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y/미생물학

미생물실험 | 미생물 희석법과 생균수 측정 - Spread/Pour plate

곰뚱 2019. 11. 26.

 

 

 

세균의 계수

식품이나 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를 알아보는 방법이며, 배양된 배지에 나타나는 미생물의 colony의 수를 계수하는 것이다. colony의 수를 계수하는 이유는 식품위생과 관련이 깊다. 미생물은 다양한 장소 곳곳에서 존재한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도 예외가 아니다. 생균수의 측정은 식품의 현재 오염정도나 부패의 진행도 등을 알기위해 측정한다.

 

우선 식품의 위생검사 목적중 위생성, 보존성의 여부가 생균수 측정만으로 가능하며 각 식품에 정해져 있는 미생물 기준치가 있는데, 그 기준치와 실제 측정하는 식품의 미생물 수를 비교해 보면서 식품이 오염됐는지 알아볼 수 있고, 면역이 약한 환자의 음식 등과 같은 상황에 따라 임의로 미생물의 수를 낮추거나 올리며 조절할 수도 있다.

 

균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살아있는 세균만 측정하는 경우와 모든 세균을 측정하는 경우가 있는데 생균수만을 측정하는 경우는 식품의 현재 오염정도나 부패의 진행도 등을 알아볼 때 사용하며 총 세균수의 측정은 가열살균한 제품의 위생상태 등을 알아볼 때 사용된다. 세균의 계수를 측정할 때는 여러 가지 방법 중 페트리디시를 쓰는 평판법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는데, 평판 법은 생균측정법이다.

 

생균측정 실험에서 얻어지는 집락의 수는 접종 량과 생존력은 당연하고, 배지성분이나 배양조건, 배양시간에 따라 좌우되며 집락의 크기도 일정하지 않다. 생균측정법은 피펫의 오차, 시료의 불균질성, 희석 시 불충분한 혼합 등 여러 가지 다른 요인에 의해 오차가 커진다. 그래서 주의깊은 실험과 일관성이 요구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방법은 매우 적은 수의 생균도 측정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민감도 때문에 시료의 낮은 오염도 검출 할 수 있어서 미생물학의 여러 분야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spread plate(분산 평판법)pour plate(주입 평판법)을 이용해 율무차에 들어있는 생균수를 측정 해 보았다. 분산 평판 법은 미리 만들어 둔 평판배지에 시료를 넣고 골고루 펼친 후 생육된 colony를 세는 방법이고, 주입 평판 법은 시료를 페트리디쉬에 넣은 뒤 준비해 둔 따뜻한 배지를 부은 뒤 같이 섞어준 후 나타난 colony수를 세는 법이다.

 

평판배지에 넣을 시료는 세균시료와 멸균 생리식염수를 섞어주는데, 이때 생리식염수 대신 증류수를 사용하게 되면 세균이 죽을 수도 있다. 분산 평판 법은 호기성 미생물만 배지에서 자랄 수 있으나, 주입 평판 법은 호기성 미생물, 혐기성 미생물 두 가지의 미생물이 모두 자랄 수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실험을 하기 전에는 꼭 손과 팔에 착용한 시계, 팔찌, 반지 등을 빼고 70%알코올로 손, , 주변을 깨끗이 소독한다.

 

2) 27의 생리식염수에 3의 율무차를 넣고 섞어준다.(10배 희석)

 

3) 피펫의 맨 윗부분에 있는 모으고자 하는 용량을 정하는 부분에 1의 액체만이 들어갈 수 있게 설정해준다. 그리고 9의 생리식염수에 10배 희석한 율무차를 1넣은 뒤 피펫을 눌렀다 놨다 하며 생리식염수와 율무차를 섞어준다. (100배 희석)

 

4) 또 다른9의 생리식염수에 100배 희석한 율무차 1를 넣고 피펫을 눌렀다 놨다 하며 섞어준다. (1000배 희석)

 

5) 또 다른9의 생리식염수에 1000배 희석한 율무차 1를 넣고 피펫을 눌렀다 놨다 하며 섞어준다. (10000배 희석)(생리식염수와 희석한 액체를 담은 유리 시험관을 열고 닫기 전에는 무조건 알코올 램프에 갖다 대 멸균해 줘야한다.)

 

6) Spread plate(분산 평판법)

 

7) Pour plate (주입 평판법)

 

8) 이렇게 만들어진 배지들을 굳을 때 까지 기다린 뒤 굳어지면 페트리디 쉬를 뒤집고 인큐베이터에 넣어 미생물이 자랄 때 까지 기다린다.

 

 

 

 

미생물 실험 - 미생물 희석법과 생균수 측정 레포트

1. 실험 이론 및 원리 1.1. 세균의 계수 식품이나 물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수를 알아보는 방법이며, 배양된 배지에 나타나는 미생물의 colony의 수를 계수하는 것이다. colony의 수를 계수하는 이유는 식품위생과 관련이 깊다. 미생물은 다양한 장소 곳곳에서 존재한다. 우리가 먹는 음식물도 예외가 아니다. 생균수의 측정은 식품의 현재 오염정도나 부패의 진행도 등을 알기위해 측정한다. 우선 식품의 위생검사 목적중 위생성, 보존성의 여부가 생균수 측정만

www.happycampus.com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