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실험 | 금속 결정의 단위세포 만들기 TIP 순물질의 고체 상태는 결정 상태로 존재한다. 본 실험에서는 여러 가지 결정 구조에서 구성 입자(원자, 분자, 이온)들이 어떠한 배열을 가지며, 각 구조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스티로폼 구를 사용하여 결정격자의 단위세포를 만들어 알아보고자 한다. 금속 결정격자의 종류와 단위세포 분석 결정 내에서 입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특정한 구조를 이룰 때 결정격자(crystal lattice)라 한다. 결정은 입자들의 배열에 따라 [그림1]과 같이 단순 입방 격자(simple cubic), 체심 입방 격자(body-centered cubic, BCC), 면심 입방 격자(face-centered cubic, FCC), 육방 최밀 격자(hexagonal close-packed, HCP) 등으로 나눌 수 있.. Chemistry/일반화학 2021. 11. 14. 일반화학실험 | 결정의 구조 TIP 결정 구조를 나타내는 모형을 통해서 고체의 구조를 이해한다. 결정(Crystal) 구성원자들이 일정하게 배열되어 잇는 내부적 규칙성이 외부적으로 나타나 있는 고체. 이 규칙정인 배열이 고체 전체의 균일 하게 이루어져 있으면 단결정. 부분적으로는 결정을 이루지만 전체적으로는 하나의 균일한 결정이 아닌 경우를 다결정이라 한다. 또한, 결정은 수백만개의 단위세포라는 원자구성단위로 이루어져있다. 단위세포는 모든 방향으로 반복되어 기하학적형태를 만들며, 이것은 결정면이라는 외부평면의 수와 방향으로 나타낸다. 결정의 기본적인 특성은 대칭이며 모든 결정은 가장 뚜렷이 나타나는 대칭요소로 구분할 수 있다. 결정구조 (Crystal structure) 대부분의 단위체를 비롯하여 간단한 무기화합물·유기화합물 그리고.. Chemistry/일반화학 2021. 1. 30. C언어 | 구조체와 공용체 TIP 1. 구조체란? 2. 구조체 배열 3. 구조체에 대한 포인터 4. 공용체 C 언어에서는 char, int, double 등의 기본적인 데이터형 이외에도 더욱 복잡한 데이터형을 사용자가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은 구조체, 공용체라고 불려지는 것으로, 다른 종류의 데이터들을 한 덩어리의 데이터로서 다룰 수 있다. 본 내용에서는 구조체란 무엇인가를 먼저 설명하고 구조체 배열, 구조체에의 포인터 등에 관해서도 설명한다. 그리고 공용체와 그 이용법에 관해서도 설명한다. 1. 구조체란? (1) 레코드형 데이터 표 1의 데이터는 갈릴레오가 1610년에 발견한 목성의 4대 위성의 위성명, 고도, 주기에 관한 것이다. 위성명(name) 광도(luminosity) 주기(period) Io 5 1.1691 Eu.. IT 과학/C언어 2020. 1. 27. C언어 | 함수 TIP 1. 함수란? 2. 함수간에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 3. 배열 데이터 전달 방법 4. 함수형 5. main 함수의 인수(명령행 인수) 6. 순환함수(Recursive Function) C 프로그램은 함수의 모임으로 구성된다. 이제까지 printf나 scanf 등의 시스템이 제공하는 표준 라이브러리 함수를 사용해 왔지만, 본 내용은 사용자 함수를 만드는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함수간의 인자 전달 방법으로서 call by value, call by reference란 개념과 배열의 전달 방법에 관해서도 상세히 설명한다. 1. 함수란? (1) 함수와 리턴값 함수로서 가장 일반적인 것에 산술 함수가 있다. 예를 들면, sin(x)는 x의 싸인 값을 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C에서는 이러한 산술 함수.. IT 과학/C언어 2020. 1. 4. C언어 | 포인터 TIP 1. 포인터란? 2. 포인터와 문자열 3. 포인터와 배열 4. 포인터의 배열 5. 포인터의 주소 계산 포인터라는 개념은 C의 대표적인 특징 중의 하나로, 포인터를 쓰면 여러 가지 형의 데이터를 마음대로 참조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방법이 틀리면 프로그램이 폭주하거나 이해하기 어려운 프로그램이 만들어질 위험성이 있다. C를 처음 공부하는 대부분이 최초로 만나는 벽이 포인터라고도 한다. 이번 주 강의에서는 포인터의 개념과 사용법에 관해서 설명하고, 포인터와 배열, 포인터와 문자열의 관계에 대해서도 설명한다. 1. 포인터란? 포인터(pointer)는 C의 대표적인 특징이다. 포인터를 사용함에 따라서 메모리상의 데이터를 쉽게 사용할 수 있다. 잘못 이해하면 수정이 곤란한 프로그램을 작성할 가능성이 있지.. IT 과학/C언어 2019. 12. 25. C언어 | 배열 TIP 1. 1차원 배열 2. 2차원 배열 3. 배열의 초기화 1. 1차원 배열 배열은 다량의 데이터를 다루기 위한 데이터형이다. 본 내용은 C의 배열 선언과 조작 방법에 관해서 설명한다. 또 C에서는 배열에 데이터를 초기화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그 방법에 관해서도 설명한다. (1) 배열의 정의 배열을 사용할 경우에는 얼마만큼 크기의 배열을 사용할 것인가를 선언해야 한다. 가령 100개의 동일한 성격의 데이터가 있을 때, 이것을 배열로 선언하지 않고 a0, a1, a2… 등의 단순 변수를 100개 씩이나 사용해야 한다는 것은 대단히 복잡한 작업이다. 예를 들어, 관련된 100개의 정수형 변수가 프로그램에서 필요할 경우 이제까지 공부한 방식으로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먼저 100개의 정수형 변수의 이름을 .. IT 과학/C언어 2019. 12. 2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