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단위조작실험 | 삼각도를 이용한 상평형도 TIP 1. 3성분계에 있어서 상평형도를 이해하고 적성하여 임의의 조성을 구성하는 액체의 3성분계를 삼각도상에 배열할 수 있어야 하며, 실험을 통하여 1상영역과 2상영역을 구분하여 상경계도를 찾는 능력을 배양 할 수 있다. 2. 3성분계 즉, 아세톤-톨루엔-증류수의 상호용해도 관계를 알아본다. 본 실험의 목적은 물질을 상평형도에 나타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것은, 만일 압력과 온도가 정해진다면, 한 상의 임의의 몰 분율만 규정하여도, 모든 상의 조성들을 알아내기에 충분하다는 것이다. 원래 실험에서 총 3가지의 성분을 나타내어야 하는데 실험 여건상 2가지 용액만 나타내기로 했다. 아세톤-증류수 용액과 아세톤-톨루엔 용액 이다. 먼저 첫 번째 용액에서 각 w.%농도 에 맞춰 용액을 만든 후 온..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1. 물리화학실험 | 상평형도 결정 TIP 물, 톨루엔,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3성분 액상계의 상평형도를 정삼각형 좌표계에 나타냄으로써 3성분 액상계의 상평형 거동과 정삼각형 좌표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정삼각형 좌표계 3성분계의 자유도, F는 Gibbs의 상률에 따라 (5-p)로 나타내어지며, 단일상이면 F=4 이며 4차원 공간이 필요하지만, 압력이 일정하면 3차원으로 표시가 가능하다. 온도와 압력이 모두 일정하다면, 그 계는 F=3-p로, 2차원으로 표시될 수 있다. 3성분 계는 상이 하나이면 계의 상태를 정의하는데 4개의 변수가 필요하다. 이러한 계를 평면에 나타내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온도와 압력을 일정하게 하여 변수를 줄여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면 계의 변수는 F=3-p가 되어 최대변수가 2개이므로 2차원 평면에 표.. Chemistry/물리화학 2020. 10. 20. 화공기초실험 | 3성분계의 상평형도 결정 TIP 물, 톨루엔, 아세톤으로 이루어진 3성분 액상계의 상평형도(phasediagram)를 결정하고, 이를 정삼각형 좌표계에 나타낸다. 액체-액체 혼합계그림 3에 벤젠-초산-물 3성분계를 예를 들었다. 벤젠-초산, 초산-물은 전 농도 구간에서 서로 혼합되나 벤젠-물은 서로 혼합되지 않는다. 벤젠-물 혼합물은 한 층은 순수한 물, 다른 한층은 순수한 벤젠으로 나뉜다. 이 혼합물에 초산을 조금씩 넣어주면, 초산은 두 층사이에 분배되고, 아울러 소량의 물이 벤젠층에. 소량의 벤젠이 물층에 각각 용해된다. 이 두 층의 조성은 그림3의 tie line의 끝 점 a와 b로 나타내어진다. 이를 혼합계의 전체조성이 G점으로 나타내어지는 경우 처음에 만들어진 벤젠- 물 혼합물 조성은 A점과 G점을 연결한 선이 ..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3. 7. 소재공학기초실험 | 냉각 곡선에 의한 상평형도 작성 TIP Pb-Sn 합금의 융점(Melting point)를 측정하여 합금의 냉각곡선과 그 합금계의 상평형도를 작성하는 것이다. 액체상태에 있는 순금속의 원자들은 약한 인력으로 상호 결합되어 있으며 또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다. 원자들은 운동을 할 수 있고 액체금속은 용기의 형상에 따라 쉽게 흘러 들어갈 수 있으며 연결이나 응집은 할 수 없다. 순금속이 액상으로부터 고상으로 냉각될 때에 응고점이라 불리는 일정온도에서 상태의 변화가 일어나며, 이 과정을 응고(solidification)라 부른다. 냉각 과정 중에 여러 시간에 있어서의 금속의 온도를 기록해 보면 그림1에 보인 바와 같은 냉각곡선이 얻어진다. 이 그림은 응고점에 있어서의 금속의 온도는 응고가 진행되는 동안 일정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외부로..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19. 11.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