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실험 | 산소의 몰부피 :기체 상수 R의 결정 TIP 1. 기체 상수는 화학에서 중요한 기본 상수 중 하나이다. 본 실험에서는 반응에서 발생한 산소 기체와 소모된 시료의 양을 이용하여, 기체 상태를 기술하는데 필요한 기본 상수인 기체 상수(R) 값을 결정한다. 2. 산소와 이산화탄소를 발생시켜 일정한 기체 상수의 값을 결정한다. 기체의 성질 일반적으로 기체의 성질을 기술하는 몇 가지 중요한 법칙이 있다. 보일의 법칙 : PV= k1 (k1=상수, 일정한 온도 T, 일정한 물질의 양 n에서) 샤를의 법칙 : V=k2T (k2=상수, 일정한 온도 P, 일정한 물질의 양 n에서) 보일의 법칙 : V=k3n (k3=상수, 일정한 온도T, 일정한 압력 P에서) 일반적인 기체는 압력(P), 부피(V), 기체의 양(n)과 온도(T), 사이의 관계를 위의 세 가지.. Chemistry/일반화학 2021. 4. 17. 물리화학실험 | Molecular Weight of Liquid by Steam Distillation - 수증기 증류에 의한 분자량 측정 TIP 1. 서로 혼합이 되지 않는 두가지 물질의 혼합물을 동시에 증류시키는 수증기 증류를 이해한다. 2. 증기 증류에 의해 분리되는 서로 다른 물질의 분자량을 측정한다. 3. 클로로벤젠의 분자량을 구할 수 있다. 4. 액체가 끓는 원리와 분압의 법칙을 이해한다. Distillation 어떤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그 일부를 증발시켜 발생한 증기를 다른 장소에서 회수하여 응축시키는 조작(단증류) 액체를 비등시켜 증기 상태로 만든 것을 다시 냉각시켜 액체 상태로 만듦 서로 다른 성분으로 된 액체 혼합물의 물질 분리 기능 Principles of Distillation 1. 끓는점 증기압 = 대기압 인 점에서 끓기 시작 증류할 때 처음에 증발해 나오는 것은 끓는점이 낮은 물질이고, 나중에 나오는 것일수록 끓는.. Chemistry/물리화학 2020. 2. 6. 유기화학실험 | Simple Distillation -단 증류(單蒸溜) TIP 1. 증류장치를 설치하면서 기구의 정확한 조작법을 익히고, 기화시 온도변화를 관찰하여 증류의 원리를 이해한다. 2. 두 액체의 혼합물 중에서 각 성분이 서로 불용상태에 있으면, 한 성분의 존재로 다른 성분의 증기압에 영향을 주지 않음을 이해한다. 3. 비점이 높은 유기화합물을 분리할 때, 열분해하기 쉬운 물질을 분해시키지 않고 혼합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음을 이해한다. 증류(Distillation) 1. 어떤 혼합 용액을 가열하여 그 일부를 증발시켜 발생한 증기를 다른 장소에서 회수하여 응축시키는 조작(단증류) 2. 끓는점 차이를 이용하여 액체혼합물을 분리하는 방법 3. 액체를 비등시켜 증발한 물질을 다시 냉각시킴으로써 다시 액체로 만드는 조작 4. 액체를 비등시켜 증기상태로 한 것을 냉각시킴.. Chemistry/유기화학 2020. 1. 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