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Hot plate test를 통한 농도별 morphine의 진통효과 시험
2. Tail-flick test, Writhing test를 통한 morphine, aspirin, indomethacin, codeine의 진통 효과 시험
진통제는 크게 아편계 진통제 (opoid analgesics)와 비마약성 진통제 또는 해열진통제(antipyretic analsesics)의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인체 내에서 프로스타글란딘 (Prostagladin)이라는 물질을 억제하여 통증의 역치를 상승시켜 진통 효과를 나타내는 약물이고, 진통효과 이외에 해열, 소염 효과도 나타나게 된다. 비마약성 진통제는 진통, 해열 작용을 나타내는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과 진통, 해열, 소염 작용을 나타내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로 나눌 수 있다.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등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계 약물에 속한다.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는 소염작용이 있기 때문에 주로 염증을 동반한 관절염에 사용되고 있다.
마약성 진통계는 아편계와 합성진통제, morphine antagonist로 나눌 수 있으며 opium alkaloid 및 그 유도체에는 morphine, codeine, heroin, dionin, diandid, pantopen, metopen, levorphanol, hydreocodeine이 속하며 합성진통제에는 methacone, mepericine, anileridine, alphaprodine이 있고, morphine 길항제에는 nalorphine, levallorphan이 있다. 마약성 진통제를 통증이 없는 일반인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쾌감, 또는 불쾌감이 나타날 수 있는데, 마약중독자들은 이러한 쾌감을 경험하기 위해 사용하며, 쉽게 내성이 생기고, 중독을 일으킨다.
하지만, 통증이 심한 환자가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할 때에는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이러한 쾌감, 또는 불쾌감은 나타나지 않고, 내성이나 중독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다. 마약성 진통제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변비, 구역, 구토, 졸음, 호흡부전 등이 있다. 마약성 진통제를 장기간 사용할 때 변비는 계속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변비에 대한 치료가 병행되어야 하지만, 구역, 구토, 졸음은 점차 약해지거나 없어질 수 있고, 환자에 따라 견디기 힘든 경우에는 보조치료제를 사용한다.
호흡부전은 마약성 진통제의 사용경험이 적은 환자가 지나치게 높은 용량을 사용할 때 나타날 수 있으며, 생명을 위협하는 치명적인 부작용이기 때문에 마약성 진통제를 처음 투여하는 환자에게 가장 주의해야 하는 부작용이다. 본 실험에서 사용할 진통제는 마약성 진통제로 morphine, codeine, NSAIDs로서 aspirin과 indomethacin이다.
실험 방법
실험 1. Hot plate test
Hot plate test를 위하여 mouse #1~#4를 사용하였다.
Hot plate는 60℃를 맞추어 놓고 실험을 시행했다. 우선 mouse가 hot plate에 적응할 수 있도록 훈련하기 위해 약물을 투여하기 전 hot plate에 올려 놓고 최초 반응시간(latency time)을 측정하였다. 최초 반응시간이라는 것은 여러 반응 중 온몸을 핥거나 뛰어오르는 행동이 나타나는 시점으로 하였다. 이때 cut off time은 60초로 하여 관찰하였다. 훈련은 2회 실시하였다. 훈련 후 다시 최초 반응시간(Tpre)을 측정하고, Table 2에 나타낸 용량으로 약물을 s.c.투여한 후 30분간 방치한 후 다시 최초 반응시간(Tpost)을 측정하였다. 각 실험대의 결과를 종합하여 Maximum possible effect (MPE)를 계산하고 통계 분석하여 용량에 따른 진통제 효과가 유의하게 변하는지 살펴본다.
실험 2. Tail-flick test 및 Writhing test
Tail-flick test를 위하여 mouse #5~#7을 사용하였다. mouse #5에는 saline 10㎖/㎏을 p.o. 투여하였다. mouse #6에는 2% aspirin을 200㎎/㎏ 용량으로 p.o.로 투여하고, mouse #7에는 홀수대는 0.1% morphine을 10㎎/㎏ 용량으로 s.c. 투여하고 짝수대는 0.1% codeine을 10㎎/㎏ 용량으로 s.c.투여하였다. 실험대(6대)의 약물 투여량을 정리하여 Table 3에 표시하였다.
Tail-flick test기로 mouse 꼬리에 광선을 쪼이면 일시적으로 꼬리가 굳어 꺾어지는 reflex가 일어나는데, 이 반응시간을 측정한다. 우선 mouse가 약물을 투여하기 전 tail-flick test를 하여 반응시간(Tpre)을 측정하였다. 약물을 투여한 후 위의 Table 3과 같이 약물을 투여하고 20분간 방치 후, 다시 tail-flick test를 하여 반응시간(Tpost)을 측정하였다. Tail-flick test 에 쓰였던 mouse #5~#7은 writhing test에 다시 사용하였다 Writhing test를 시행하기 위하여 위와 같이 최초 약물투여 후 30분이 지난 시점에서 0.5% acetic acid 0.3㎖/20g을 i.p.투여하였다. 실험대(6대)의 acetic acid 투여용량을 다음 Table 4에 정리하였다.
Writhing이란 mouse가 온 몸을 쭉 stretching하고 배를 바닥에 대는 행동을 말한다. 위의 Table 4. 처럼 약물을 투여한 후 10분동안 writhing 횟수를 측정한다.(2회 반복)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Maximum possible effect (MPE)를 계산하고, writhing test에서의 analgesic effect를 아래와 같이 계산한다. 각 실험대의 결과를 종합하여 통계 분석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