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감수분열의 관찰 TIP 감수분열 중인 세포의 현미경 표본제작 방법을 익히고, 감수분열과정을 관찰하고, 각 단계를 구별한다. 또한 prophase 1에서 관찰되는 염색체 접합을 관찰하고 이것의 생물학적 의미를 숙지하기 위해 감수분열 관찰 실험을 진행한다. 감수분열(Meiosis) 감수분열이란 동물의 난자, 정자 등 생식세포 형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분열이다. 2회의 분열이 연달아 일어나며, 1개의 모세포에서 4개의 딸 세포가 형성된다. 제 1분열을 이형분열이라고 하고, 제 2분열을 동형분열이라고 하며,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가 있다. 간기 : 염색체의 복제시기이다. 각각의 염색체는 동원체 부분에 붙어있는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자매 염색 분체를 형성한다. 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변하고, 상동염색체 한 쌍..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5. 30. 일반생물학실험 | Barr Body 관찰 TIP 표본제작과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Barr body를 확인한다. Barr body(바소체) 간기 시기에 진하게 염색되는 이질염색질 덩어리로 불활성화된 X염색체이다. 포유류에서 수컷은 하나의 X염색체를 가진데 비해, 암컷은 두 개의 X염색체를 갖고 있어 X염색체 위에 있는 유전자가 모두 활성화되었을 때 암컷은 수컷보다 2배나 많은 양의 유전자 산물을 합성하게 된다. 따라서 유전자량 보정(dosage compensation)을 통하여 암컷의 X염색체 하나를 응축시켜서 불활성화시킴으로써 평형을 유지한다. X chromosome inactivation 남성은 X 염색체에 존재하는 모든 유전자를 하나씩만 가지고도 모든 기능이 정상이다. 이것은 X 염색체에 유전자들은 오직 1개씩만 필요하고, 더 많은 경우는 ..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19. 11. 12.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