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생물공학실험 | 미생물 배양 배지 제작 및 세균배양 TIP 미생물을 배양할 수 있는 배지를 만들어 보고 직접 세균을 배양해 본다. 미생물 배양미생물을 인공적으로 증식시키는 것을 배양이라고 한다. 진균, 세균, 랩토스피라 등은 무세포 배지에서 배양되지만 리케치아, 바이러스는 무세포 배지에서는 증식되지 않으므로 살아 있는 세포를 필요로 하는데, 부화란배양법, 조직배양법 등에 의해서 배양된다. 세균을 배양할 때에는 균종에 따라 각각 최적조건의 배지 선택이 중요하지만 바이러스, 클라미디아, 리케치아의 경우에는 최적세포의 선택이외에 숙주세포의 생명을 잘 유지하면서 배양해야 한다. 실험 방법1. 실험 과정1) LB Agar 분말 8g을 증류수 200mL에 넣는다. 2) 121℃, 1.5atm, 15-20 min 멸균조건으로 멸균한다. 3) 멸균된 배지를 .. Biology/미생물학 2024. 10. 2. 미생물공학실험 | Identification of bacteria by 16S ribosomal RNA gene(rDNA) sequence determination - Bacillus coagulans 탐색 TIP Bacillus coagulans의 분리 Bacillus coagulans가 메주의 생성시에 나오는점과 쌀겨발효시 분리된다는 논문을 통해 관찰된다는 점을 통해서 직접 시료로부터 집적배양을 하고 산생성시 균주 선발 및 순수분리 과정을 통해 균주를 선발한후 16s rRNA 유전자 증폭 시키고 염기서열 분석을 하는 것으로 전략을 세웠다. 실험 방법 1. 집적배양 과정 총 4가지 시료 중 {순창 메주,생기몰 메주,재래식 메주(초기,후기),쌀겨} 재래식 메주를 선택하여서 초기,후기 재래식 메주를 각각 10g을 채취후 MRS broth와 항진균제인(Cyclohexmide,NaN3)을 넣어서 농도를 10ppm으로 맞춰주고 autoclave에 50℃로 배양한다. 2. spreading 과정 autoclave에 .. Biology/미생물학 2020. 1. 20. 미생물공학실험 | 김치 요거트 막걸리 등의 생균제품으로부터 시료 채취 미생물(microorganism, microbe)이란 개체의 크기가 너무 작아서 육안으로는 관찰이 어려워 현미경(microscope)을 사용해야만 관찰할 수 있는 단세포나 세포들의 간단한 덩어리 형태로 된 생물체들을 말하며, 이들의 생명현상을 연구하는 학문을 미생물학(microbiology)이라 한다. 사람의 눈은 0.1 ㎜ 이하의 물체를 식별하지 못하는데, 대부분의 미생물들은 이보다도 작은 크기여서 이들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주로 ㎛( ㎜, m) 단위를 사용한다. 미생물들은 다양하고도 광범위한 생물군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반적으로 세균(bacteria), 곰팡이(mold), 효모(yeast), 원생동물(protozoa), 조류(algae) 및 바이러스(virus)가 포함된다. 미생물들은 그 크기.. Biology/미생물학 2020. 1. 15.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