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물리학실험 | 자외 및 가시분광광도계 원자 및 분자 스펙트럼모든 원자 및 분자는 전자기 복사선을 흡수하는 고유한 특정 주파수를 가진다. 원자 스펙트럼은 원자 내 전자가 일정한 에너지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이할 때 흡수 또는 방출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말한다. 원자의 전자는 에너지를 흡수하며 들뜬 상태가 되고, 다시 빛을 방출하며 바닥 상태가 된다. 원자 내 전자의 전이는 원자의 전자 궤도의 에너지 준위 변화로 인해 일어나는데, 원자 내에서는 에너지가 양자화 되어 있기 때문에 전자 전이 시에 구할 수 있는 에너지는 불연속적이다. 또 각 원자는 고유한 전자 궤도의 에너지 준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특정 스펙트럼을 가진다. 분자 스펙트럼은 분자의 에너지 준위 사이에서 전이가 일어날 때 관찰되는 빛의 스펙트럼이다. 분자의 에너지 준위는 전자의 상태.. Engineering/물리학 2024. 3. 14. 분석화학실험 | UV-VIS Spectrum을 이용한 코카콜라 속 카페인 정량 분석 TIP 분광광도법을 이용하여 콜라속 카페인의 양을 정량한다. UV 분광법 물질에 따른 가시 적외선의 흡수는 그 분자의 바닥상태에 있는 전자가 광에너지 (E=hv)를 흡수하여 들뜬 상태로 전의함으로써 일어난다. 이 흡수의 크기는 파장에 따라 다르며 파장에 따른 흡수스펙트럽은 물질의 특유한 것이다. 분자내의 전자가 전이를 일으키는데 큰 에너지가 필요하며 자외선 혹은 가시광선이 흡수 된다 .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시료를 분석하는 것을 가시 자외선 흡수스펙트럽법이라고 한다. 가시 자외선 광도계는 일정한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간의 추이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 일정범위에 걸친 파장에 따른 흡광도의 변화들을 측정할 수 있다. 분광광도법에서 측정하고자 하는 양은 흡광도 이다. 그러나 흡광도를.. Chemistry/분석화학 2022. 12. 14. 환경공학실험 |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을 이용한 먹는 물 속의 철의 농도 측정 TIP 시료속에 철 이온을 암모니아 알칼리성으로 하여 수산화제이철로 침전분리하고 침전물을 염산에 녹여서 염화하이드록시암모늄으로 제일철로 환원한 다음, 1,10-페난트로린을 넣어 약산성에서 나타나는 등적색 철착염을 510㎚파장에서 그 흡광도를 측정, 철의 농도를 추정한다. 검량선 (Standard Curve, Calibration Curve) 물질량과 측정치의 관계를 나타내는 선. 시료중 성분의 양이나 활성을 비색법, 적정법 그 밖의 간접적 방법으로 측정하는 경우에, 그 성분의 표준시료, 또는 표준물질을 이용하여 그 양이나 활성을 변화시켰을 때의 측정치 변화를 그래프상의 선으로 나타내어, 피시험 시료에 관한 측정치를 이것과 비교하므로써 정량할 수가 있다. 이는 정량에 이용하기 위해 작성한다. Beer-La..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2. 3. 9. 일반화학실험 | 옥살레이트 - 철 착화합물의 합성과 광화학반응 TIP 1. 전이 금속 이온의 주위에 여분의 전자쌍을 가진 리간드가 배위결합 하여 만들어지는 착화합물은 빛을 받아서 일어나는 광화학 반응을 다양하게 일으킨다. 2. 복사기가 대량으로 보급되기 전, 많이 사용하던 청사진에 이용되었던 철의 옥살레이트 착화합물을 합성하고, 착화합물의 광화학반응을 살펴본다. 광화학 반응 빛을 받아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 전자구름에 의하여 화학 결합을 형성 하고 있는 분자들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의 에너지를 흡수하면 전자구름의 모양이 바뀌면서 불안정하게 되어 화학 결합이 끊어지면서 분해되거나 다른 화합물과 쉽게 반응하게 된다. (ex. 광합성) 또한 전자구름에 의하여 화학결합을 형성하고 있는 분자들은 가시광선이나 자외선의 에너지를 흡수하면 전자 구름의 모양이 바뀌면서 불안정하게 되.. Chemistry/일반화학 2020. 5. 12. 화장품 화학 | 자외선 차단 로션 자외선 차단 로션 피부가 태양빛에 노출되면 멜라닌(melanin) 색소가 증가하여 검게 된다. 멜라닌은 자외선 광자를 받아 그 에너지를 열로 바꾼다. 따라서 멜라닌의 역할은 자외선 광량자에 의하여 입게 될 피부 분자 구조의 손상을 막아주는 것이다. 그러나 멜라닌이 방어를 해 주지만, 짧은 파장 영역의 고에너지 자외선은 피부를 손상시키며, 심한 경우는 피부암을 유발하기도 한다. 유색인종에 비하여 피부색이 흰 백인의 경우는 피부에 멜라닌이 적기 때문에 피해가 더 심하다. 어떤 화학물질은 일정한 빛의 파장을 흡수하기 때문에 적당한 자외선 차단 화학물질을 포함한 로션을 바르면 해로운 빛의 파장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이때 피부에 바르는 화학물질은 멜라닌과 유사한 기능을 하게 된다. 제일 많이 쓰이는 태.. Chemistry/생활 속 화학 2020. 5. 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