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접지의 개념 및 중요성
2. 오실로스코프의 XY 모드의 사용법
3. 리사주 패턴
저항과 커패시터에 걸리는 전압을 오실로스코프에 가하는 방법
1. 오실로스코프 프로브의 연결
① 측정방법
․ CH1의 프로브의 (+), (-) 단자를 노드 X, Y에, CH2의 푸로브의 (+), (-) 단자를 노드 Y, Z에 연결한다.
② 문제점
․ 오실로스코프의 CH1의 (-) 단자와 CH2의 (-) 단자가 내부적으로 접지되어 연결되어 있으므로 회로상에서 노드 Y와 노드 Z는 단락되어진다.
③ 해결방법
․ CH1과 CH2의 (-) 단자를 회로상에서 같은 노드에 연결한다.
․ CH2의 (+), (-) 단자를 노드 Z, Y에 연결한다.
․ CH2의 INVERT 스위치를 눌러 파형을 반전시킨다.
2. 함수발생기의 연결
① 연결방법
․ 함수발생기의 (+), (-) 단자를 노드 X, Z에 연결한다.
② 문제점
․ 일반적으로 계측장비의 접지는 전원선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 전원선의 접지를 통해 노드 Z와 노드 Y는 단락되어진다.
③ 해결방법
․ 함수발생기의 접지가 전원선의 접지로 연결이 되지 않도록 분리해야 한다.
실험 방법
1) 아래와 같은 전압 분배기 회로를 구성하고 오실로스코프를 이용하여 전압 V를 측정하라. 이로부터 오실로스코프 프로브의 내부 저항을 계산하라.
![](https://blog.kakaocdn.net/dn/cIxQKd/btrA34mO6iO/CPBeK5cxklL2z6xPMWYOVK/img.png)
2) 위의 회로에서 디지털 멀티미터를 사용하여(여러 전압 범위에 대하여)각각 전압을 측정하라. 이로부터 디지털 멀티미터 각 전압 범위에 대한 내부 저항을 계산하라.
3) 함수 발생기의 개방 출력 전압과 51Ω으로 종단한 경우의 출력 전압에 대하여 오실로스코프로 전압의 크기를 비교하라. 이 결과로부터 함수발생기의 출력저항을 구하라.
4) 1번과 마찬가지로 Rs에 해당하는 51Ω과 오실로스코프에서 양단의 걸리는 전압 Vm을 확인하고 전류 I를 구한후 Rm을 구하면 된다. 이 때 Rm은 함수 발생기의 출력 저항이된다.
5) 실험 3)에서 저항을 100Ω과 150Ω으로 바꾼 후 반복하라. Rs에 해당하는 100Ω과 150Ω을 넣고 실험을 반복한다.
[기초회로실험]접지의 개념과 리사주 패턴 레포트
1. 실험 질문 1.1. 예비 보고 사항 1.1.1. 실험 회로 3-1에서 주파수가 1kHz이고, 커패시터 값이 0.1uF일 때 커패시터와 저항에 걸리는 전압의 크기를 같게 하기 위한 저항값을 구하라. 저항에 걸리는 전
www.happycampu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