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의료/의약품 QbD 이해

Product Understanding | Risk Assessment - 공정 변수의 Risk Assessment

곰뚱 2020. 4. 25.

 

 

 

CPP(Critical Process Parameter, 주요 공정 변수)

CQA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공정 변수들로서, 원하는 수준의 제품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반드시 모니터링 관리되어야 하는 것들

 

1. PP(Process Parameter, 공정 변수)의 RA(Risk Assessment, 위해 평가)는 주로 FMEA(Failure Modes & Effects Analysis)를 활용

 

2. PP(Process Parameter, 공정 변수)의 Criticality를 평가하는 기준

1) 심각도(Severity 또는 Impact) : CQA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

2)발생도(Occurrence 또는 Probability) : 발생할 확률은 얼마나 높은가?

3)검출도(Detectability) : 검출이 얼마나 어려운가?

 

 

PP의 RA 절차

 

Process Map이나 Fishbone Diagram 이용해 각 단위 공정의 공정 변수들을 누락 없이 도출

 

 

 

 

FMEA를 활용하여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를 평가해 Criticality를 분류

 

 

 

 

Criticality가 높은 공정 변수를 잠재 CPP로 선정하고, 선행 지식이나 DOE 등의 실험을 통해 확정

728x90

 

 

PP 도출 : Process Map(프로세스 맵)

1. 공정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단위 공정의 Input(X) Output(Y) 도식화한

 

2. 제네릭의약품 제조 공정의 Process Map(프로세스 맵) 예

 

 

 

PP 도출: Fishbone Diagram(어골도)

 

 

TIP
 
 

1. 공정의 Input(X)을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도출하는 방법    
2. 공정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기 어려울 경우 사용
3. 모든 가능한 인과 관계를 고려해야 하며, 원인-결과의 상관 관계를 표시

 

 

1. 제네릭의약품 제조 공정의 Fishbone Diagram(어골도) 예

 

 

2. Fishbone Diagram 작성 절차

[Step1] 관련 CQA 기입해당 단위 공정에서 중요한 CQA를 우측에 표기하고 중심축 표기 

[Step2] 범주(Category) 기입범주(Category)를 사각형. Box 안에 기입하고 중심축 연결 

 

5M + 1E

Man(사람)

Machines(설비)

Material(재료)

Methods(방법)

Measurement(측정)

Environment(환경)

 

[Step3] 가능한 공정 변수 기입잠재 변수들을 도출하고 어떤 가지에 붙일 것인지 협의 

[Step4] 중요 변수 표시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변수에 원 또는 굵은 글씨로 표시 

[Step5] 타당성 검증팀의 합의를 이끌고 완성도를 점검 

 

 

Criticality 평가 : FMEA

Risk를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에 따라 정량적으로 평가한 후  값을 모두 곱한 RPN(Risk Priority Number)값으로 Criticality를 분류

 

 

1.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의 FMEA(Failure Modes & Effects Analysis)

 

2. 심각도(Severity) 평가 기준 예: A-Mab Case

 

3. 발생도(Probability, Occurrence) 평가 기준 예: A-Mab Case

 

4. 검출도(Detectability) 평가 기준 예: A-Mab Case

 

5. CPP(Critical Process Parameter) 평가 기준 예: A-Mab Case

 

 

 

그리드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