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gineering/신소재 공학

신소재공학실험 | 면저항

곰뚱 2021. 3. 9.

신소재공학실험  |  면저항

 

 

 

TIP
 
 

1. 도체,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면저항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측정된 면저항을 비저항, 전기전도율로 변환하는 법을 익히며, 면저항과 비저항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2. 먼저 이 실험의 목적은 비저항, 면저항 등의 개념을 확실히 알고, 서로 다른 시편의 면저항을 측정한 후 각각의 시편의 면저항이 왜 다른지 생각해보고 어떤 재료를 사용하여 설계하고자 할 때 가장 적합한 재료를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데 목적이 있다.

 

 

 

면저항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갖는 얇은 박막에서 두께가 매우 작다면 2차원적인 면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때 단위면적당 저항을 면저항이라고 한다. 단위는 /sq 로 나타낸다. sq는 미터법이 아닌 별도의 단위로 무한대의 면적으로 해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면저항 값은 태양전지, 연료전지, OLED 등의 벌크 및 박막의 전도성을 검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선저항은 두개의 probe로 임의의 거리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지만, 면저항의 경우에는 동일한 간격의 4개탐침으로 측정하게 된다.

 

면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4 point probe방법, van der pauw's 방법이 있다. 여기서 4 point probe방법은 Probe4 point probe이고, 일반적으로 탐침은 1mm간격으로 일렬구성된 probe를 사용하며, 4개의 탐침으로 전류와 전압을 측정하여, 저항값을 구한 후, 면저항 단위인 ohm/sq로 계산하기 위해 보정계수(C.F)를 적용한다.

 

신소재공학실험  |  면저항 - undefined - 면저항

728x90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편의 크기를 측정하고 면저항 측정기에 시편정보 기입 후, 측정방법을 정한다.

 

2) 실험하고자 하는 시편에 측정기의 탐침부분을 압입한다.

 

3) 측정값을 기록한 후 7회 반복한다.

 

4) 최대값, 최소값을 제외한 5회의 평균을 구한다.

 

5) 면저항을 바탕으로 비저항, 전기전도도를 구한다.

 

6) 차이가 나는 이유를 분석한다.

 

 

 

 

[신소재공학실험]면저항 레포트

1. 실험 목적 1.1. 도체,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이해하고 면저항을 측정하여 비교한다. 측정된 면저항을 비저항, 전기전도율로 변환하는 법을 익히며, 면저항과 비저항의 차이에 대해 알아본다....

www.happycampus.com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