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환경화학실험 |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망간법 TIP COD의 측정 목적 및 그 중요성에 대해 알고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의 측정 방법 및 원리를 이해하고 COD를 구하여 본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 하천 물이나 하수도 물 속의 유기물 함량의 지표의 하나로서, 물속의 환원성 유기물을 일정한 산화조건으로 반응시켜, 그것에 요하는 산화제의 양을 당량 산소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낸것. 보통 산화제로서 과망간산칼륨을, 산화조건으로는 산성, 100℃, 30min 값을 씀. 측정이 쉬우므로 해역이나 호소의 환경기준 등에 널리 쓰이고 있으나,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산화분해의 정도가 다르고, 또 무기성인 환원물질도 측정에 걸리므로, COD값을 나타내는 내용은 명확하지 않음. 그러나 수질검사에는 중요 항목으로서 널리 쓰이고 있음. 일반적으로 공장폐..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2. 8. 31. 환경공학실험 | CODcr법에 의한 유기물 정량 COD의 정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COD)은 수중에 존재하는 피산화성 물질을 화학적으로 산화 하는데 요하는 산소량을 말합니다. COD는 ㎎/ℓ로 표시하며 산화제의 종류에 따라 망간법, 크롬법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BOD와 COD의 비교 1) COD는 짧은 시간에 측정할 수 있으나 BOD는 5일간의 측정기간을 가져야 측 정할수 있다. 2) COD는 BOD에 비하여 사용기가 저렴하고 조작법도 익히기 쉽다. 3) COD는 BOD에서 미생물이 분해하기 힘든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분해하므로, 측정치가 상대적으로 높다. 4) COD는 환원성 물질이나 무기물질(산화하기 쉬운 물질)을 검출하기가 쉽다. 5) COD는 강한 독성폐수의 오염도를 측정 할 수 있으나, BOD는 산소를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이 독성에서 활동..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0. 1.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