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입자경
1. 입자경의 표현 방법
1) 3 축경
① 단경 : 윤곽에 접하는 최단간격의 두 개의 평행선간의 거리
② 장경 : 단경을 결정하는 평행선에 대해서 직각 방향인 두 개의 평행선간의 거리
③ 두께 : 수평면에 평행이고 입자 표면에 접하는 평면의 높이
2) Feret 경 : 일정한 방향의 평행선 두 개로 입자를 꼭 끼우고 그 평행선간의 거리로 나타낸 것 (정방향경, Green경)
3) Matin 경: 정방향으로 입자의 투영면적을 2등분하는 선분의 길이로 나타낸 것
① 정방향 최대경: 정방향으로 각 입자의 최대폭으로써 나타낸 것
② 원상당경: 입자의 투영면적과 동일면적을 가진 원의 직경으로 나타낸 것(투영원 면적 상당경)
4) 상당경
① 등체적구상당경: 입자와 동일체적인 구의 직경으로 나타낸 것
② 등표면구상단경: 입자와 동일 표면적을 가진 구의 직경으로 나타낸 것
③ 침강속도구상당경: 유체중의 입자가 침강할 때 종말속도와 같은 침강 속도를 갖는 구의 직경을 나타낸 것


2. 입자경 측정법
1) 현미경법(Heywood, Martin 경 등): 광학 또는 전자 현미경으로 입자를 촬영해서 그 직경을 측정한 것
2) 사과법: 일련의 표준체를 사용해서 시료분체를 사과한 후 각 체위에 남은 분체중량을 측정한 것
3) Coulter counter 법, 세공통과법(체적구상당경): 물에 불용성이면서 쉽게 현탁되는 약물의 입자경 측정
전해질 용액 중 세공을 가진 격막을 설치하고 양측에 전압을 걸면서 세공의 한쪽에서 입자를 통과 → 세공내의 전해질은 입자가 통과할 때에 그 체적에 상당하는 양이 배제되어 전기저항이 증대 → 저항 변화로부터 체적구상당경을 구함
4) 침강법(Stokes 경): 입자를 기체나 액체중에 낙하시키면 그 입자의 침강속도와 입자경 사이에는 비례 관계가 있어 Stokes 식을 따름(Andreasen's pipette이 많이 이용됨)

표면적
1. 측정법
1) 투과법 : Kozeny-Carman식
① 분체를 충전시킨 층에 기체 또는 액체 등을 통과시켜 그 흐름에 대한 분체층의 저항으로부터 표면적을 구하는 방법
② 표면적↑→저항↑→유속↓
2) 흡착법
① 분체의 표면은 접하고 있는 기체로부터 기체분자를, 용액인 경우 용질 분자를 분체의 표면에 농축(흡착)하려고 함 → 표면에 단분자층으로 흡착하는 경우, 흡착한 기체나 용질 분자의 흡착량을 측정함으로써 분체의 표면적을 구함
② 흡착등온식: 일정 온도에 있어서 분체 입자표면에 흡착된 물질의 양과 평형압 또는 용액으로부터 흡착이면 흡착물질의 농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것. Freundlich, Langmuir, BET식이 이용
입도 분포
1. 모달 경(modal diameter): 입도분포 곡선의 중앙치에 상당한 경
2. 메디안 경(median diameter) : 누적 분포곡선의 중앙치에 상당한 경구 시료의 대표 입자경

3. 중량분포(사과법, 침강법) 개수분포(현미경법, Coulter counter법)
4. 표시방법
①빈도분포곡선: 분체의 각 입자경 구분에 포함된 입자경을 나타낸 것
②누적(적산)분포곡선: 어떤 입자경보다 크거나 (체 위에 잔존) 혹은 작은 (체 밑에 존재) 입자량과의 관계를 나타낸 것
5. 정규분포: 적산분포가 정규 확률지 상에서 직선으로 될 때
6. 대수정규분포: 적산분포가 대수 확률지 상에서 직선으로 될 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