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원생생물의 관찰 TIP 1. 원생생물의 동정 및 기재를 할 수 있다. 2. 담수 생태계 내 원생생물 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다. 원생생물계는 원생동물과 조류를 포함하는 진핵생물로 원생생물은 진핵생물 중에 동물이나 식물, 균 계에 속하지 않는 생물의 분류이다. 원생생물의 운동은 편모, 섬모, 위족으로 하는데 운동을 하지 못 하는 것도 있다. 모양은 매우 다양하여 좌우비대칭형, 동그란 형, 원 추형, 가늘고 긴 모양·납작하고 등과 배의 구별이 있는 것 등이 있다. 번식은 주로 이분법과 출아법으로 하며 교미와 접합의 유성 생 식도 가능하다. 원생생물의 종류로는 규조류, 아메바, 유글레나, 와편모조류, 짚신벌레, 물곰팡이가 있다. 실험 방법1. 실험 과정1) 농축된 담수를 채수병에 담았다. 2) 채수한 샘플을 스포이드를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2. 5. 2. 생명과학실험 | 원생생물의 관찰 TIP 채집 수에 살고 있는 원생생물을 현미경을 이용하여 생김새를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물이 있는 환경에서 세균의 운동성을 이해한다. 원생생물이란 보통 1개의 핵을 가진 단세포생물로서 가장 원시적인 생물을 말한다. 하지만 최근에는 배를 형성하고, 조직분화가 나타나지 않고 파동모가 있는 경우에는 미소관이9+2구조로 배열되는 진핵생물을 원생생물이라고 지칭한다. 따라서 다세포생물이어도 원생생물일 수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는 짚신벌레, 볼복스, 아메바, 유글레나, 규조류 등이 있다. 짚신벌레는 몸 전체에 균일하게 섬모가 나있고, 섬모운동을 한다. 입의 뒤쪽부터 가로로 분열하여 증식하고 성숙하면 접합에 의한 유성생식을 한다. 암수 구분은 없지만 접합을 할 수 있는 상대가 유전적으로 정해져 있다. 세균류를 먹고.. Biology/생명 과학 | 공학 2022. 4. 5. 일반생물학실험 | 곰팡이와 원생생물의 관찰 TIP 현미경을 이용하여 균류와 원생생물의 구조를 관찰한다. 관찰한 생물(곰팡이, 원생생물)의 이름과 특징 원생생물은 7개의 문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중의 세 개 문, 즉 편모충과 아메바가 속하는 위족편모충문, 운동력이 없는 포자를 형성하는 포자충문, 대부분의 섬모충 형태인 섬모충문이 매우 중요함. 1) 짚신벌레 ① 학명 : Paramecium caudatum ② 가장 유명한 원생동물로, 단세포동물이다. ③ 형태 : 몸길이는 170~290㎛이다. 몸은 방추형으로, 앞 끝은 둥글고 뒤끝은 원뿔 모양으로 뾰족하여 짚신 모양이다. 몸 전체에 균일하게 섬모(이동시 이용)가 촘촘히 나 있고, 입은 몸의 거의 중앙부에 깊이 깔때기 모양으로 열리며, 여기서 몸의 앞 끝 왼쪽에 이르기까지 위구부라고 하는 큰 홈이 계속..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9.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