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코팅제 코팅의 목적 ① 의약품의 오미 차단 ② 제제를 환경 인자로부터 보호 ③ 서방화 (제제로부터 약물 방출 제어) ④ 장용화 (약물의 체내에서 방출부위 조절) ⑤ 다층정 (제제중 성분간 반응 방지) ⑥ 분립체의 표면 물성 제조 ⑦ 제제의 외관, 사용감 개선 코팅제 1) 당의 ① 백당시럽 장점 : 점성이 적당, 전염성, 부착성 좋음. 단점 : 탄력이 적음 → 기계적 강도를 부여하기 위해 층을 두껍게 함 ② 방수코팅: 쉘락, HPC, HMPC 2) 필름코팅제(피막제) : HPC, HPMC, CMC 등 물에 용해 또는 분산하는 셀룰로오스 유도체 3) 장용코팅제 : CAP, PVAP, HPMCP 등의 셀룰로오스의 프탈산유도체 4) 서방화 코팅제 : EC(에칠셀룰로오스), carnauba wax, eudragit, 고.. 보건의료/제제학 2021. 6. 16.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환제 환제의 첨가제 약리작용을 나타내지 않고, 제제의 시험에 장해가 되지 않아야 함. ① 부형제 : 일정한 크기의 환제로 만들기 위함 ex. 감초말, 포도당, 유당, 전분류, 유성물질로는 카카오지, 경화식물유, 무기물질로는 kaolin, Talc ② 결합제 : 원료의 결합성을 강화시키고 가소성을 주기 위함 ex. 시럽∙글리세린액 (1:1) , 고무∙포도당액, CMC액 ③ 붕해제 : 붕해성을 높이기 위함 ex. 라미나리아, 한천, 약용효모 ④ 환의 : 환의 표면을 보호하기 위함 ex. 석송자, talc, 전분, kaolin, 감초가루, 계피가루 환제의 제조 1. 전동식 조립법 가소성의 환제괴를 적당한 방법으로 1환에 상당하는 크기로 분할하여 2매의 평판 또는 벨트 사이에 이것을 놓고 전동시키면서 성환하는 것 1.. 보건의료/제제학 2021. 6. 13.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캡슐제 캡슐제 (capsules) 1. 장점 ① 젤라틴에 싸여 있는 불쾌한 맛이나 냄새가 없고 쉽게 연하 ② 약물 방출이 신속 ③ 착색 가능하여 제품의 감별, 확인이 용이 ④ 다량의 첨가제가 없고, 제조공정 간단 ⑤ 자동충전기 개발로 대량 생산 가능 ⑥ 고형뿐 아니라 액상 의약품 충전도 가능 2. 단점 : 습기에 약함 (보관조건 30~50% RH) 3. 제조원료 : 젤라틴 4. 가소제 : glycerin, sorbitol(다가알코올) 5. 경질캅셀 1) 원료 : 젤라틴과 백당 2) 가소제 : 글리세린, 아라비아고무, 한천 그 외 착색제, 차광제 (산화티탄), 보존제 첨가 6. 연질캅셀 1) 원료: 젤라틴 2) 가소제: 글리세린, D-sorbitol 등의 다가 알코올 경질캡슐제의 제조 1. 경질캡슐제의 제조공정 .. 보건의료/제제학 2021. 6. 12.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트로키제 트로키제 (troches) = 구중정 1. 정의 : 의약품을 일정한 형상으로 만든 것으로 입안에서 서서히 용해 또는 붕해되어 구강점막, 인두점막에 적용하는 국소작용을 기대하는 제제 2. 용도 : 국소작용, 이비인후과, 치과영역(살균소독제, 항생제 등) 3. 특징 : 일반적으로 압축정제, 습제정제 4. Pastilles : 습제성형법으로 만든 것 (=연질토로키제) 5. Bacilli : 소아용으로서 원통상의 캔디로 만들어 복용 쉽도록 한 것 6. 중량편차시험 : 20개. 10% 넘은 것이 2개 이하. 20% 이상이 없어야 함. (함량균일 시험법의 적용 받는 것은 이 시험을 적용하지 않음) 7. 첨가제 결합제 - Tragacautha. Arabia gum 습윤제 - Ethanol 연합시 점착 방지제 - 전분.. 보건의료/제제학 2021. 6. 10.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정제 3부 제정법 1. 직접분말압축법 의약품의 결정 또는 분말에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을 가하고 균일한 건성 혼합물로 직접 타정하는 방법 1) 장점 ① 수분, 열에 불안정한 약품, 특수 약품 (염화나트륨, 요오드화 나트륨, 붕산 등)에 적용. ② 과립화 과정 생략 → 시간, 경제적 이점 2) 단점 ① 분체의 압축성형성 (가소성) ② 분말 원료의 정제기로의 균일한 공급 ③ 정제의 feeder에서 공급하는 분말 원료성분의 편석 ④ 고속제정시 캡핑, 라미네이팅의 발생 2. 세미직접분말압축법 (개량법) : 미리 과립화한 주약을 혼합해서 제정하는 방법 1) 장점 ① 중량편차 적음 ② 용출성도 양호한 정제 만드는 것이 가능 ③ 주약의 물성을 그다지 고려할 필요가 없음 3. 건식과립압축법 : 저속타정기나 roller co.. 보건의료/제제학 2021. 6. 5.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정제 2부 정제의 첨가제 1) 부형제 (diluents) : 주약이 적을 때 희석 또는 증량의 목적 ① 유당 : 정제의 부피를 증가시킬 목적. 안정하여 대부분의 약품과 반응 안함. 물에 녹기 쉽고 주약 방출이 빠름. ② 전분 : 밀, 옥수수, 감자 등에서 얻음. 정제의 부피 증가목적 외에 결합제, 붕해제로도 사용. 유당과의 혼합물이 많이 쓰임. ③ 백당 : 감미의 목적, 강한 점착성이 있어서 결합제로 습식조립, 건식조립 어느 것에도 유효. 물에 녹기 쉽고, 주약을 용이하게 방출. 흡습성이 있고 산 알칼리에서 착색하므로 소량을 첨가. ④ 만니톨 : 결정수를 가지지 않고, 물에 민감한 약품의 첨가제로 유용. 감미와 냉량감. 저작정의 부형제로 쓰임. ⑤ 소르비톨 : 흡수성이 있는 것이 결점. ⑥ 무기염 : 제산제로 약효.. 보건의료/제제학 2021. 6. 1.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정제 1부 정제의 종류 1) 당의정: 당의를 입힌 정제. 당의에 의해 불괘한 냄새, 맛을 피하고, 자동 산화방지. 2) 필름코팅정: 표면을 폴리머의 얇은 막으로 피복한 정제. 당의정보다 코팅공정에 걸리는 시간이 훨씬 짧음. 3) 장용정: 위액에 저항하고 장내에서 붕해되는 소재로 코팅한 정제. 위내에서 분해되는 약물이나 점막 자극성 약물에 이 용, 작용 지속화의 목적에도 사용. 4) 내복정: 거의 대부분의 정제가 나정의 내복정, 복용하여 전신 효과 기대, 온수나 냉수로 복용. 5) 설하정: 편평한 이용성 정제로 혀밑에 넣어 약물을 급속히 구강 점막을 통해 흡수시킴. (ex. 니트로글리세린, 질산이소소르비드) 6) 바칼정: 평편한 정제로 뺨 안쪽에 삽입하여 약물을 구강점막으로 서서히 흡수. (ex. 스테로이드 호르몬,.. 보건의료/제제학 2021. 5. 30.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분립체의 물성 2부 분체밀도 1. 비중(specific gravity) : 어떤 물질의 질량과 그것과 동체적의 표준 물질의 질량비 (액체, 고체의 비중은 표준물질로 증류수를 사용한다) 2. 밀도(density) : 단위 체적당의 질량 1) 진밀도 : 물질 그 자체의 밀도로서 결정 격자내에 분자 또는 원자의 용적 이상의 큰 공극은 없는 것으로 한 경우의 밀도 2) 입자밀도 : 입자내부의 공극이나 표면의 것이라도 음푹 패이거나 틈이 갈라진 모관공극으로 밀도 측정용 유체가 침투할 수 없는 공극을 가진 입자의 체적을 측정하여 그 체적으로부터 계산한 밀도 3) 부피밀도 : 눈금이 있는 실린더에 분체를 충전하고 그 때의 분체의 무게와 체적으로부터 산출해 낸 밀도로서 입자내 공극은 물론 입자간의 공극도 포함 (입자군의 물성) 충전성 P.. 보건의료/제제학 2021. 5. 27.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분립체의 물성 1부 입자경 1. 입자경의 표현 방법 1) 3 축경 ① 단경 : 윤곽에 접하는 최단간격의 두 개의 평행선간의 거리 ② 장경 : 단경을 결정하는 평행선에 대해서 직각 방향인 두 개의 평행선간의 거리 ③ 두께 : 수평면에 평행이고 입자 표면에 접하는 평면의 높이 2) Feret 경 : 일정한 방향의 평행선 두 개로 입자를 꼭 끼우고 그 평행선간의 거리로 나타낸 것 (정방향경, Green경) 3) Matin 경: 정방향으로 입자의 투영면적을 2등분하는 선분의 길이로 나타낸 것 ① 정방향 최대경: 정방향으로 각 입자의 최대폭으로써 나타낸 것 ② 원상당경: 입자의 투영면적과 동일면적을 가진 원의 직경으로 나타낸 것(투영원 면적 상당경) 4) 상당경 ① 등체적구상당경: 입자와 동일체적인 구의 직경으로 나타낸 것 ② 등표.. 보건의료/제제학 2021. 5. 19.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단위조작 2부 분급 1. 사별분급 (sieve screening) : 체로 치는 방법, 비교적 큰 입자의 분급에 사용 2. 기류분급 (air current classification) : 200 mesh 이하의 미립을 분급 ①중력식 : 관내를 상승하는 기류 중에 분체를 송입 ②관성식 : 입자를 함유한 기류의 방향을 급히 변경하면 입자의 중량차에 의해 날아가는 거리가 달라짐을 이용 ③원심식 : 원심력을 이용, 미분의 침강을 극히 빠르게 할 수 있음. 혼합 1. 고체 상호간의 혼합 1) 입자 크기를 작게 하고 균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 2) 기하학적 희석법: 소량의 약품과 대량의 약품 혼합시 동량을 혼합하는 것을 반복 3) 용매방식: 주약과 부형제의 물성에 차이가 있을 때에는 주약을 적당한 용매에 녹인 것을 일부의 부형제.. 보건의료/제제학 2021. 5. 15.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단위조작 1부 분쇄 1. 분쇄 : 물리적인 수단으로 약품을 분말, 소편으로 하는 것 2. 목적 ① 약품의 표면적 증대 → 용해 촉진 ② 약품의 복용 용이 → 흡수 신속 ③ 약품의 분산 용이 → 다른 약과의 혼화를 치밀, 균일성 향상 (예 : 현탁제) ④ 약품의 피부에의 부착 용이 (예 : 산포제) ⑤ 생약의 침출 촉진 ⑥ 생체이용률 상승 3. 분쇄 조작 1) 분쇄 조건에 따라 ① 건식 분쇄: 미리 건조한 원료 사용 ② 습식 분쇄: 물 등을 가함 ③ 저온 분쇄: 정유를 함유하거나 열에 불안정한 약품에 적용 ④ jet 분쇄: 강한 기류이용, 저온 분쇄에 해당 2) 시료의 공급방식에 따라 ① 회분분쇄방식: 일정량의 원료를 분쇄기에 넣고 분쇄 끝날 때까지 배출구를 닫고 행함 (폐쇄분쇄, Batch type) ② 연속개회로방식.. 보건의료/제제학 2021. 5. 6.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분립체의 형태 결정 1. 재결정: 결정성 의약품의 정제법 ① 미세 결정 – 약품의 열포화 용액을 흔들어 섞으면서 급속 냉각 ② 중형의 결정 – 중 정도의 농도 용액에 기계적 자극을 가하여 따뜻한 곳에서 서서히 방냉 ③ 대형의 결정 - 상온에서 자연스럽게 증발 2. 정립: 결정화의 중단이나 침전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 ① 조해성, 흡습성이 없는 풍화성 의약품 (염화나트륨, 황산철, 치오황산나트륨, 탄산칼륨, 펜토바르비탈) 및 ② 용해도가 비교적 작은 약품 또는 결정괴가 단단해서 용해하기 어려운 의약품 (d-캄파, indigocarmine) 에 적용 3. 결정수: 무수물이 용해가 빠름 → 흡수도 잘됨 4. 비등염: 비등염을 만드는데 쓰이는 산 (주석산, 구연산)과 알칼리 (탄산수소나트륨)는 모두 무수의 건조품 사용 5. 결.. 보건의료/제제학 2021. 5. 1. 분립체 제제 및 성형제제 | 제제의 종류와 특징 제제의 특징 1. 분립체 제제의 일반적인 특징 ① 액상제제에 비하여 약용량의 채취와 복용이 용이 ② 성형제제와 비교하여 흡수면에서 유리 ③ 화학변화와 미생물 오염에 대하여 안정 ④ 다른 약과 배합변화가 적음 ⑤ 약용량이 커 성형제제로 하기 어려운 고형 약품의 제형으로 적당 산제 1. 의약품을 분말상으로 만든 것 2. 장점 : 입자의 비표면적이 커 내복시 용해, 흡수면에서 다른 고형제제에 비해 유리 3. 약전에수재된 산제 : 아스코르빈산, 염산에페드린산, 인산토데인산, 아연화전분, 복방아스피린, 페나세틴, 카페인산 등 배산 1. 예비제제로 하면 조제시 편리 2. 희석제로 전분, 유당 사용 3. 주의점 : 균등혼화, 색소이용 (독약-청, 극약-적) ex. 페노바르비탈 10배산, 스코폴리아엑스 10배산, 멘톨.. 보건의료/제제학 2021. 5. 1. 제제학 실험 | 비교 용출 시험 TIP 정제 한 tablet을 용출기에 넣고 압력에 따라 타정한 tablet의 약물 입자가 시간에 따라 용해되는 과정을 비교 할 수 있다. 제 1 법 (회전검체통법, 장치 1) 장치는 뚜껑이 있는 유리 또는 투명한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재질의 용기, 모터, 회전축 및 원통형의 검체통으로 되어 있다. 용기는 적당한 크기의 항온수조에 설치하거나 항온덮개(자케트) 등에 넣고 가온한다. 항온수조 또는 항온덮개는 시험할 때 용기안의 온도가 37 ± 0.5 ℃ 가 되도록 하고 또한 항온수조 안의 액체가 부드럽게 움직이도록 조정한다. 교반부의 부드러운 회전 외에 장치가 설치된 주변 환경과 장치에 기인하는 요동이나 진동이 생기지 않도록 한다. 조작 중에는 검체 및 교반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 용기는 아래부위가 반.. 보건의료/제제학 2020. 7. 9. 제제학개론 | 정제 제조 과정 TIP 1. 압축타정을 위해 분말/결정이 갖추어야 할 성질 2. 타정기 (정제기, tableting machine, tab-let presses) 3. 압축정의 제조 압축타정을 위해 분말/결정이 갖추어야 할 성질 1. 자유흐름성(Free-flowing) 정제의 무게는 die를 채우는 물질의 부피에 의해 결정된다. 자유흐름이 균일한 충진과 연속적인 이동을 위해 중요하다. 2. 응집성(cohesiveness) 정제가 부서지기 않기 위해서 응집성이 중요하다. 3. 윤활기능(lubirication) 펀치가 다이 안에서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며, 정제가 쉽게 펀치 표면에서 분리 되어야 한다. 타정기 (정제기, tableting machine, tab-let presses) 정제는 타정용 분말이나 과립에 활택제나 붕.. 보건의료/제제학 2019. 12. 2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