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iology/생화학

생화학실험 | DPPH 소거능

곰뚱 2021. 7. 20.

목차

생화학실험  |  DPPH 소거능

 

 

 

TIP
 
 

인간을 포함한 생물은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ATP 등의 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과정에 필연적으로 흡입된 산소의 2%를 활성산소로 변환시켜 지니게 되고 이 활성산소는 Free radical을 가진 산소를 의미한다. free radical은 세포막 산화, 촉진, 노화, DNA 변형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실험을 통해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능력을 측정한다.

 

 

 

DPPH (2,2-diphenyl hydrazy)는 안정한 유리기(stable free radical)로서, 분자 내 비공유 전자(N)를 갖고 있으나 전자나 free radical과 반응하면 안정한 구조 (N-H)로 변한다. DDPH는 수용액 상태에서 보라색이지만, free radical이 소거되면 전자공여능(electron donating ability)이 되며 담황색으로 변한다. 이때 감소하는 흡광도 값을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515517에서 측정하여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DPPH 라디컬 소거활성)을 평가한다.

 

생화학실험  |  DPPH 소거능

728x90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DPPH 시약을 DMSO에 녹여 20mM로 만든다.

 

2) 20mM DPPH 시약을 95% Ethanol100배 정도 희석하여 515에서 흡광도값이 0.940.97 사이가 되도록 한다.

 

3) 96well plateAscorbic acid20씩 넣는다.

 

4) 만들어둔 DPPH 용액 180를 넣는다.

 

5) 실온에서 10분간 암반을 시킨 후 515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생화학실험]DPPH 소거능 레포트

1. 실험 목적 가. 인간을 포함한 생물은 호흡이라는 과정을 통해 ATP 등의 에너지를 얻는다. 이러한 과정에 필연적으로 흡입된 산소의 2%를 활성산소로 변환시켜 지니게 되고 이 활성산소는 Free rad...

www.happycampus.com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