, LB배지는 균 배양액의 생장에 필요한 질소, 탄소, 비타민, 및 무기염류 등을 제공한다. 실험에서는 배지에 균 배양액을 streak plate method(획선 평판법)와 s.. Biology/미생물학 2020. 9. 23. 미생물실험 | 환경오염의 원인인 황화합물 제거를 위한 미생물(T.1082) 배양 최근 환경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오염물질을 처리하는 기술개발에 대한 연구 필요성이 중대해 지고 있다. 악취는 특성상 저 농도에서도 불쾌감이 발생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지역 주민들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으며 세균번식으로 인한 대기오염 등의 환경오염 문제도 생겨나고 있다. 본 실험은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황화합물 악취가스를 제거하고자 분리한 황화합물 분해균주의 배양특성 하여 오염물질의 정화를 통해 환경 문제를 해결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악취 제거와 오염세균 번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화학적, 물리적, 생물학적 3가지 방법이 있다. 환경오염의 원인이 되고 있는 황화합물 분해, 제거를 위해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 중 미생물을 이용하여 오염원을 분해하는 생물학적 .. Biology/미생물학 2020. 9. 3. 미생물실험 | 세균의 형태와 염색 TIP GRAM염색을 이용하여 E.coli, Helicobacter pylori, Staphylococus aureus, Heamophylus influenza, Bacilluse subtlus를 슬라이드글라스에 염색하고 결과물을 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실험을 실시하였다. 이 실험을 통하여 각 균주별 형태를 정확히 알고있는지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Simple staining(단순염색) 세포를 염색하기 위하어 한가지 생물학적 염료를 이용하는 염색방법이다. 미생물학에서 사용되는 생물학적 염료는 발색단을 포함하는 약 유기산의 염이다. 만약 발색단이 양전하를 띄게 되면 그것은 염기성 염료이고, methylene blue, crystal violet, 그리고 safranin과 같은 염기성 염료들은 일반적으로 세.. Biology/미생물학 2020. 7. 13. 미생물실험 | 세균의 형태 및 크기 측정 TIP 크기의 단위, 세균의 형태와 종류의 다양함, 미생물의 크기와 모양, 그리고 프레파라트를 만드는 법에 대하여 배우고, 육안으로 관찰이 불가능한 세균의 크기를 현미경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실험을 통하여 배운다. 세균과 고세균 세균이란 미세한 단세포(單細胞)생물. 넓은 의미의 세균은 원핵균류를 가리키지만 좁은 의미로는 원핵균류 중에서 마이코플라즈마류·점액세균류·스피로헤타류·방 선균류를 제외한 것을 가리킨다. 보통 세균이라고 하면 좁은 의미의 세균류를 가리키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세균(Bacteria)의 형태는 구형, 타원형, 막대형, 나선형, 사상형 등 매우 다양하며 그에 따라 구균, 간균, 나선균, 사상형세균 등으로 구분하여 부른다. 최근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세균과 고세균을 나누어 보는 경향이 .. Biology/미생물학 2020. 7. 10. 일반생물학실험 | DNA work TIP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고 plasmid DNA를 분리한다. 분리한 plasmid DNA를 형질전환을 시키고 배지에서 키운다. 배지에서 키운후 제한효소를 이용해 잘라낸뒤 전기영동을 시켜서 관찰한다. 미생물학 실험을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재료가 DNA이므로 많은 양의 DNA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 외부 DNA를 숙주 세포 내로 도입시키는 방법인 형질전환(Transformation)을 이용하는데 이 방법은 박테리아 세포에 물리적 내지는 화학적 자극을 주어 Plasmid DNA를 받아들일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 DNA가 세포 내로 들어가게 한 다음, 이들 형질전환 된 세포들을 배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처럼 DNA를 다량으로 얻는 것 이외에도 Librar..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5. 27. 미생물실험 | 균주 보관법 동결건조법 조작이 저온에서 이루어지므로 열에 약한 물질의 건조법으로 유용하다. 이 방법은 미생물, 의학, 약학방면에서 수분이 많을 때는 불안정하고 또한 열에 극히 민감한 재료(세균, 바이러스, 혈장, 혈청)등을 이 방법에 의해 –10 ~ -30℃의 저온에서 건조시켜 보관하면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물에 대한 용해성이 뛰어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 식품공업에서 육류, 어류, 야채, 과즙 등을 건조시킬 때 이 방법으로 건조시키면 향, 맛이 남고 천연품에 가까운 인스턴트 음식을 얻을 수 있다. 동결보존시 이용하는 동결보존제는 세포 동결시 세포손상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며 이 보존제를 동결배지에 넣어준다. 동결보호제는 세포외액에 얼음결정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삼투압 스트레스로 인한 세포손상을 막아주고.. Biology/미생물학 2020. 4. 19. 미생물실험 | 낙하균수 측정 방법 TIP 공기 중에서 일정 시간 내에 일정면적의 한천 평판배지 상에 낙하하여 발육하는 총수를 계수 한다. 실내외를 불문하고 목적으로 한 측정 장소에서 오염된 부유미생물을 평판배지 위에 자연 낙하시켜 측정하는 방법으로 일정 면적의 한천배지 또는 금속편 등을 일정 시간 정치시켜서 그 위에 낙하는 미생물 입자를 포집 / 배양하여 형성된 세균집락을 측정하는 원리이다. 낙하법의 특징은 배지만 있으면 되고 장치나 동력원 이 필요 없고 간편하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한천평판 3장을 시험장소에 놓고 동시에 뚜껑을 열어 5분간 노출 시킨 후 뚜껑을 닫는다. 2) 평판을 거꾸로 뒤집어 36±1℃에서 24 ~ 48 시간 배양한다. 3) 균수 산출의 도말집락 배양법에 따라 산출한다. 4) 얻어진 평판 당 집락 수를 .. Biology/미생물학 2020. 4. 6. 미생물실험 | 토양균 streaking TIP 채취한 토양균의 sample을 알맞은 배지에 스며들게 접종하여 배양하는 방법을 익히고 single colony를 얻어 본다. 토양균 지표나 지하에서 생활하는 세균 및 균류의 총칭한다. 토양 중의 유기물을 분해, 질산화 작용, 탈질 작용 등 물질 순환에 큰 역할을 한다.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은 크게 세균류, 방사선균류, 균류, 조류, 원생동물로 나누어 지는데, 그 중 세균은 나머지 4가지를 합한 것보다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Streaking (도말) plate에 굳힌 배지 위에 균 액을 스며들게 접종하여 배양시키는 방법이다. 그 목적은 single colony를 얻는데 있다. streaking 은 보통 병원성 미생물 실험할 때, 분리 배양한 병원성 의심균을 확인시험.. Biology/미생물학 2020. 4. 1. 미생물실험 | 토양균 Streaking TIP 토양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추출하여 배양하여 그 과정을 숙지하고 미생물의 존재를 거시적으로 확인한다. 멸균 미생물 관련 실험을 하는데 앞서 멸균의 개념은 매우 중요하다. 주위에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것들이 배지에 오염되어 자라게 된다면 실험하고자 하는 미생물에 의한 결과를 얻을 수 없다. 멸균이란 어떤 물체에 있는 모든 생명체가 제거되었거나 죽은 상태를 뜻한다. 멸균이라는 말은 살균이랑 다소 차이가 있다. 살균이란 미생물의 번식능력만을 소실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멸균의 종류에는 크게 4가지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열, 투과, 전자기파, 화학약품이다. streaking & spreading 1. Streaking : 세균의 순수배양을 하기 위한 분리방법의 하나로 고체배지상에서 세균이.. Biology/미생물학 2020. 3. 3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