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초실험 | Styrene monomer의 정제, Styrene 벌크중합 TIP 정제된 단량체 styrene에 개시제 AIBN(azobis(isobutyronitrile))을 첨가하여 벌크중합을 진행하고, 고분자 polystyrene에 대해 알아본다. 이 과정에서 개시제의 농도와 중합 온도에 따른 반응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중합이라 하는 것은 모노머들이 화학적으로 결합하고 매우 큰 사슬형 또는 그물형으로 분자가 만들어지는 반응을 말한다. 적어도 100개정도의 모노머분자가 결합해야하며 수천개이상의 분자가 결합하여 단일중합체분자가 된다. 벌크중합은 단량체와 소량의 개시제 또는 개시제 조차 없는 상태에서의 반응으로서 중합 반응 공정이 매우 단순하고 제조된 고분자도 미반응 단량체를 제외하면 불순물이 거의 없는 순도가 매우 높은 장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벌크중합은 중합 반응열..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4. 7. 9. 유기화학실험 | 중합반응 TIP 1. 스타일렌의 현탁중합을 통해 중합반응에 대해 이해하고 폴리 스타일렌을 합성해 본다. 2. 중합반응의 종류에 대하여 공부한다. 중합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화합물에 대하여 알고 중합반응을 이해한다. 중합(Polymerization) 단위체가 화학반응을 통해 2개 이상 결합하여 분자량이 큰 화합물을 생성하는 반응 원래의 분자량의 정수배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 1. 단위체 : 중합체(polymer)의 원료 2. 중합체 : 중합에 의하여 생성된 화합물 3. 중합도 : 고분자를 구성하는 반복된 단위의 수 중합반응의 방법 1. 벌크 중합 ① 단량체에 그대로 소량의 개시제를 가해서 중합시키는 방식 ② 축합중합체를 만드는데 이용 2. 용액중합 ① 단량체, 용매, 개시제를 사용하는 중합 ② 가능한 한 연쇄이동을 적.. Chemistry/유기화학 2021. 1. 24. 화공생물공학실험 | Methylmethacrylate의 현탁중합 TIP 1. 용액중합과 현탁중합의 차이를 이해하고 교반속도, 단량체와 물과의 비율, 안정제의 종류에 따른 생성중합체의 크기, 분자량 및 분포 등을 알아보는 것이다. 2. 개시제 BPO를 사용하여 MMA를 현탁중합 방법으로 중합한 후, Conversion rate와 생성물의 변화를 확인한다. 단량체를 라디칼중합시켜 고분자 화합물을 얻는 중합방법에서 용액중합은 중합반응에서 용매를 사용하여 벌크중합을 단점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원가나 작업성에 문제점이 많아 용매대신에 물과 같은 비활성의 매질을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을 현탁중합 또는 진주중합이라 한다. 단량체를 비활성의 매질속에서 0.01~1㎜정도 입자로 분산시켜 중합하면 중합반응 결과 얻어지는 고분자화합물은 비드같은 입자로 되어 침강하.. Engineering/화학생물공정 2020. 3. 8. 고분자공학실험 | 스티렌의 현탁중합 TIP 자유라디칼 중합의 다른 방법인 현탁 중합법을 사용하여 고분자를 합성한다. 현탁 중합 단량체를 라디칼 중합시켜 고분자 화합물을 얻는 중합 방법 중에서 용액 중합에서 용매를 사용하여 벌크 중합의 단점을 보완하였다. 그러나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생산원가나 작업성에 문제점이 많아 용매 대신에 물과 같은 비활성의 매질을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을 현탁 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또는 진주 중합(Pearl Polymerization)이라 한다. 단량체를 비활성의 매질 속에서 0.01~0.1㎜ 정도 입자로 분산시켜 중합하면 중합 반응 결과 얻어지는 고분자화합물은 비드 같은 입자로 되어 침강하므로 이를 비드 중합이라고도 하며 벌크 중합이나 용액 중합과 같은 반응기구로 반응이 진행된다. 일..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0. 2. 1. 고분자공학실험 | 현탁 중합 TIP MMA의 현탁중합을 통하여 현탁중합의 중요성과 장 · 단점, 메커니즘을 알아보고, 벌크 중합, 용액중합과의 차이점을 알아본다. 현탁중합(suspension polymerization) 용매를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생산원가나 작업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 물과 같은 비활성의 매질을 사용하여 중합하는 방법을 현탁중합이라고 하며, 진주중합(pearl polymerization)이라고도 한다. 단량체를 비활성의 매질 속에서 0.01~1㎜ 정도의 크기의 입자로 분산시켜 중합하면 중합반응결과 얻어지는 고분자화합물은 비드(bead)같 은 입자로 되어 침강하므로 비드중합(bead polymerization)이라고도 한다. 1. 장점 ① 고중합도의 고분자 생성물을 쉽게 얻을 수 있다. ② 중합열의 제거가 쉽다. ③..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0. 1. 28. 고분자화학실험 | PMMA 벌크중합 TIP 기존에 만들어 놓은 MMA(Methylmethacrylate)를 단량체로 이용해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을 통하여 고분자형태인 PMMA(Polymethylmethacrylate)을 만들고 개시제 농도에 따른 용해도 및 IR, DSC 측정값을 통해 이론치와 비교하여 실험원리를 이해하고 차이점을 검토한다. 단량체, 개시제만으로 간단히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은 기체 및 고체 상태에서도 가능하지만 주로 액체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중합방법은 간편하면서도 고순도 및 높은 분자량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반응시 열제거가 어렵고 경우에 따라서는 생성된 중합체가 단량체에 용해되지 않으며 또한 반응계의 점도가 높아 중합..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0. 1. 9. 고분자화학실험 | MMA 벌크중합 TIP 벌크 중합(Bulk Polymarization)을 통하여 MMA(Methyl Methacrylate)를 중합하고, PMMA[Poly(Methyl Methacrylate)]를 합성한다. 벌크중합(Bulk Polymarization) 괴상중합(塊狀重合)이라고도 한다.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가장 간단한 중합방법으로, 장치가 비교적 간단하고 반응이 빠르며, 수득률(收得率)이 높고 고순도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중합체를 그대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중합계(重合系)의 발열이 강하여 온도조절이 어렵고, 중합체의 분자량분포가 넓어지며, 중합체의 석출이 쉽지 않은 단점도 있다. 액체상(液體狀) 또는 기체상(氣體狀)의 단위체중합에 잘 이용된다. 축합중합에 이용할 때는 강하게 발열하는 일은 적..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19. 11. 25. 고분자화학실험 | MMA의 Bulk polymerization TIP MMA를 세 가지 조건(MMA, MMA+BPO, MMA+BPO+n-BuSH)에서 Bulk Polymerization을 시켜서 각 조건에 따른 중합상태를 관찰한다. 벌크중합은 고대부터 알려져 있는 가장 간단한 중합방법으로, 장치가 비교적 간단하고 반응이 빠르며, 수득률이 높고 고순도의 중합체를 얻을 수 있으며, 중합체를 그대로 취급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중합계의 발열이 강하여 온도조절이 어렵고, 중합체 의 분자량분포가 넓어지며, 중합체의 석출이 쉽지 않은 단점도 있다. 액체상 또는 기체상의단위체 중합에 잘 이용된다. 축합중합에 이용할 때는 강하게 발열하는 일은 적다. 중합반응의 기초적인 연구를 위해 실험실에서 시행되며, 공업적으로도 유기유리로서의 아크릴수지 제조 등에 이용된다. 1. 반..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19. 11.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