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체 주요 구성 성분인 지질의 특성과 기능을 이해하고, 지질과 반응하여 발색하는 수단Ⅲ 용액을 이용하여 지질의 분포를 살펴본다.
지질의 구조
1. 지질의 기본 구조
지방산 (RCOOH) + 글리세롤 (R’OH) → (RCOOR’)
2. 지방산
① 탄소, 수소, 산소로 구성
② 구조의 양쪽 끝에 메틸기(-CH3)와 카르복실기(-COOH)가 있다
③ 탄소 사슬의 길이 및 이중 결합의 수와 위치에 따라 자연계에 다양한 지방산이 존재한다.
④ 식품 함유 지방산의 탄소 수 2∼24개
3. 중성지질(triglyceride, TG) = 1 글리세롤 + 3 지방산
① 자연계에 존재하는 지방의 95%를 차지
② DG(diglyceride)=1 글리세롤 + 2 지방산
③ MG(monoglyceride)=1 글리세롤 +1 지방산
④ 중성지질에 결합되어 있는 지방산의 탄소길이, 불포화도, 불포화기의 위치에 따라 중성지질의 융점, 맛, 체내대사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4. 인지질
① 구조: 1글리세롤 + 2지방산 + 1인산기
② 인산기가 결합된 머리 부분(친수성)은 외각의 물과 상호작용, 지방산 꼬리(소수성)는 물과 멀리 하려고 안쪽으로 덩어리가 되어 모임.
③ 인체 내에서 세포막의 구성성분
④ 세포막의 유동성을 유지, 소수성물질 운반
⑤ 유화작용: 수용성과 지용성 영양소를 모두 통과시킴
⑥ 종류: 레시틴(콩 및 세포막에 함유),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글리세롤,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실험 방법
실험 1. 지질의 검출
1) 해바라기 종자 1개 또는 깨 0.1g을 막자사발에 넣고 막자를 이용하여 분쇄한다.
2) 분쇄한 해바라기 종자, 깨는 유산지를 이용하고 각각 다른 시험관에 넣고, 식용유 1㎖는 스포이드를 이용하여 다른 시험관에 넣는다(총 3개의 시험관).
3) 준비한 시험관에 물 2㎖를 가하여 중탕기에 5분간 끊인다.
4) 0.1% 수단Ⅲ용액 3방울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5) 시험관을 바로 세우고 염색되는 층을 관찰한다.
실험 2. 지질의 분포 관찰
1) 회양목 잎 또는 주목 잎을 횡단면으로 얇게 자른다.
2) 슬라이드 글라스에 놓고 0.1%수단Ⅲ용액 1방울을 떨어뜨려 1분간 염색한다.
3) 시료를 증류수로 세척하고 커버글라스를 덮어 여과지로 물기 제거 후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4) 잎 횡단면에 분포되어 있는 지질층을 관찰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