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Gram staining의 원리와 방법을 숙지한다.
2. Gram(+)균과 Gram(-)균을 관찰하여 미생물 분류의 기본을 익힌다.
세균의 세포벽의 구조 차이를 이용하여 분류하는 기초적 세균염색법의 일종으로 1984년 Christian Gram이 창안, 현재는 1921년 Hucker의 개선된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이것은 세균을 크게 2군으로 분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 왔으며 가장 기본적인 염색 방법이다.
우선 열고정시킨 세균을 염기성 색소로 염색한 후, I2-KI 혼합용액으로 처리한 다음, 아세톤 또는 알코올로 탈색하여 다른 색소로 염색한다. 처음에 염색한 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Gram(+)라고 하고, 두번째 염색색소로 염색되는 것을 Gram(-)라 한다. Gram(+)균(포도상구균, 폐렴연쇄균, 연쇄구균, 결핵균 등)은 짙은 자색으로 물드는 한편, Gram(-)균(대장균, 이질균, 스피로헤타 등)은 두번째 염색액의 색을 나타내기 때문에 세균 감별에 사용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세균시료 A, B(1㎕)를 Slide glass에 평평하게 도말 후 알코올램프로 살짝 건조시켜 고정시킨다.
2) crystal violet 50ul를 시료에 떨어뜨리고 2분간 염색한 후 흐르는 물로 가볍게 세척한다.
3) Iodine 착색제 100ul를 시료에 떨어뜨리고 2분간 착색한 후 흐르는 물로 가볍게 세척한다.
4) Slide glass를 Ethanol에 2초간 담그고 흐르는 물로 가볍게 세척한다.
5) Safranin O 50ul를 시료에 떨어뜨리고 2분간 염색한 후 흐르는 물로 가볍게 세척한다.
6) 공기중에 건조한다.
7) 현미경으로 관찰한다.(100X→1000X)
[일반생물학실험]Gram Staining 레포트
1. 실험 목적 가. Gram staining의 원리와 방법을 숙지한다. 나. Gram(+)균과 Gram(-)균을 관찰하여 미생물 분류의 기본을 익힌다.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실험 배경 세균의 세포벽의 구조 차이를 이용하...
www.happycampu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