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생물학실험 | 감수분열의 관찰 TIP 감수분열 중인 세포의 현미경 표본제작 방법을 익히고, 감수분열과정을 관찰하고, 각 단계를 구별한다. 또한 prophase 1에서 관찰되는 염색체 접합을 관찰하고 이것의 생물학적 의미를 숙지하기 위해 감수분열 관찰 실험을 진행한다. 감수분열(Meiosis) 감수분열이란 동물의 난자, 정자 등 생식세포 형성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분열이다. 2회의 분열이 연달아 일어나며, 1개의 모세포에서 4개의 딸 세포가 형성된다. 제 1분열을 이형분열이라고 하고, 제 2분열을 동형분열이라고 하며, 간기, 전기, 중기, 후기, 말기가 있다. 간기 : 염색체의 복제시기이다. 각각의 염색체는 동원체 부분에 붙어있는 유전적으로 동일한 두 개의 자매 염색 분체를 형성한다. 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변하고, 상동염색체 한 쌍..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5. 30. 일반생물학실험 | 호밀 이삭을 이용한 감수분열 관찰 TIP 1. 호밀이삭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한다. 2. 감수분열 과정을 이해한다. 3. 호밀이삭의 감수분열 모습을 현미경으로 관찰 할 수 있다. 감수분열감수분열 과정은 체세포분열 과정과 같은 단계(전기→중기→후기→말기)를 거치나, 체세포분열과 달리 두 번 연속해서 분열(제1분열, 제2분열)하여 염색체수가 체세포의 반으로 줄어들고 4개의 딸세포가 형성된다. ① 제1분열(이형분열) : 염색체수가 반으로(2n→n) 줄어든다. 유전물질 의 양은 간기에 2배로 늘어났다가, 후기에 다 시 반이 되어 원래의 양이 된다.- 간기 : DNA가 복제되어 유전물질의 양이 2배가 된다.- 전기 : 염색사가 염색체로 변하고, 상동염색체 한 쌍이 접합하여 2 가염색체를 형성한다...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1. 7.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