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토질역학실험 | 일축 압축 시험 - 흙의 전단강도시험 (일축압축시험, KS F) TIP 본 시험은 점성토의 일축압축강도 또는 예민비를 구하기 위하여 행한다. 흙의 일축압축강도라는 것은 측압을 받지 않는 공시체 최대의 압축응력을 말하며 예민비란 흐트러지지 않는 흙의 일축압축강도와 동일한 함수량을 가진 교란시킨 흙의 일축압축강도의 비라고 정의한다. 이 시험결과에서 점착력을 구하여 기초지반의 지지력계산과 사면의 안정계산 등을 할 수 있다. 실험 개요 일축압축시험(Unconfined Compression Test)은 점착력이 있는 시료를 원추형 공시체로 만들어 측압을 받지 않는 상태로 축하중을 가하여 전단파괴시켜서 시료의 전단강도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점착력이 없는 흙은 성형이 되지 않으므로 일축압축시험을 수행할 수 없다. 물체가 전단파괴될 때에는 파괴면은 주응력면과 45 + φ/2 각도를..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3. 5. 19. 토질역학실험 | 삼축 압축 시험 TIP 삼축압축시험은 직접전단시험에 비하여 시험 때의 공시체내부의 응력이나 변형율의 분포가 일정하며, 또한 배수조건을 제어할 수 있다는 점 등의 많은 장점이 있다. 따라서 흙 구조물의 설계조건에 따른 배수조건 밑에서 시험할 수 있다. 그래서 삼축압축시험은 흙의 전단강도정수를 구하기 위한 시험이다. 삼축압축시험 Casagrande(1930)가 직접 전단시험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원통형시료를 써서 개발한 것이 삼축압축시험이다. 이 시험기의 개형은 아래와 같으며, 가장 중요한 장점은 배수조건을 충분히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괴면의 방향이 자연상태와 거의 유사하며, 현장에서의 응력상태를 재현할 수 있다는 점이다. 공시체는 압력실의 물이 시료에 침투하지 않도록 얇은 고무막으로 싸여 있어서 물과 완전히 차단된..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3. 5. 17. 토질역학실험 | 삼축 압축 시험 TIP 1. 삼축압축시험은 흙을 전단파괴시켜 그 흙의 강도정수를 구하는 것이 목적이다. 삼축압축시험은 직접전단시험이나 1축압축시험과는 달리 배수조건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시체에 압력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등 여러 가지 장점을 갖고 있다. 2. 한 공시체에 각기 다른 구속압을 가하여 실험을 하게 되면 그 각각에 해당하는 Mohr원을 얻을 수 있으며, 이들 Mohr원에 공통으로 접하는 직선을 그려 그에 따른 내부마찰각과 점착력을 구할 수 있다. 삼축 압축 시험 지반공학에서 삼축압축시험은 지반의 토질역학적 거동을 예측하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지반의 전단강도를 구하는 시험으로 주응력만 작용하는 상태에서 시료를 전단시킬 수 있다. 이때에 주응력은 임의로 가할 수 있고 전단파괴면은 아무런 ..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3. 5. 15. 토질역학시험 | 투수 계수 시험(정수위 시험) 투수계수 단위동수구배에서 단위 시간당 흙의 단위 단면적을 흐르는 수량으로서 단위는 [㎝/s]로 표현하며, 흙 속을 흐르는 물의 통과 용이성을 보여주는 수치이다. 투수계수의 크기는 흙 입자의 크기에 따라 그 범위가 대단히 넓으며, 한국 산업규격에서는 투수계수가 비교적 큰 사질토는 정수위 시험이 적합하고, 투수계수가 비교적 작은 점성토는 변수위 시험이 적합하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번 투수계수 시험은 사질토로 실험하기 때문에 정수위 시험을 실시한다. 정수위 시험이란 일정한 수위차에서 지름과 길이가 일정한 시료 속을 일정한 시간 내에 침투하는 물의 양을 측정하여 투수계수를 결정하는 방법이다. 따라서 정수위 시험으로 투수계수를 구하여 흙의 투수성을 판단하는 것이 시험 목적이다. Darcy 법칙 Darcy는 두 지..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3. 2. 16. 건설재료실험 | 철근 인장 실험 TIP 1. 금속재료의 기계적인 성질을 알기 위해 강재에 인장을 가하여 시험한다. 2. KS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강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인장시험을 하여 적당한 응력을 정하기 위해 시험한다. 용어 정리 1. 항복점 보통 변형력이 작은 동안은 변형은 응력에 비례하나, 비례한계를 넘어서 응력을 크게 하면 어떤 값 부 터는 응력은 거의 증가하지 않으며 변형만이 증가하는 현상이 일어난다. 이 현상을 항복이라 고 한다. 즉, stress-strain curve에서 탄성한도가 끝나서 소성변형이 시작되는 지점을 항복점이라 고 말한다. ① 상항복점 : 상항복점은 재하속도, 단면의 형태, 재료의 구성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② 하항복점 : 하항복점은 보통 사용하는 항복강도로써, 재료 특성을 고려할 때 사용한다. 2..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3. 2. 2. 건설재료시험 | 시멘트의 비중 시험 시험 목적 1. 시멘트의 비중은 불순물의 혼입이나 저장 중 풍화(수분, 탄산가스 흡수)로 그 수치가 낮아지고, 콘크리트의 강도도 낮아진다. 그래서 시멘트의 불순물 혼입과 풍화의 정도, 콘크리트의 강도 확보의 목적으로 비중시험을 한다. 2. 콘크리트의 절대용적을 구하는 콘크리트 배합시험 시에 필요로 하므로 비중시험을 한다. 즉,콘크리트의 배합설계에서 시멘트가 차지하는 용적을 계산하기 위하여 그 비중을 알아 둘 필요가 있다. 3. 비중의 시험값으로 시멘트 풍화의 정도를 알 수 있다. 4. 비중의 시험값에 의해 시멘트의 품종과 혼합시멘트에 있어서 혼합하는 재료의 함유 비율을 추정할 수 있다. 5. 혼합시멘트의 분말도 시험(브레인 방법)을 행할 때 시료의 양을 결정하는데 비중의 실측값이 이용된다. 6. 시멘트의..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12. 25. 응용수리학 및 실험 | 비에너지 곡선 TIP 실험용 개수로를 이용하여 매닝(Manning)의 평균유속공식을 이용하여 평균조도계수를 결정하고, 수심과 유량을 측정하여 비에너지 곡선을 작성한 후 한계수심을 결정한다. 이를 이론적으로 계산한 한계수심과 비교한다. 개수로 내의 정상 등류(steady uniform flow)란, 흐름의 특성이 시간에 따라 분별이고 공간적으로 변화하지 않는 흐름을 뜻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자를 이용하여 개수로의 폭을 측정한다. 2) 개수로의 경사를 설정 한다. 3) 수로에 물을 흘려서 유량을 설정 한 뒤 정상 등류 상태가 될 때까지 잠시 기다린 뒤에 정상 등류에 도달 했다고 판단되면 수심을 측정 한다. 4) 수로 경사와 유량을 변화시켜 3)의 실험을 반복한다. (조도계수 n을 계산하기 위한 자료) 5)..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8. 12. 수리학실험 | 연직 오리피스(Flow Through an Orifice) 오리피스(orifice) 수로의 측벽 또는 저면에 설치되어 물이 가득차 흐르는 규칙적인 유출구를 말하며 수량을 측정하거나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오리피스의 종류에는 작은 오리피스, 큰 오리피스, 수중 오리피스, 관 오리피스가 있으며 본 실험에서는 연직 오리피스(flow through an orifice)를 다루게된다. 연직 오리피스는 물이 실험장치를 통해 흐를 때 유량은 이상유체 가정 하에서의 값보다 상당히 작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유량의 감소는 오리피스 수맥의 수축현상으로 인해 에너지 손실이 발생할 뿐 아니라 유속분포가 균등하지 않기 때문에도 일어난다. 이러한 연직 오리피스 즉, 수조의 밑바닥에 설치된 예연공(sharp edged orifice)을 통해 대기 중으로 물을 방출할 때 유량의 감소, 수..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8. 10. 구조역학기초실험 | 보의 처짐 거등 측정 TIP 보의 과대하중이 작용 시 처짐이 발생하는 것을 관찰하고, 보의 소성파괴 모드를 이해한다. 캔틸레버 보 : 한 끝이 고정 지지되고, 다른 끝이 자유로운 보. 모자의 채양과 같이 한쪽만 지지되고 한쪽 끝은 돌출한 구조물 형식의 하나. 발코니나 처마 등의 돌출부에 구조적으로 채택된다. 지지벽 또는 기둥을 가로 질러서 돌출한 보, 트레스 등 기타 구조부재. 한쪽만 고정시키고(고정단) 다른 끝은 돌출시켜(자유단) 그 위에 하중을 지지하도록 한 구조(보). 공중에 떠있는 듯한 동적인 공간 효과와 햇빛을 막거나 경쾌하게 보이기 위하여 근대 건축 뿐만 아니라 의자 디자인에 채용함으로써 종래의 의자와는 전혀 다른 새로운 구조를 탄생시켰음. 응력에 많이 견딜 수 있는 구조 즉 철골구조, 철근콘크리트 구조 등을 쓰는..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7. 6. 구조역학기초실험 | 고무줄을 이용한 탄성계수 측정 및 계산 TIP 힘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을 이해할 수있다 실험 재료 100원짜리 동전 16개, 나무젓가락, 고무줄, 자 ,지지대, 비닐봉지, 물병 실험 방법 [구조역학기초실험]고무줄을 이용한 탄성계수 측정 및 계산 레포트 1. 실험 목적 가. 힘에 의한 구조물의 변형을 이해할 수있다 2. 실험 기구 및 시약 가. 실험 재료 100원짜리 동전 16개, 나무젓가락, 고무줄, 자 ,지지대, 비닐봉지, 물병 5. 토의 사항 가. 실 www.happycampus.com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7. 3. 구조역학실험 | 보의 휨과 모멘트 측정 TIP 1. 보의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휨모멘트가 발생한다. 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위치가 변할 때 보의 임의의 위치에서의 휨모멘트를 구하여야 한다. 2. 본 실험에서는 하중이 증가할 때 모멘트가 변하는 것과 임의의 위치에서 모멘트 변화를 측정하여 휨모멘트의 원리를 이해하고자 한다. 휨모멘트 부호와 관련된 이론 ① 휨 모양에 따른 모멘트 부호 ② 가상의 절단면에 따른 전단력과 모멘트 부호 실험 방법 1. 하중의 증가에 따른 모멘트의 증가 측정 2. 하중이 작용하는 위치에서 임의의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의 모멘트 측정 [구조역학실험]보의 휨과 모멘트 측정 레포트 1. 실험 목적 가. 보의 작용하는 하중에 의하여 휨모멘트가 발생한다. 보를 설계하기 위해서는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와 ..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7. 1. 건설재료시험 | 콘크리트 쪼갬 인장강도 시험 TIP 1. 콘크리트가 포장 슬래브, 물탱크 등과 같이 인장력을 받는 구조물에서는 인장강도가 중요 하므로 인장강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안장강도 시험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2.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작아, 철근 콘크리트 설계에서는 보통 무시되지만 건조수축, 온도변화에 의한 균열의 방지를 위해 필요하다. 인장강도 시험 종류 ① 직접 인장시험 : 공시체(봉상:奉狀)를 인장기구에 설치하여 잡아 당겨 파단시키는 방법으로 실험연구 이외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② 간접 인장시험 (쪼갬시험, 할렬 인장시험) : 직접인장시험에 대신하여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압축강도에서와 같이 KS F 2403에 따라 만든 공시체를 사용한다. 공시체를 눕힌 상태에서 압축력을 가하면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이 힘이 가..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20. 건설재료시험 | 철근 인장강도 시험 TIP 1. 철근의 인장강도를 시험함으로써 철근의 특성 및 성질을 이해할수 있다. 2. 철근의 항복점, 항복강도, 인장강도 등을 측정한다. 시험 방법 1. 시험 과정 1) 2m의 철근을 절삭기를 이용해 약 46㎝ 로 자른다. 2) 총 길이 46㎝ 철근을 중앙부분 16㎝ 로 하고, 중앙부 양 옆을 각각 15㎝ 로 잡아, 철근위에 분필로 표시를 해둔다. 3) 게이지 부착을 위해 이형철근의 수직부분의 중앙부를 약 5㎝ 정도 그라인더로 갈아준다. 4) 이물질 제거를 위해 그라인더로 간 부분을 신나로 세척한다. 5) 게이지를 부착을 위해 정확히 가운데를 표시한다. 6) 게이지를 붙일 준비를 하고, 준비가 됬으면 게이지를 CN(접착제)를 발라 중앙에 부착시킨다. 기름종이를 이용해 제대로 한번 더 부착시켜 준다. 7..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16. 토목공학실험 | 목재의 인장강도 시험 TIP 1. 목재의 인장강도와 영계수는 구조물의 구조설계 계산에 필요하다. 2. 목재의 물리적 성질을 판단할 수 있다. 목재의 인장강도 분류 1. 목재의 세로인장 ⓐ 섬유에 평행방향인 세로인장을 받으면 섬유가 가로 또는 경사로 절단되어 섬유사이의 부착이 떨어져 파괴된다. ⓑ 세로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서 크지만 이음이 어렵고, 옹이나 마디, 섬유의 변형 등으로 인장강도가 작아지기 쉬우므로 인장재로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2. 목재의 가로인장 ⓐ 섬유에 직각방향인 가로인장을 받으면 섬유가 길이방향으로 끊어지면 서 파괴된다. ⓑ 세로인장에비해서 매우 낮으며 인장방향이 나이테와 접선방향일 때는 세로인장의 약 2~10%이고, 나이테의 반지름방향일 때는 2~25%정도에 불과하다. 시험 방법(세로 인장시험) 1..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14. 건설재료시험 | 시멘트 모르타르의 인장강도 시험방법 TIP 1. 시멘트 모르타르의 인장강도 시험은 시멘트 자체의 인성을 파악하고, 실제 구조물에 사용되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추정하기 위함이다. 2. 마감 및 보수재료로 사용되는 시멘트 모르타르 자체의 인장강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시험 방법 1. 모르타르 배합, 표준주도 및 혼합 1) 표준 모르타르의 배합은 중량비로 하여 시멘트 1에 표준사 2.7로 한다. 1 배치에서 한번에 혼합하는 건조재료의 양은 6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1000~1200g으로 하고, 9개의 시험체에 대해서는 1500g~1800g으로 한다. 2) 표준 모르타르에 사용 할 물의 양은 같은 시멘트 시료를 사용해서 표준 주도를 나타낼 순 시멘트 반죽은 만드는데 소요된 수량을 기준으로 정한다.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이 중량비로 1:..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9. 토질역학실험 | 흙의 정수위 투수계수 시험 - KS F2322 TIP 흙 속의 물이 흐르는 성질을 투수성이라 하는데, 정수위법은 사질토와 같은 투수성이 큰 흙에 사용하는 시험으로 미리 물로 포화시킨 시료를 t(sec)사이의 투수량 Q(㎤/sec)를 일정한 수두차를 유지하면서 투수계수를 구하여 Darcy 법칙에 의해 earth dam, 제방, 도로, 매립지 등의 투수성을 예측 할 수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약 2kg의 흐트러진 시료를 준비, 무게를 측정한다. 2) 투수 몰드의 안지름을 측정하여 그 단면적을 계산한다. 3) 투수 몰드를 유공판 위에 올려 고정, 필터용 모래를 1㎝두께로 깐 후에 0.074㎜크기의 황동제망을 놓는다. 시료를 다짐봉으로 다지면서 투수몰드에 균등하고 일정하게 채우고 높이를 측정한다. 4) 투수 몰드에 투입하기 전의 시료의 중량..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1. 수리학실험 | 분사 충격(噴射衝擊, Jet Impact) TIP 분사충격실험[et Impact; JI, 모델명: EH-JI-8(한국, 은하유체 제작)]은 분사(僨射; jet)가 금속이나 플라스틱 제품으로 만든 여러 가지 형상중 평판 충격판(target)을 칠 때 생기는 충격력을 측정하여 이를 운동량의 변화율과 비교함으로써 역적-운동량의 원리(impulse momentum)를 확인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JI의 실험은 다음과 같은 순서에 의해 실시한다. 1) HB의 DCV를 조금 열고, JI의 급수관을 HB의 급수구에 클립 등을 이용해 연결시킨 후, JI의 DCV를 조금 열어 놓는다. 그 뒤 JI위에 수준기를 올려 놓고 수평이 되도록 조정다리의 나사를 이용해 최종적으로 조정을 맞춘다. 2) JI의 노즐과 충격판 사이의 거리 S를 축정하기 위해 중량접시 ..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3. 29. 수리학실험 | 유량 검증 TIP 1. 본 실험은 위어의 월류수심을 측정하여 이론값과 측정값을 비교하는 것을 목적한다. 2. 월류 높이로부터 계산된 이론적 유량과 개수로 내에서의 유속분포를 이용한 유량값, 실제 저수조로 유입된 유량을 측정하여 값을 비교 및 분석, 오차의 발생 원인을 이해한다. 삼각형 위어를 월류하는 월류수심을 측정하여 유량을 계산하고 유량계측기에 의한 유량과 비교 및 검토하여 삼각형 위어를 설치하여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실험이었다. 이론에 의하면 위어 월류량, 개수로 유량, 저수조 유량이 같아야한다. 하지만 측정결과를 가시화하였을 때 위어 월류량이 개수로, 저수조 유량보다 약 1/3, 1/10 크기로 현저히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것은 위어의 실제 유체는 위어의 가정 사항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3. 29.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