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물리학실험 | 간섭을 이용한 빛의 파장 측정 TIP 이중 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인 보강간섭, 소멸간섭과 회절현상을 관찰하고, 빛의 파장을 구한다. 토마스 영은 빛의 간섭현상을 발견하여 빛의 파동설을 세웠다. 간섭이란 두 개 이상의 파동이 합성되는 경우 각각 파동의 위상차에 따라 진폭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을 뜻한다. 빛의 간섭현상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파장, 진동수, 속도 그리고 상대적 위상이 일정한 두 빛(단색광)을 사용해야 한다. 그림 1과 같이 광원에서 나온 빛이 슬릿 A를 통과하여 회절현상에 의해 슬릿 B, C를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는 슬릿 B와 C에서 나온 빛은 서로 진동수가 같고 위상차가 없는 두 개의 광원으로 볼 수 있다. B와 C를 통과한 빛은 다시 회절하여 각각 구면파를 이루면서 퍼져나게 되고 결국 스크린에 도달하게 된다. 스크.. Engineering/물리학 2021. 7. 5. 일반물리학실험 | 회절격자의 격자상수 측정 TIP 1. 빛의 회절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격자 상수를 알고 있는 회절격자를 이용하여 주어진 광원의 파장을 측정하고 이 광원을 사용하여 미지의 회절격자의 격자상수를 구한다. 2. 측정값과 이론값의 오차를 구하여본다 아래 그림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리판 단위길이 1㎝마다 n개의 평행선을 그린 회절격자(G)에 파장이 λ인 평행광선이 수직으로 입사할 때, 격자를 통과한 후 입사 방향에 대하여 m차 회절광이 φ각도를 가지고 회절되었다고 하자. 이웃한 평행광선 사이의 경로차는 ∆= d sinφ 이므로 ∆ = d sinφ = mλ (m=0,1,2...) 를 만족시키는 각도φ에 대하여 회절 된 빛들이 모두 보강 간섭을 하므로 빛의 세기가 최대로 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Data Studio를 실.. Engineering/물리학 2021. 2. 13. 일반물리학실험 | 빛의 회절 및 간섭 TIP 빛의 파동성인 간섭과 회절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레이저 광원과 단일, 이중슬릿을 이용하여 정밀하게 측정한다. 입자의 진행경로에 틈이 있는 장애물이 있으면 입자는 그 틈을 지나 직선으로 진행한다. 이와 달리 파동의 경우, 틈을 지나는 직선 경로뿐 아니라 그 주변의 일정 범위까지 돌아들어간다. 이처럼 파동이 입자로는 도저히 갈 수 없는 영역에 휘어져 도달하는 현상이 회절이다. 회절의 정도는 틈의 크기와 파장에 영향을 받는다. 즉, 틈의 크기에 비해 파장이 길수록 회절이 더 많이 일어난다. 실험 방법 1. 단일슬릿 실험 (단위는 ㎜) 1) 단일슬릿의 D선을 레이저에 고정시킨다. 2) 싱글슬릿을 통과한 레이저가 벽에 도달하면 도달한 레이저의 중심부터 어두운 곳까지의 거리와 벽과 슬릿까지의 거리를 측정한다.. Engineering/물리학 2020. 7. 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