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수지침의 이해 | 임기맥(A)과 독기맥(B) TIP 1. 기맥 2. 임기맥(A) 3. 독기맥(B) "기맥"에 대한 개념과 인체의 정 중앙을 상응하는 임기맥과 척추 정 중앙을 상응하는 독기맥에 대해 알아봅니다 기맥 : 한마디로 '장부기능 조절선이다' 라고 말할 수 있는데 장부기능 조절선'은 장부의 기능을 항진시키기도 하고(보법 및 정방) 억제하기도 한다(사법 및 승방)는 뜻으로 고전에서 말하는 경락의 개념과 같습니다. 또한 기맥 이론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경락과 경락혈에 대한 이론을 병행코자 하는바 이는 경락에서의 작용이나 상응점이 정확히 일치한다는 뜻이 아니고 기맥의 작용과 기맥혈에 대한 이해 차원에서 설명하는 것으로 이해 할 수가 있습니다. 임기맥의 이해 1. 임기맥 손바닥 손목선에서 5㎜정도 떨어진 부위(A1)에서 중지 끝(A33)까지 뻗.. 보건의료/수지침이야기 2019. 10. 23. 수지침의 이해 | 상응요법 건강기준과 상응요법 "손이 사람의 축소판"이라는 사실을 전제로 손과 인체 부위의 상응관계를 이해한다. 상응관계에 기반하여 상응점, 반응점, 압통점을 찾는 방법을 이해한다. 이를 바탕으로 상응요법으로 인체의 통증을 치료하는 법을 이해한다. 1. 상응부 손에는 인신(人身) 전체에 해당되는 구역이 있다. 이것을 상응부 라고 한다. 예를 들면 그림에서 A8은 배꼽 부분, A12는 위장부분, A16은 명치 끝부분 이다. 2. 상응점 신체에 병이 있을 경우에는 손의 상응부에서 압통, 긴장, 응결, 색택, 전기적인 반응이 나타난다. 그 나타나는 지점을 상응점 이라고 한다. 3. 상응요법 상응점이 나타나는 부위에 침 ,뜸, 자기, 서암봉, 전자 압박 등의 방법으로 자극을 준다 상응 요법 1. 상응요법은 인체의 병적 반.. 보건의료/수지침이야기 2019. 10. 13.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