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 표본으로부터 책상조직, 유세포, 공변세포, 엽록체 등을 관찰하고 구분할 수 있다.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
속씨식물은 1억년 이상 이땅을 지배해오고 있으며 현재 약25만종류가 있다. 그중 수백종류의 씨식물은 식량으로 이용된다. 식물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속씨식물은 외떡잎과 쌍떡잎의 두군으로 분류한다. 이들은 싹이 날 때 배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떡잎의 수에 따라 분류되는데 외떡잎은 떡잎이 하나이고 쌍떡잎은 떡잎이 두 개다.
외떡잎식물로는 곡류와 풀 종류뿐 아니라 나, 대나무, 야자, 백합 등을 들 수 있다. 씨의 안쪽에 한 개의 떡잎이 있다. 또한 줄기, 꽃, 뿌리 등도 쌍떡잎식물과는 뚜렷하게 구별되어 외떡잎식물의 잎맥은 평행하고 줄기의 관다발조직이 복합 배열되어 있다. 외떡잎식물의 꽃잎은 주로 3의 배수로 되어 있고 뿌리는 흙의 표면 바로 밑층에 퍼져있어 땅을 몇 센티미터씩 덮고 있는 것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특히 풀의 뿌리로 인해 토양 침식이 감소된다.
실험 방법
1. 단자엽 식물 관찰
1) 단자엽 식물의 뿌리, 줄기를 준비한다.
2) 면도칼로 각각의 부위의 횡단면과 종단면을 얇게 벗겨낸다. 이 때, 해부현미경을 이용하여 세밀하게 벗겨낸다.
3) 얇게 벗겨낸 표본을 이용하여 프레파라트를 제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2. 쌍자엽 식물 관찰
1) 쌍자엽 식물의 뿌리, 줄기를 준비한다.
2) 면도칼로 각각의 부위의 횡단면과 종단면을 얇게 벗겨낸다. 이 때, 해부현미경을 이용하여 세밀하게 벗겨낸다.
3) 얇게 벗겨낸 표본을 이용하여 프레파라트를 제작하여 현미경으로 관찰한다.
[세포생물학실험] 육상식물의 기관별 세포의 기능과 특징 관찰 레포트
1. 실험 목적 1.1. 식물 표본으로부터 책상조직, 유세포, 공변세포, 엽록체 등을 관찰하고 구분할 수 있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2.1.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 속씨식물은 1억년 이상 이땅을 지배
www.happycampu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