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일반생물학실험 | Measure α-Amylase Activity

곰뚱 2020. 4. 19.

TIP
 
 

1. 침에 의한 효소 작용과 그 성분을 유추할 수 있다.
2. Maltose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침에 들어있는 효소의 양을 구할 수 있다.

 

 

 

표준 곡선 (standard curve, master curve, type curve)

대표적인 여러 모델에 대하여 모델 변수의 변화에 따라서 모델의 반응을 이론적으로 계산한 곡선이다. 표준 곡선은 실제 탐사 자료를 해석하고자 할 때 실제 자료와의 비교를 위해 사용되며 대체적으로 가로축과 세로축은 정규화 된 값으로 만들어진다.

 

 

 

아밀라아제 (amylase)

1속에는 약 0.4g의 아밀라아제가 들어 있는데, 침이나 위액 속의 아밀라아제는 녹말을 가수분해하여 Maltose를 생성하므로 소화작용에 있어서 꼭 필요하다. 아밀라아제는 고등동물뿐만 아니라, 고등식물·곰팡이·세균 등 자연계에 널리 분포한다.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재료

1) 50튜브 5, 1.5microcentrifuge tube 4, 둥근 바닥을 가진 15튜브 6

2) 마이크로 피펫, , Vortex mixer, 분광광도계, 네임펜, 얼음이 든 아이스박스, 가열기, 증류수

3) Maltose Color Reagent, 녹말, 정제되어 상업용으로 준비된 α-amylase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침 샘플을 희석할 50튜브를 4개 준비한다. 각각의 튜브에는 침을 제공할 사람의 이름을 적고, 40의 증류수를 각각의 튜브에 넣고 얼음에 보관한다.

2) 4명의 학생들은 각각 일회용 플라스틱 bulb(끝이 구형으로 불룩한 형태) 형태 피펫에 침을 모은다. 침을 1.5microcentrifuge tube로 옮긴다.

3) 마이크로피펫을 이용하여 1.5microcentrifuge tube에서 80의 침을 뽑아낸다.

4) 80의 침을 각자의 이름이 적힌 희석 튜브에 넣는다.

5) 각각의 튜브를 닫고 Vortex Mixer를 이용하여 강력하게 섞어준다. 그리고 얼음에 보관한다.

6) 정제된 α-amylase를 희석하기 위한 다른 50튜브에 이름을 표시한다. 튜브에 40의 증류수를 넣고 튜브를 얼음에 보관한다.(α-amylaseBacillus licheniformis 로부터 정제됨)

7) 농축된 α-amylase 80를 희석 튜브에 넣는다.

8) 둥근 바닥을 가진 15튜브 6개 각각에 "blank", “A”, “B”, “C”, “D”, “α-amylase”의 이름을 표시한다.

9) blank 튜브에 1증류수를 넣는다.

10) 희석된 침 1α-amylase 각각을 맞는 이름이 표시된 튜브에 넣는다.

11) pH7, 1% 녹말 1blank 튜브를 포함하여 각각의 튜브에 넣는다. 그리고 튜브를 닫고 섞는다.

12) 각각의 튜브를 정확히 12분 동안 상온에 놔둔다.

13) Maltose Color Reagent 1를 각각의 튜브에 넣는다.

14) 튜브를 닫고 섞어서 100물중탕에 정확히 15분 동안 놓는다.

15) 튜브를 상온이 될 때까지 얼음에 보관한다. 그리고 각각의 튜브에 9의 증류수를 넣는다.

16) 튜브를 강하게 닫고 상, 하 거꾸로 여러 번 흔들어 준다.

17) blank 튜브를 이용해 분광광도계를 0으로 맞추고, 다른 5개의 샘플의 흡광도를 측정하여 기록한다.

18) Part 에서 구한 Maltose 표준 곡선을 이용하여 각 샘플에서 효소 반응 동안 생성된 Maltose의 질량을 계산한다.

19) 효소 배양 단계 동안 각각의 용액 1에서 생성된 Maltose의 질량을 계산한다.

20) 각각의 개시 분석 용액의 1에 대한 효소 활성의 유닛을 계산한다. (α-amylase 효소 활성의 유닛은 상온, pH 7에서 1분 동안 녹말을 Maltose 1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이다.)

 

 

실험 결과

1. 결과 분석

기본 실험에서는 40의 침을 넣어 1000배 희석시키라고 나와 있었는데, 그럴 경우 너무 작은 값이 나와 오차가 커질 수 있으므로 그 두 배인 80를 넣어 500배 희석시켰다. 이렇게 침을 희석하고 녹말, Maltose Color Reagent 등을 넣은 후 물중탕을 했을 때 튜브 안의 색이 점점 노란 빛 붉은 빛을 띠었다. 간혹 어떤 튜브(D 튜브)에서는 붉은 빛을 내는 물질이 아래로 침전되어 뭉쳐있었다. 상온으로 식힌 후 흡광도를 측정했을 때 모두 양의 값이 나왔으나 D의 경우 blank와 동일한 0이 나왔다.

 

 

각각의 흡광도는 아래 표에 정리했다.(참고로, α-amylase 튜브가 물중탕을 하는 도중 터져서 다른 조의 α-amylase를 사용했다.)

 

표준 곡선 식 : y = 0.3072x - 0.0197 (R2 = 0.9951로 상당히 신뢰도가 높음) 이 식에 각각의 흡광도를 y에 넣어 maltose 질량인 x값을 구하였다. 그 결과를 표에 표시하였다.

 

유닛 공식 : 개시 분석 용액 1에서 생성된 maltose ÷ 12 × z = 1 (z = 12 / 개시 분석 용액 1에서 생성된 maltose )

 

, 12를 각각의 개시 분석 용액 1에서 생성된 maltose 질량으로 나눠 z(=효소의 양) 값을 구하여 표에 기록하였다.

 

Test Solution

blank

A

B

C

D

α-amylase

흡광도(A540nm)

0

0.016

0.002

0.013

0

0.004

생성된 maltose의 양()

0.0641

0.1162

0.0706

0.1064

0.0641

0.0771

개시 분석 용액 1에서

생성된 maltose ()

32.02

58.1

35.3

53.2

32.02

38.55

개시 분석 용액 1

효소의 유닛

0.3747

0.2065

0.3399

0.2255

0.3747

0.3112

 

 

실험 고찰

흡광도의 증가는 녹말의 가수분해로 Maltose양의 증가했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다. 녹말이 분해되면 MaltoseGlucose 등의 분해산물이 산물로 생기는데, 이때 MaltoseMaltose Color Reagent와 반응하여 노란 빛 붉은 빛을 내게 된다. Maltose 양이 적으면 노란 빛을 띠고 중간 정도이면 주황 빛, 많으면 붉은 빛을 띠게 된다. 색이 진할수록 내부 농도가 짙은 것이므로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흡광도를 측정하면 그 값 또한 높을 것이다.

 

효소가 들어있지 않은 blank 튜브에는 녹말이 들어있지 않아 높은 수치가 나오지 않을 것이므로 이를 기준으로 삼아 분광광도계를 0으로 맞추었다. 그리고 각 값을 측정했는데 대체로 정상적인 값이 나왔는데, D 튜브와 α-amylase의 튜브가 정상적인 값을 내지 않았다. D 튜브의 경우 0의 값이 나왔는데 이는 물과 같은 분해력을 가진 것으로, 침에 효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α-amylase의 경우 -의 수치가 나왔는데, 이는 있던 Maltose 마저 사라진 것을 의미한다. 이에 대해 고찰해 보면 D 튜브의 경우 앞서 얘기했던 것처럼 물중탕을 할 때 붉은 색을 띠는 물질이 밑으로 침전돼서 그런 것으로 추정된다. 붉은 색 침전물은 Maltose Color Reagent와 반응하여 색을 내는 Maltose로 추측된다. 이는, 침을 넣어주었을 때 제대로 혼합해주지 않아 고분자인 효소가 밑으로 가라앉았고, 아래 부분만 효소활성이 왕성하여 그 부분에서만 Maltose가 다량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Maltose가 밑에만 생성되었고, 중간과 윗부분은 그만큼 농도가 낮게 된다. 혹시나 몰라 살짝 흔들어 줬지만 너무 흔들면 그것이 다른 요인으로 작용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그렇게 하진 못했다. 그런데 이렇게 제대로 혼합시켜 주지 않은 것이 흡광도 수치가 0이 나오게 된 원인이 된 것 같다. α-amylase의 튜브 또한 그런 경우로 보인다. 다른 조의 α-amylase 용액을 썼지만 실험 과정대로 준비를 했을 것이므로 희석 정도는 동일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오차가 크게 발생한 것으로 미루어 보아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우선, 증류수가 조금 더 첨가되었을 것이다. 증류수를 더 첨가해주면 농도가 낮아질 것이고 색이 옅어질 것이다. 두 번째로 물중탕을 하기 전에 제대로 혼합해주지 못한 경우이다. 물중탕을 하며 침전물이 생긴 경우를 여럿 봤는데 그것의 하나가 이것일거라 추측된다. α-amylase가 고분자이므로 가라앉게 되었고, 바닥에서만 효소 활성이 활발히 일어나 Maltose가 밑 부분에만 생성된 것이다. 따라서 농도가 밑 부분만 짙게 되고 그 위로는 농도가 많이 옅을 것이다.

 

셀에 시료를 넣을 때 중간 부분(Maltose의 농도가 작은 부분)을 넣어줘서 이런 결과가 생겼을 것이라 추측된다. 세 번째로 아까와 비슷한 경우이지만, α-amylase를 희석하려고 희석 튜브에 넣을 때 α-amylase가 가라앉아서 실질적으로 적은 양이 들어갔을 경우이다. α-amylase는 질량이 크므로 가라앉기 때문에 넣어 주기 바로 전까지 튜브를 흔들어주어야 한다. 그런데 이런 과정을 거치지 않아 α-amylase가 가라앉게 되었고 위 부분을 떠내면서 적은 양이 들어가 오차가 생긴 것이다. 조원 대부분의 경우가 정상적으로 나왔기 때문에 분광광도계가 잘못되었다고 생각되지는 않으며, 오차의 다른 원인도 있을 수 있지만 영향력이 미미할 것이라 생각된다.

 

흡광도에 따른 Maltose의 양을 구해 Unit 수치(상온, pH 7에서 1분 동안 녹말을 Maltose 1을 분해하는데 필요한 효소의 양)를 구하면, A0.2065, 침에 들어있는 효소 활성이 다른 조원들보다 심지어는 α-amylase(0.3112)보다 좋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는 잘못된 결과가 아닌가 생각된다. 1l 에는 amylase가 약 0.4g 들어있다. 침 전부가 amylase가 아니므로 침과 α-amylase를 동일한 양 넣었을 때 당연히 α-amylase의 활성이 더 좋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효소의 양만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면 다른 요인을 따져서 정당화할 수도 있다. 물중탕의 온도는 100부근으로 실질적으로 튜브에 100의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상당히 높은 열을 가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효소가 변성하게 되고 더 이상 효소의 활성은 일어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침을 넣었을 때 amylase 외의 부분 즉, 그 외 성분이 온도 완충제 역할로 작용해 열로부터 amylase를 보호했을 수도 있다. 그렇게 되면 효소 활성은 꾸준히 일어나게 되고 α-amylase의 반응보다 더 많은 반응을 일으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것은 어디까지 가설로써 오차 외의 부분도 고려하기 위해 제시한 것이다. (만약 α-amylase가 애초에 희석된 상태로 존재했다면 위의 결과는 옳다고 볼 수도 있다.)

 

A 외에 CUnit 수치도 그와 비슷했고 따라서 A과 동일하게 음식물을 섭취했을 때 녹말을 잘 분해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 외인 BD는 높은 Unit수치를 가지고 있으므로 음식을 섭취했을 때 침에 의한 녹말의 분해는 잘 일어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체적인 소화를 생각하지 않고 침에 의한 녹말 분해만을 생각하는 것은, 전체적인 소화는 다른 기작도 작용하므로 다른 자료가 주어지지 않고서는 구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값은 사람마다 침에 있는 amylase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값인지 효소의 활성도 차이인지는 정확히 판단을 하지 못하겠다. 하지만 효소의 활성은 동일한 환경에서 동일할 것이라고 가정한다면 이 차이는 사람마다 침에 있는 amylase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각 amylase의 양을 측정해보면 A > C > B > D=증류수 순이다. 오차를 무시하고 실험 결과가 적절하게 도출되었다고 가정한다면 사람마다 침에 들어있는 효소의 양이 다르다고 할 수 있으며, 침에는 α-amylase가 들어있어 음식물의 녹말을 Maltose와 그 외 생성물로 분해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다른 효소일 가능성도 있지만 기초적 지식이 있으므로)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