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초실험 | Styrene monomer의 정제, Styrene 벌크중합 TIP 정제된 단량체 styrene에 개시제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첨가하여 벌크중합을 진행하고, 고분자 polystyrene에 대해 알아본다. 이 과정에서 개시제의 농도와 중합 온도에 따른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중합이라 하는 것은 모노머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하고 매우 큰 사슬형 또는 그물형으로 분자가 만들어지는 반응을 말한다. 적어도 100개정도의 모노머분자가 결합해야하며 수천개이상의 분자가 결합하여 단일중합체분자가 된다. 벌크중합은 단량체와 소량의 개시제 또는 개시제 조차 없는 상태에서의 반응으로서 중합 반응 공정이 매우 단순하고 제조된 고분자도 미반응 단량체를 제외하면 불순물이 거의 없는 순도가 매우 높은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벌크중합은 중합 반응열..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4. 7. 9. 고분자공학실험 |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의 현탁중합 TIP 용액중합과 현탁중합의 차이를 이해하고 교반속도, 단량체와 물과의 비율, 안정제의 종류에 따른 생성중합체의 크기, 분자량 및 분포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현탁 중합 물에 녹지 않는 단량체를 크기 0.01∼1㎜정도의 크기로 물에 분산시켜 중합하는 공정으로서 분산상 내에서는 단량체가 괴상중합 방식으로 중합되는 방법이다. 이때 중합개시제는 단량체의 분산상에 용해되어 있어야 분상상내에서 중합이 일어난다. 분산상의 크기는 분산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되는 현탁체의 종류, 함량 및 교반에 큰 영향을 받는다. 현탁제로서는 폴리비닐알콜, 젤라틴 등의 수용성 고분자와 MgCO3와 같은 무기물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현탁 중합은 폴리스티렌,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렌, 폴리아크릴로니트릴 ..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2. 3. 13. 고분자기초실험 | Free radical polymerization 반응을 이용한 Polystyrene 중합 TIP 라디칼 중합 반응에 대해서 이해하고 Polystyrene을 합성한다. Radical polymerization 라디칼을 이용해서 Vinyl 계(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물질) 단량체가 고분자가 되는 중합반응이다. 1. 1단계 - 개시반응 : 라디칼이 만들어지는 반응으로 개시제를 사용하여 라디칼을 쉽게 만들 수 있다. 2. 2단계 - 전파반응 : 라디칼이 전파되어 단량체들과 만나면서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는 반응이다. 3. 3단계 - 종결반응 : 라디칼이 없어지는 반응으로 중합반응이 완결된다. 라디칼끼리 서로 만나서 사라지거나(Combination) 라디칼이 옆에 있는 탄소의 수소를 가져가서 이중결합이 되어 이종의 다른 분자를 만드는 경우(Disproportionation)가 있다. 실험 방법 1. 실..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1. 7. 12. 고분자화학실험 | PMMA 벌크중합 TIP 기존에 만들어 놓은 MMA(Methylmethacrylate)를 단량체로 이용해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을 통하여 고분자형태인 PMMA(Polymethylmethacrylate)을 만들고 개시제 농도에 따른 용해도 및 IR, DSC 측정값을 통해 이론치와 비교하여 실험원리를 이해하고 차이점을 검토한다. 단량체, 개시제만으로 간단히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은 기체 및 고체 상태에서도 가능하지만 주로 액체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중합방법은 간편하면서도 고순도 및 높은 분자량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응시 열제거가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생성된 중합체가 단량체에 용해되지 않으며 또한 반응계의 점도가 높아 중합..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0. 1. 9. 고분자화학실험 | 비닐 단량체 및 라디칼 개시제(AIBN)의 정제 단량체의 순도 중합된 고분자의 질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척도이다. 게다가 불순물이 중합 금지제 이거나 정지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경우 그 농도가 ppm단위의 매우 적은 정도 라고 해도, 중합 속도 및 생성된 고분자의 분자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정제법에는 단순 증류, 분별 증류, 공비 증류, 진공 증류, 재결정, 추출, 승화 그리고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이번 실험에서는 추출과 재결정을 이용하여 정제를 진행하였다. 비닐 단량체의 정제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단량체의 종류, 예상되는 불순물, 그리고 중합방법이다. 즉 라디칼 중합인가(라디칼 중에서도, 수용성 에멀젼 중합인가 혹은 괴상 중합인가), 이온 중합인가(양이온 중합인가 음이온 중합인가)에 따라 택해야 할 정제법이 다르..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19. 12. 1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