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공학실험 | 열전도도 및 열전달계수 측정(Measurement of thermal conductivity and heat transfer coefficient) 실험 배경 본 실험에서는 두 가지 실험, 열전도도와 열전달계수를 측정실험을 진행하였다. 열전도도측정 실험에서는 온도를 각각 변화시켜주면서 저온부와 고온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Fourier 법칙을 이용하여 금속 기둥의 열전도도를 직접 구해보았다. 열전달계수 측정실험에서는 이중관 열교환기에서 유체흐름이 향류와 병류일 때, 정해진 각 지점에서의 온도를 측정하고 Newton의 냉각 법칙을 이용해 열전달계수를 구해보고 비교해보았으며, 또 유체의 온도를 측정하여 총괄 열전달 계수를 구하였다. 우리는 열전도도 측정 실험을 통해 steady state에서의 열의 이동으로부터 열전도도를 구해보고 전도에 의한 열전달을 이해할 수 있으며, 열전달 계수 측정 실험에서는 향류와 병류에 따른 유체의 유량과 총괄 열전달 계수를 구..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3. 1. 28. 화학공학기초실험 | 유체 흐름 관찰 TIP 1. 유속 변화에 따른 유체흐름의 모습을 관찰한다. 2. Reynolds number에 따른 유체흐름의 모습을 관찰하여 두 사이의 관계를 알아낸다. 3. 유체의 특성을 이해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레이놀즈 수 실험장치의 유리관 직경을 측정한다. 2) 유출구 밸브를 닫은 상태에서, 유입구로 실험에 사용되는 유리관 위쪽까지 물을 채워 넣고, 유입구 밸브가 열린 상태에서 유출구 밸브를 열어 물이 순환되도록 한다. 이때, 물이 수조 바깥으로 넘치지 않도록 밸브로 유량을 조절한다. 3) 수조에 채워진 물의 온도를 측정하고, 잉크조절밸브를 열어, 유리관으로 일정한 유량의 잉크를 주입한다. 4) 유량조절밸브로 유리관 내부유량을 조절한다. 5) 유체의 유량을 일정하게 맞춘 후, 유체흐름이 정상상태..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2. 7. 9. 화학공학실험 | 관을 통한 유체 흐름 TIP 뉴튼 유체가 관을 통하여 흐를 경우 압력 손실, 마찰 계수를 구하고 관 부속품들의 상당길이를 측정하며 유량 측정에 사용되는 오리피스 미터의 보정방법 등을 이해한다. 수평관에서의 마찰 손실 정상 상태에서의 기계적 에너지 수지식으로부터 여기서 ΔP[g중/㎠], L[㎝], D[㎝], 이 식과 실험으로부터 측정한 ΔP값으로부터 f를 계산한다. 이때 ΔP는 마노미터로 측정한다. 관 부속품들의 상당길이 관 부속품들에는 엘보우, 글로브밸브, 게이트 밸브, 스트레이너 등과 확대, 축소 등이 있 게된다. 각 관 부속품에 대한 ∆ 오리피스미터 관에 설치된 오리피스미터에 대해서 다음의 관계가 성립한다. 여기서 m[g/s], C0[오리피스 계수], A0[오리피스 단면적, ㎠], A1[관단면적], ρ[g/㎤], ΔP[g..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1.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