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품분석학실험 | 조단백질 함량 측정 TIP 1. 식품에 함유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고 아미노산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다. 2. 질소의 양을 먼저 측정한 후 질소계수를 곱하여 단백질의 양을 구한다. 비지 비지는 두부제조의 부산물로 마쇄한 대두로부터 두유를 압착하고 남은 찌꺼기이며 두유로 추출되지 않은 불용성성분과 압착되지 않고 남은 두유로 이루어진다. 대두로부터 두유를 제조할 때, 비지가 되는 비율은 대두의 마쇄 정도나 가수량에 좌우되지만 대략 대두 고형분의 1/3~1/4이다. 실험 방법 1. 분해 1) 비지 1g을 유산지에 싸서 분해관에 넣고 분해촉매제 2g을 넣는다.(공시험을 위해 시료를 넣지 않은 유산지와 분해촉매제를 넣는다) 2) 진한황산 30㎖를 조심스럽게 분해관에 넣고 내용물을 진한황산에 충분히 적신다. 3) 분해관을 분..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2. 9. 2. 식품화학실험 | 산가 측정 TIP 유지류 1g에 들어있는 유리지방산을 중화하는데 필요한 KOH의 ㎎ 양(:산가)을 측정하여 유지의 산패 정도를 파악한다. (나아가 유지의 품질 판정을 이해한다.) 산화-알칼리 중화적정 RCOOH + KOH → RCOOK + 물 : 유지가 산화되면 유리지방산이 생성된다. 유리지방산이라는 '산'이 생성되기 때문에, KOH(염기)를 첨가하여 산화-알칼리 중화적정 원리를 이용한다. 이때 페놀프탈레인을 첨가하여 (페놀프탈레인은 산성용액에서 무색, 염기성용액에서 적색) 중화정도를 파악한다. KOH를 첨가하여 미홍색이 30초간 유지되는 그 점을 END Point로 잡고, KOH양을 측정한다. 산가계산법을 이용해서 산가를 측정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료 20-25g을 정량하고 ether․ethan..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2. 7. 25. 일반생물학실험 | Kjeldahl 법을 이용한 단백질 정량 질소정량법으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1883년 Kjeldahl이 제안한 방법이 오늘날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 방법의 원리는 다음과 같다. 즉 일정량의 시료에 진한 황산과 촉매를 가열하면 식품성분의 분해반응과 동시에 산화, 환원 반응이 발생하여 시료 중의 질소는 모두 암모니아로 되는데 이 암모니아는 반응액의 황산과 결합하여 황산암모늄의 형태로 분해액 중에 남는다. 이 황산암모늄은 식품의 다른 여러 가지 분해물과 같이 존재하기 때문에 황산암모늄을 구성하는 질소의 양을 정량하기가 어려우므로 이 질소만을 따로 분리하기 위하여 과잉의 알칼리를 가하고 가열하면 황산암모늄 중의 질소는 알칼리와 반응하여 암모니아 기체로 변하여 식품 중의 다른 분해물과 분리된다. 암모니아는 휘발성이 강하기 때문에 일정량의 산성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6. 24. 분석화학실험 | 알칼리도 산도란 알칼리도를 중화시킬 수 있는 능력을 말하며, pH8.5 이하에서 존재한다. 즉, 일정량의 시료를 강알칼리의 표준액으로써 어떤 일정한 pH까지 적정할 때 필요한 알칼리의 당량수를 말한다. 수중에 포함된 알칼리 성분이 중화할 때 필요한 산액(酸液)의 소비량을 구해 그 양을 탄산칼슘(CaCO3)으로 환산하여 ppm으로 나타낸 것이다. M 알칼리도와 P 알칼리도가 있고, 양자 모두 지시약에 의해 비색법(比色法)으로 측정된다. 전자는 총알칼리도라고도 하며, 메틸오렌지를 지시약으로 하여 수중의 알칼리분 전부를 CaCO3의 ppm으로 한 것이고, 후자는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 한 것이다. 수질 조정의 지표로 사용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료 100㎖를 취한다. 대조액으로 동량의 증류수를 취한다.. Chemistry/분석화학 2021. 1. 24.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