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P(Critical Process Parameter, 주요 공정 변수)
CQA에 중요한 영향을 주는 공정 변수들로서, 원하는 수준의 제품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반드시 모니터링 및 관리되어야 하는 것들
1. PP(Process Parameter, 공정 변수)의 RA(Risk Assessment, 위해 평가)는 주로 FMEA(Failure Modes & Effects Analysis)를 활용
2. PP(Process Parameter, 공정 변수)의 Criticality를 평가하는 기준
1) 심각도(Severity 또는 Impact) : CQA에 얼마나 영향을 주는가?
2)발생도(Occurrence 또는 Probability) : 발생할 확률은 얼마나 높은가?
3)검출도(Detectability) : 검출이 얼마나 어려운가?
PP의 RA 절차
Process Map이나 Fishbone Diagram을 이용해 각 단위 공정의 공정 변수들을 누락 없이 도출
FMEA를 활용하여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를 평가해 Criticality를 분류
Criticality가 높은 공정 변수를 잠재 CPP로 선정하고, 선행 지식이나 DOE 등의 실험을 통해 확정
PP 도출 : Process Map(프로세스 맵)
1. 공정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고 각 단위 공정의 Input(X)과 Output(Y)를 도식화한 것
2. 제네릭의약품 제조 공정의 Process Map(프로세스 맵) 예
PP 도출: Fishbone Diagram(어골도)
1. 공정의 Input(X)을 카테고리별로 나누어 도출하는 방법
2. 공정을 순차적으로 배열하기 어려울 경우 사용
3. 모든 가능한 인과 관계를 고려해야 하며, 원인-결과의 상관 관계를 표시
1. 제네릭의약품 제조 공정의 Fishbone Diagram(어골도) 예
2. Fishbone Diagram 작성 절차
[Step1] 관련 CQA 기입 : 해당 단위 공정에서 중요한 CQA를 우측에 표기하고 중심축 표기
[Step2] 범주(Category) 기입 : 범주(Category)를 사각형. Box 안에 기입하고 중심축 연결
5M + 1E | |
Man(사람) Machines(설비) Material(재료) Methods(방법) Measurement(측정) |
Environment(환경) |
[Step3] 가능한 공정 변수 기입 : 잠재 변수들을 도출하고 어떤 가지에 붙일 것인지 협의
[Step4] 중요 변수 표시 :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변수에 원 또는 굵은 글씨로 표시
[Step5] 타당성 검증 : 팀의 합의를 이끌고 완성도를 점검
Criticality 평가 : FMEA
Risk를 심각도, 발생도, 검출도에 따라 정량적으로 평가한 후 그 값을 모두 곱한 RPN(Risk Priority Number)값으로 Criticality를 분류
1. 바이오의약품 제조 공정의 FMEA(Failure Modes & Effects Analysis) 예
2. 심각도(Severity) 평가 기준 예: A-Mab Case
3. 발생도(Probability, Occurrence) 평가 기준 예: A-Mab Case
4. 검출도(Detectability) 평가 기준 예: A-Mab Case
5. CPP(Critical Process Parameter) 평가 기준 예: A-Mab Case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