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물리학실험 | 커패시터의 충방전 TIP 저항과 커패시터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커패시터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인 변화를 관측하고 회로의 시간상수를 구한다. 커패시터와 저항으로 이루어진 회로에서 커패시터가 충전되는 동안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적용한 전위차이다.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사용하면 전하가 쌓이는 과정에서 저항과 커패시터 양단에서의 전압강하의 합은 전지의 기전력과 같아야 하므로 저항의 전위차는 시간이 흐르면서 감소하므로 전류도 줄어든다. 저항에서의 커패시터의 전위차가 전지의 기전력과 같다는 것을 말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커패시터 충방전 실험 장치와 S-CA시스템을 준비한다. 2) 극성에 맞게 콘덴서 양단의 전압 단자를 서버의 입력단자 CH A에 연결한다. 3) I-CA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인터페이스.. Engineering/물리학 2023. 1. 7. 전력전자실험 | 풍력 발전기 TIP 풍력 발전기에 대한 이해와 작동원리를 알아본다. 브릿지회로의 원리와 역할 다이오드 브리지(Diode Bridge) 혹은 브리지 정류기(Bridge rectifiter)는 4개의 다이오드를 연결한 브리지 회로이다. 브리지 정류 다이오드는 어떠한 극성 전압이 입력되더라도 동일한 극성 전압을 출력한다. 가장 일반적으로, 교류 입력을 직류 출력으로 변경할 때 사용한다 브리지 정류 다이오드의 가장 큰 특징은 입력되는 전압과 동일한 전압을 출력한다. AC를 DC로 바꾸기 위해 정류용 다이오드를 사용한다. 하나의 다이오드에서는 반파정류(전압의 플러스 측 또는 마이너스 측 중에서 한쪽만 사용.)밖에 사용 할 수 없지만, 다이오드를 4개 조합하면 전파정류를 할 수 있으며, 4개를 조합한 것이 다이오드 브리지(di..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3. 16. 일반물리학실험 | S-CA를 이용한 콘덴서의 충방전 TIP 저항과 콘덴서로 이루어진 회로에서의 콘덴서에 인가되는 전압의 시간적 변화를 관측하고 회로의 용량 시간상수를 구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아래 그림과 같이 콘덴서 충방전 실험장치와 S-CA시스템을 준비한다. 2) 극성에 맞게 S-CA 서버의 직류전원장치를 실험장치의 전원부에 연결하고, 다이얼을 통 해 저항과 콘덴서를 원하는 값에 위치시킨다. 콘덴서 양단의 전압단자를 S-CA 서버의 입력단자 CH A에 연결한다. 3) PhysicsView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인터페이스 분석, 데이터로그 보기를 선택한다. 4) S-CA서버의 전압조절 다이얼을 돌려, 5V 내외의 적정 전압을 인기하고, 실험장치의 스 위치를 충전에 위치시킨다. 데이터로그 보기 화면에서 시작을 클릭 입력되는 신호를 확인 한다... Engineering/물리학 2021. 9. 11. 일반물리학실험 | R-L-C 회로를 이용한 교류의 인피던스 측정 TIP 1. 일정한 진동수의 교류전류가 흐르는 R-L-C 직렬 회로의 인피던스를 구한다 2. 교류회로에서 저항, 콘덴서, 코일의 저항 성분인 임피던스를 측정하고, 교류를 구분하는 특성 중 하나인 위상을 측정하여, 임피던스에 따른 위상의 변화를 이해한다. 직류(DC)회로에서 금속 도체 내의 전자는 같은 방향으로 흐른다. 교류 (AC)회로에서는 한 방향으로 잠깐 흘렀다가 방향을 바꾸어 역방향으로 같은 시간동안 흐르고는 다시 방향을 바꾼다. 이러한 변화는 1초에 여러 차례 반복된다. 60Hz의 교류회로에서는 1초에 120번의 방향변화가 일어난다. 이와 같이 교류에서는 전압 E와 전류 I의 순간값은 계속 변한다. 따라서, 전압 E와 전류 I는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적당한.. Engineering/물리학 2020. 11. 2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