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공학실험 | 기상 분자의 확산계수의 측정 실험 요약본 실험은 아세톤의 확산 계수를 측정하기 위한 실험이었다. 확산 계수는 온도에 영향을 받으므로, T자관에 아세톤을 넣은 후, 실험하는 동안에 T자관을 항온조에 넣어서 실험하였다. 그리고 시간에 따라 얼마나 확산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매 10분마다 확대경을 통해 아세톤이 얼마나 줄었는지 확인을 하였다. 이를 통해 확산 계수도 알아 낼 수 있었다. 본 실험에서는 아세톤의 확산 계수가 문헌치와 비교하여 7.27%의 오차율이 발생하였다. 실험 방법1. 실험 과정1) T자 관의 약 55㎜를 Acetone으로 부분적으로 채운다. (T자 관의 벽면을 이용하여 Acetone을 조금씩 흘려 넣으면 쉽게 채울 수 있다. 기포 발생 시에는 T자 관을 조금 두드려준다.) 2) 실험장치의 히터 스위치를 켠 후 설정 ..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3. 4. 15. 화학공학실험 | 액체 확산계수 측정 TIP 1. 용질과 용매가 조합시킨 경우 액상 내 확산계수는 온도에 따라 변화하고 기상내 확산계수와는 달리 용질의 농도에 의해 변화한다. 2. 따라서 액체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액체와 액체간의 확산을 관찰하고 이에 대한 액체 확산계수를 측정하고 계산해 본다. 몰수에 따른 NaCl의 전도도(conductivity)를 이용하여 액체의 확산속도 계수를 구한다. 물리, 화학 공정은 공정과 관련된 물질의 성질에 의존한다. 공정 공학은 벌크 상태의 물질의 변형 및 분포와 연관된다. 따라서 물질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공장을 설계하고 가동하기 위해서는 물질들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들을 고려해야 한다. 가장 편리한 매체는 유체이므로 대부분의 공장은 기체나 액체 상태의 물질들로 가동된다. 이 같은 상황에서 고려해야 될 유체의..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10.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