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실험 | Luminol의 화학발광 TIP Luminol의 화학발광 현상을 관찰하고 그 메커니즘을 이해한다. Luminol루미놀은 적절한 산화제와 혼합될 때 푸른 빛을 내는 화학발광을 나타내는 화학 물질이다. 대부분의 극성 유기 용매에 용해되지만 물에는 잘 용해되지 않는 흰색에서 옅은 노란색의 결 정질 고체이다.(실험 과정 1에서 루미놀을 완전히 용해시켜야 하는 이유이다.) 루미놀을 발광을 나타내려면 산화제로 루미놀을 활성화하고 염기성 용액을 가해주어야 한다. 일반적으 로 과산화수소(H2O2)를 산화제로 사용한다. 실험 방법1. 실험 과정1) 1 L 삼각 플라스크에 제조된 3 M 𝑁𝑎𝑂𝐻 수용액을 피펫을 이용하여 10 ㎖ 취하 고, 이에 0.1 g의 luminol을 용해시킨 후 500 ㎖의 증류수를 가한다.(완전히 용해한 후.. Chemistry/일반화학 2024. 6. 11. 일반화학실험 | 화학발광 - 야광봉 제조 발광 물체의 온도가 400℃ 이하인 낮은 온도 에서도 가시광선을 내어 놓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을 발광이라 한다. 물질이 에너지가 높은 불안정한 상태에서 에너지가 낮은 안정한 상태로 되면서 이들 사이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을 내놓는 것을 말한다. 이 빛을 내놓기 위해 에너지가 높은 들뜬 상내로 만드는 것이 필요한데, 빛, 화학반응, 전기 ,열, 또는 음극에서 나오는 전자를 이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사용된다. 열발광의 좋은 예로는 불꽃반응이 있다. 형광이란 처음 들뜬 상태에서 바로 낮은 에너지 상태로 돌아가면서 빛을 냄. 인광이란 다른 들뜬 상태로 전환되었다가 이것이 낮은 에너지 상태로 되면서 빛을 냄. 야광이란 인광을 내는 들뜬 상태에서 머무는 시간이 몇시간 정도로 긴 물질이 빛으로 들뜬 .. Chemistry/일반화학 2021. 12. 27. 물리화학실험 | Quenching study with Absorption and Fluorescence Spectroscopy Fluorescence spectroscopy(형광)의 구성 원리와 전자 상태일 때 에너지 이완 경로를 자외선-가시광선 흡수 분광학과 비교하여 이해해본다. 형광 수득률(FY)을 통해 물질의 형광 특성을 알아본다. 또한 NaCl(Quencher로 작용한)의 농도를 달리한 용액에서 QS의 Absorbance와 Fluorescence를 알아보고, Quenching(소광)현상이 diffusion-controlled reaction(확산 지배 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실험 방법 실험 1. Obtaining the FY of Coumarine 175 1) 이 실험에서 사용될 용매인 1M H2SO4 250㎖를 만든다. 이때 사용되는 H2SO4는 95%로 1M을 만들기 위에 필요한 양은 다음과.. Chemistry/물리화학 2020. 11. 24. 화학공학실험 | 인디고 유기합성 TIP 6-Bromooxindole와 6-Bromoisatin를 커플링하여 6,6`-DiBromoisoindigo를 합성하여 염색의 원리에 대해 이해하여 본다. 재결정, 재침전 재침전은 용해도를 떨어뜨려서 고체를 침전시키는 것이다. 빠르게 고체를 얻을 수 있으며 재침전을 할 때는 핵산을 사용한다. 재결정은 온도에 따른 용해도 차이를 이용한 방법이다. 재결정을 할 때는 메탄올을 사용한다. 재침전보다는 재결정이 더 순수한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염료와 안료의 차이점. 색소에는 염료와 안료 두 가지가 있는데 염료의 경우는 용해가 가능해서 가용성이고 안료의 경우 녹지 않는 불용성이라는 것이다. 안료의 예로는 페인트가 있는데 페인트의 큰 특징 중 하나는 녹지 않는다는 것이다. 색감은 만들어내지만 녹지는 않기 때문..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0. 8. 11.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