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공여과기를 이용하여 폐수내의 비저항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진공여과는 폐수슬러지를 탈수 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계식 탈수기 이며 생슬러지나 소화 슬러지의 탈수에 모두 이용할 수 있다. 다공질의 여과제 위에 탈수고형물을 안전하게 놓고, 진공압에 의해 수분만을 제거하는 방법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슬러지를 약 10분간 교반시킨후 온도를 측정.
2) 건조시킨 여과지의 무게를 측정.
3) 건조시킨 여과지에 물을 적신후 funnel위에 놓는다.
4) 진공흡인력을 조정한다.
5) 시료를 여과지에 주입하여 압력을 15~20inHg 정도로 조절한다.
6) 진공을 가하여 경과시가에 따르는 탈수량을 기록한다.
7) 여과지에 형성된 케익의 무게를 측정한다.
8) 여과지에 형성된 케익을 105℃에서 2시간 건조시킨다.
9) 건조된 케익이 있는 여과지의 무게를 측정한다.
10) 증발접시를 씻어 건조기에 넣고 건조시킨다.
11) 증발접시의 무게를 측정한다.
12) 증발접시에 적당량의 시료를 넣고 건조시킨다.
13) 건조시킨 증발접시의 케익무게를 측정한다.
[환경공학실험]비저항계수 측정 레포트
1. 실험 목적 가. 진공여과기를 이용하여 폐수내의 비저항계수를 측정할 수 있다. 진공여과는 폐수슬러지를 탈수 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것으로, 가장 널리 이용되는 기계식 탈수기 이며 생슬러
www.happycampus.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