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 기공 관찰 기공의 개폐 원리 1. 기공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가 들어오고 광합성의 결과로 만들어진 산소가 나가는 공기의 이동통로이다. 이곳에서 잎에 있는 물이 기체상태로 내보내는 증산작용이 일어난다. 증산작용은 식물의 물질이동에 큰 관여를 하며 물을 기체상태로 보내면서 물질을 위쪽으로 올리는 역할을 한다. 기공은 대체로 잎의 뒷면에 있으나 물위에 떠 있는 잎에서는 표면에 있고 앞뒤구별이 없는 잎에서는 양면에 기공이 있으며, 지하나 수중에 있는 잎은 기공이 없다. 이러한 기공의 개폐를 조절하는 세표가 공변세포이다. 2. 기공의 개폐 두 개의 공변세포가 서로 붙어 작용한다. 공변세포에는 엽록체가 들어있는데, 엽록체에는 빛에 반응하는 엽록소들이 있어 낮에 햇빛이 비치면 엽록소에서 빛을 흡수하고 광합성이 일어난다. 광..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9. 29. 일반생물학실험 | 식물의 구조 및 기공관찰 TIP 식물의 기공의 구조를 비교하고 기공의 분포 및 크기를 파악하여 기공의 역할 및 특징에 대하여 알아본다. 잎의 앞면과 뒷면에서 기공 수의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 본과 초본의 가장 큰 특징은 목본은 목부와 사부사이에 형성층에서 세포분열로 인하여 부피생장을 하나 초본은 형성층이 없어 부피생장을 못하고 정단분열조직에서 세포분열을 하여 수고생장만 한다. 그리고 목본의 경우에는 다년생이지만 초본은 대부분 1년생이다. 단자엽식물은 모두 부피생장을 하지 못하므로 초본으로 분류된다. 잎의 앞뒷면에 기공의 수가 차이가 나는 것은 수억년동안 진화해온 결과이다. 햇빛을 받아야 하는 잎의 앞면에는 그만큼 햇빛을 에너지원으로 이용해야 하는 엽록체가 많이 있어야 효율적으로 에너지를 활용할 수 있게된다. 그에 반해 잎의 뒷면은..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1.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