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최소성장억제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의 의미와 측정 목적의 이해
2. MIC를 측정하는 방법을 이해와 숙지
3. 농도 희석의 방법을 알고 측정에 적용.
4. culture tube의 사용법을 이해하고 실험에 적용
화학요법 (chemotherapy)
감염 미생물에만 선택적으로 독성을 나타내는 화학물질을 투여하여 미생 물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죽임으로써 숙주의 방어 작전을 도움.
화학요법제(chemotherapeutic agent) = 항미생물제(antimicrobial agent) = 항감염제(anti-infective agent)
광범위의 화학요법제= 항생물질과 같은 천연물질 + 유기합성품
좁은 범위의 화학요법제 화학합성 의약품만 일컫고 천연물질인 항생물질 (antibiotic)은 독립시켜 취급
항생물질 (antibiotic)
미생물체가 생존을 위해 다른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기 위해 생상하는 특수한 화학물질, 현재는 감염증 치료를 위한 의약품으로 개발하여 사용함.
최근에는 항생물질이란 용어를 광의의 화학요법제, 즉 항미생물제의 개념으로 사용하는 경향도 있다.
항미생물작용(antimicrobial action)
항미생물제가 미생물의 발육을 저해하는 정균작용(bacteriostatic) 과 생명력을 잃게 하는 살균작용(bactericidal)으로 구분.
항미생물제의 항균활성은 강도와 범위 측면에서 평가
항균범위 (antibacterial spectrum): 감수성을 나타내는 세균의 범위
활성강도 : 얼마나 적은 양으로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가를 의미하며 최소성장억제농도(MIC)로 측 정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Pto와 DH5α를 배양할 Culture tube를 준비하고 세균별로 6개씩 총 2set의 tube에 항생제(Gentamycin)의 농도가 높은쪽을 1번으로 하여 낮은 순으로 labling했다.
2) 각 1번 튜브에 micro pipette을 이용하여 액체배지 3㎖을 넣고, 나머지 2~6번 tube에 micro pipette을 이용하여 액체배지를 2.7㎖씩 넣었다.
3) 1번 튜브에 항생제(25mg/㎖) 3㎕를 넣고 튜브를 잘 흔들어 항생제가 배지에 고루 섞이도록 하였다.
4) 1번 튜브에서 25μg/㎖로 희석된 항생제에서 300 ㎕ 를 취해서 2번 tube에 넣고, 항생제가 배지에 고루 섞이도록 하였다.
5) 2번 튜브에서 희석된 항생제에서 300 ㎕ 를 취해서 3번 tube에 넣고, 항생제가 배지에 고루 섞이도록 하였다.
6) 같은 방법으로 낮은 label의 희석된 항생제 tube에서 300 ㎕ 를 취해서 다음 번호의 tube에 넣고, 잘 흔들어 항생제가 배지에 고르게 희석되도록 하는 과정을 6번 tube까지 반복했다.
7) 5㎕ 의 DH5α를 micro pipette으로 취하여 각 1~6번 tube 1set에 주입한다. culture tube에서 pipette 끝을 배양액에 잠기게 하여 미생물을 주입했다.
8) 다른 set의 배양액 tube에는 Pto 5㎕를 7)과 같은 방법으로 주입했다.
9) DH5α를 넣은 tube는 37℃, Pto를 넣은 tube는 30℃ 배양 조건으로 Shaking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