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재료역학실험 | 보의 처짐 TIP 3종의 강성이 다른 보(알루미늄, 황동, 강재)의 처짐 실험을 통하여 보의 처짐 이론을 이해한다. 실험 방법 실험1 - 외팔보의 처짐 1) 세 가지 부재(강철, 황동, 알루미늄)를 차례로 보의 한쪽만 클램프로 고정한다. 2) 클램프로부터 200㎜지점에 하중을 가한다. 3) 디지털 변위계를 하중이 작용하는 곳의 처짐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실험2 – 단순지지 보의 하중(변위 상관도) 1) 양쪽에 붙어 있는 두 개의 클램프를 400㎜간격으로 설정한다. 2) 알루미늄 부재를 클램프위에 올려놓는다. 3) 보의 중앙에 추를 걸어 하중을 변화시키며 중앙에서의 처짐을 측정한다. 실험3 – 단순보의 지간별 처짐 상관관계 1) 알루미늄 부재를 실험2와 같이 단순지지 설정한다. 2) 지간을 200㎜에서 50㎜씩 증가..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11. 1. 재료역학실험 | 보의 처짐 TIP 금속 막대의 중심에 추를 달아 휘어지게 한 후, 그 중심점의 강하를 측정하여 응력을 계산한다. 보의 정의 1. 단면에 비해 길이가 긴 부재(member) 2. 길이 방향에 수직 힘을 받음 보의 지지점 종류 1. 단순지지(simple support) : x,y 변위 구속 2. 구속지지(fixed support) : x,y 변위/회전 구속 3. 롤러지지(roller support) : 롤러의 수직방향 변위 구속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료의 길이, 폭, 두께를 측정한다. 2) 평행판 두 받침날에 시료를 단순지지 형태로 나란히 놓고 시료의 중심에 추걸이를 단다. 3) 추걸이에 추를 늘려가면서 막대의 휨을 측정하여 기록한다. 4) 시료를 구속지지 형태로 놓고 3의 실험을 반복한다. 5) 응력을 ..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10. 31. 기계공학실험 | 보의 처짐 TIP 1. 2종의 강성이 다른 보(알루미늄, 스틸) 모형의 처짐 실험을 실시하여 하중 처짐의 상관관계 등을 통하여 보의 이론을 이해한다. 2. 보의 처짐은 설계 시 주의해야할 요소 중의 하나로 설계 시 주어진 하중 하에서 보의 처짐에 대한 최대 허용값이 제한받기 때문에 보의 최대 처짐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고체상의 구조물에 외력이 작용하면, 구조물에 변형이 일어나고, 그 외력이 구조물이 견딜 수 있는 힘의 한도를 넘어서게 되면 파괴가 일어난다. 하중은 두 가지로 분류 될 수 있는데, 한 점에 집중하여 작용하는 집중 하중과 일정한 면적에 걸쳐 작용하는 분포하중이 있다. 분포하중이 축선의 방향을 일정한 크기로 분포되는 경우를 등분포하중이라 하고. 일정하지 않은 것을 부균등 분포하중이라 한다. 실험 방법.. Engineering/기계공학 2022. 10. 29. 재료역학실험 | 보의 처짐 TIP 1. 단순 보 처짐 이론을 바탕으로, 보의 처짐량 실험측정량과 이론값을 비교 분석 2. 보 내부에 작용하는 응력상태와 응력 값을, Strain Gauge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비교 분석 굽힘 모멘트 1. 정의 : 보를 양쪽에서 굽히는 힘. 기호 : M 2. 하중을 보 중앙에 주면 굽힘 모멘트가 양 끝단에 걸린다. 어느 지점에서 어떤 힘으로 보가 전단되거나, 휘는지 알려면 굽힘 모멘트를 알아야 한다. 탄성계수 1. 정의 : 응력과 변형률의 비율. 기호 : E 2. 응력-변형도 선도의 탄성 구간 기울기로부터 탄성계수를 결정하며, 탄성계수는 하중에 대한 재료의 반응을 계산할 수 있게 한다. 단면 2차모멘트 1. 정의 : 굽힘의 힘이 작용하였을 때, 소재가 변형에 저항하는 성질을 나타내는 것. 기호 : ..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10. 29. 기계공학실험 | 보의 처짐 보의 처짐 실험에서는 보의 설계 시 주의해야할 요소 중의 하나인 하중을 받는 보의 처짐을 이해하는것인데 설계 시 주어진 하중 하에서 보의 처짐에 대한 최대 허용값이 제한받기 때문에 보의 최대 처짐의 결정은 매우 중요하다. 건물을 지을 때 가장 중심이 되는 구조는 어떤 것인가와 지면과 수직으로 세워진 기둥과 지면과 수평으로 설계된 구조, 이 두 가지가 가장 중요하며 가장 기본적인 요소일 것이다. 보의 처짐 실험의 최종목적은 지면과 수평으로 구조물을 세울 때 받는 하중에 관하여 이론과 실험을 통해서 단순보과 고정보의 차이점과 그 결과가 말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단순보의 측정은 지지대 위에 바로 보를 올린다. 2) 보의 중앙부분에 추걸이를 건다. 3) 다이얼게이지를 보의 .. Engineering/기계공학 2022. 10. 27. 기계공학실험 | 처짐량 TIP 강성이 다른 Steel 보와 Al 보 모형의 처짐 실험을 통해 하중 처짐 상관관계를 기반으로 보의 처짐 이론을 이해한다. 실험 방법 1. 하중의 변화에 따른 보의 처짐 1) 버니어 캘리퍼를 이용하여 보의 치수를 측정한다. 2) 기구의 100㎜ 지점, 500㎜ 지점에 지지대를 놓고, 그 위에 보를 올려 놓는다. 3) 디지털 처짐계를 보의 중심인 300㎜ 지점에 놓고, 원점을 맞춘다 4) 300㎜ 지점에 무게별로 추를 걸고 컴퓨터로 처짐량을 측정한다. 2. 하중점의 위치변화에 따른 보의 처짐 1) 디지털 처짐계를 보의 중심인 300㎜에 고정시켜 놓고 원점을 맞춘다 2) 가장 먼저 300㎜ 지점에 400g 의 추를 걸고 수치를 측정하고, 이후에는 40㎜ 씩 좌측으로 이동하면서 수치를 측정한다. 이때, .. Engineering/기계공학 2022. 6. 30.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