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양서류(개구리)의 외형 관찰 및 해부 TIP 1. 개구리의 외부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다. 2. 개구리의 내부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다. 3. 다른 동물과 비교할 때 나타나는 개구리(양서류)의 특징을 이해한다. 개구리 외부 특징 머리(head) 와 몸통(trunk)으로 구분 목은 없다. 머리의 앞쪽에는 넓은 입, 호흡시 코덮개 (nasal flaps) 에 덮히는 좌우 2개의 콧구멍(외비공) 그리고 눈 과 귀가 있다. 1. 머리 ① 눈 : 안구와 밀접하게 붙어있는 위 눈꺼풀, 눈의 운동에 따라 움직이는 아래 눈꺼풀에 의해 보호, 아래 눈꺼풀 밑에는 투명하고 얇으며 운동성이 좋은 셋째 눈꺼풀(순막)이 있다. ② 귀 : 둥근 판상의 고막이 눈의 뒤쪽에 있다. 고막은 황갈색의 투명한 막으로 되어있다. 바깥귀가 없다. ③ 코 : 코 덮개가 있는 외비공이..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3. 9. 13. 일반생물학실험 | 개구리 심장박동의 관찰 TIP 개구리의 심장박동을 측정하고 심장박동의 원리와 박동에 영향을 주는 화학물질 온도 등의 효과를 이해한다. 동방 결절 심장의 한 부분으로 전기자극을 생성하여 포유동물의 심장이 수축되게 하며 심장 박동의 리듬을 결정한다. 동방결절은 주기적인 자극을 생성하여 심장 수축을 유도함으로써 심장박동을 조절하는 심장의 특정한 부분을 지칭한다. 상대정맥 입구 쪽 가까운 우심방 벽에 특수화된 근육세포들로 구성되어 있다. 동결절 또는 발견자의 이름을 따서 키스-플랙의 결절(Keith-Flack node)이라고도 한다. 심장의 모든 세포들이 심장 수축을 일으키는 전기자극을 만들어 내는 능력을 갖고 있으나 동방결절은 다른 부위의 세포들보다 조금 빨리 자극을 생성함으로써 심장 전체의 전기적 신호를 주도하는 역할을 한다. 이..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30. 일반생물학실험 | 동물의 구조 - 개구리 근육계 관찰 TIP 개구리의 근육 관찰을 통해 척추동물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구조를 익힌다. 개구리의 근육계 개구리에는 약 200여개의 근육이 있으며 대부분 이름을 갖고 있고 고등척추동물에 있는 같은 명칭의 근육과 작용 및 위치가 유사하다. 근육들은 뼈에 연결되어 있으며 뼈의 운동에 있어 직접 또는 보조 역할을 한다. 운동하는 뼈에 부착된 근육의 끝을 종지(insertion)라 하며, 고정된 구조물에 부착된 근육의 부분을 기시(origin)라 한다. 실험 방법 1. 개구리의 근육계 관찰(배쪽) 1) 4% 포르말린에 고정된 개구리를 1시간 이상 흐르는 물에 잘 씻는다(담당 조교가 실험시작 전에 해둘 것). 2) 개구리의 배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개구리 해부용 해부접시에 놓고 압핀으로 고정한다. 3) 개구리의 왼..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29. 일반생물학실험 | 동물의 구조 - 개구리 외부형태, 내장기관 관찰 TIP 개구리의 외부형태 및 내장기관 관찰을 통해 척추동물에 대한 기본 개념을 이해하고, 구조를 익힌다. 실험 방법 1. 개구리의 외부형태 관찰 1) 마취된 개구리를 흐르는 물에 헹군다. 2) 개구리의 등이 위쪽으로 향하도록 개구리 해부용 해부접시에 놓는다. 3) 머리(콧구멍, 눈, 귀), 몸통(배, 등, 다리,), 피부의 순서대로 외부형태를 관찰한다. 4) 관찰한 외부형태를 스케치하고, 각 부분의 명칭을 기입한다. 2. 개구리의 내장기관 관찰 1) 외부형태 관찰이 끝난 후 개구리의 배가 위쪽으로 향하도록 개구리 해부용 해부접시에 놓는다. 2) 핀셋으로 개구리의 항문 부근의 피부를 들어 올린 후 해부가위를 사용하여 몸의 중앙선을 따라 아래턱의 끝부분까지 절개한다. 내장기관이 손상되지 않도록 해부가위의 둥..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8. 28. 일반생물학실험 | 신경과 척수 반사 - 개구리 동물체가 외부환경요인에 의해 자극을 받으면 감각기관에서는 이를 수용 흥분하며, M 흥분 충격을 구심성 신경을 통해 중추부에 전달하므로서 감각을 느끼게 되며, 또 원심성 신경을 통해 그에 대한 적절한 반응을 취함으로써 동물체 전체로서 조화된 행동을 통합, 조절하게 되는데 이와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을 신경계(Nervous system)라 한다. 사람을 비롯한 척추동물은 신경세포가 한 곳에 모여 신경절을 형성하고 여기에서 신경섬유들이 나와 몸의 각 부분으로 분포되어 있는 집중신경계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신경세포가 특정부위에 집중되어 있는 중추신경계(Centeral Nervous System, CNS)와 몸의 각 부분에 분포되어 있는 신경섬유 및 약간의 신경세포들로 구성된 말초신경계(Peripheral N..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10. 7. 생명과학실험 | 동물 골격 모형제작 TIP 1. 본 실험은 여러 가지 척주동물 중 개구리를 선택하여 골격모델을 직접 만들어보고 그 형태와 특징을 비교함으로써 동물구조 체제를 이해하는 실험이었다. 2. 실험에는 닭, 쥐, 개구리가 주재료였으며, 각각 조류, 포유류, 양서류에 해당하는 동물이다. 골격 생물학적으로 생물의 생체를 지지하는 골격의 역할은 생명기관의 보호, 신체지지, 근육부착, 칼슘저장, 혈액형성 등으로 매우 많다. 골격은 외골격, 내골격, 유체골격의 세 가지로 나뉜다. 외골격은 동물의 몸 표층 가까이 있는 것이 많아 '피부 골격'이라고 불린다. 이것은 주로 표피 또는 진피 속에 '긴 단단한 뼈 모양의 것으로, 극피동물의 석회성 골판, 어류의 골성린, 그 밖에 파충류인 악어나 포유류인 천산갑 등의 골성판도 외골격에 포함된다. 이러한..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0. 1.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