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리화학실험 | 물의 증기압과 증발열 TIP 1. 물의 온도 변화를 통해 이에 따른 증기압과 증발열을 측정한다. 2. Clausius-Clapeyron식을 사용하여 증발열을 구한다. 증 발 액체에서 기체로 변화하는 과정으로 이 증발 과정은 액체내의 비교적 강한 분자간 인력을 극복하기 위해 에너지가 소모되는 것이므로 발열 반응이다. 1. 증발열 : 기압의 압력에서 액체 1㏖이 증발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단위로는 J/㏖을 사용한다. 2. 증기압 : 평형 상태에서의 증기의 압력을 액체의 평형 증기압 혹은 증기압이라고 하며 증기압은 온도에 따라 변화한다 Clausius-Clapeyron식 가정법 온도에 의한 증기압의 변화 관계를 나타내며, 이 식의 전개에는 몇 가지의 가정이 따른다. 1. 액체와 기체상 사이의 평형 상태 2. 증기는 이상기체이다 3.. Chemistry/물리화학 2019. 10. 24. 물리화학실험 | 반응속도론 - 반응속도에 미치는 온도효과 TIP 1. 반응속도 상수에 미치는 온도효과를 알아본다 2. 반응속도 상수-온도 자료로부터 활성화 에너지 계산 화학 반응속도론은 물질이 화학반응을 할때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정도를 정량적으로 기술하는 이론이다. 반응 속도 이론에서 구하는 것은 반응 속도 상수,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 반감기, Q10 valuek, k(T+10)/k(T), shelf life, 반응 기전 추정 등이다. 반응의 분석방법으로는 기기분석 (UV/VIS spectrophotometer, HPLC, GC, NMR 등), 동위원소법, 정량 분석 등이 있다. 물질의 시간에 따른 변화는 속도 = ±dc/dt(단위 시간 당 농도 변화)로 나타내며 + 는 생성 반응 ,- 는 소모 반응을 나타낸다. methylacetate 의 가수분해반응의 .. Chemistry/물리화학 2019. 10. 19. 물리화학실험 | 아세톤의 브롬화 반응 - 반응속도론 TIP 1. 아세톤의 브롬화반응의 반응속도식과 속도상수를 결정한다. 2. 그 속도상수를 이용하여 본 실험의 반응이 0차 반응이 성립되는가를 확인한다. 3. 반응의 활성화 에너지를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여러온도에서 얻은 반응속도를 써서 계산한다. 반응속도론 1. 화학 반응 속도의 개념 ① 평균반응속도 : 반응물이나 생성물의 농도 변화량을 변화가 일어나는데 걸린 시간으로 나누어 얻는다. ② 순간반응속도 : 어떤 시간에서 무한히 작은 시간 구간(△t)에 대한 △농도의 비로 구한다. 즉, 시간에서의 곡선에 대한 접선의 기울기, 시간에 대한 농도의 미분값이다. 2. 화학 반응 속도의 측정 ① 반응 속도가 느린 경우: 반응을 일정하게 진행시킨 다음, 반응이 정지할 정도로 급냉각 시킨다. 이 온도에서는 반응이 거의.. Chemistry/물리화학 2019. 10. 14. 물리화학실험 | 중화열 측정 - 열량계 법 TIP 강염기인 NaOH 0.1mol을 여러 가지 산(강산,약산)으로 중화시킬 때 발생되는 중화열을 측정 반응열에 대한 이해와 열량 측정의 개념을 알수 있다. 중화반응 1) 산과 염기가 반응하여 염과 물이 생성 2) 알짜 이온 반응식 H+(aq) + OH-(aq) → H2O(ℓ) + 열 0.5N NaOH50㎖ + 0.5N HCl 50㎖ = ΔH1↑ 0.5N Ca(OH)2 50㎖ + 0.5N H2SO4 50㎖ = ΔH2↑ ΔH1↑= ΔH2↑ 약전해질(ΔH) Chemistry/물리화학 2019. 10. 10. 물리화학실험 | 중화열 측정 - 열량계 법 TIP 강염기인 NaOH 0.1㏖을 여러 가지 산(강산,약산)으로 중화시킬 때 발생되는 중화열을 측정한다. 반응열에 대한 이해와 열량 측정의 개념을 알수 있다. 중화열 1)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시 발생 2) 중화반응이 일어날 때의 엔탈피 변화량(ΔH) 3) 반응하는 H+과 OH-의 수가 많을 수록 많은 열을 방출 4) 산과 염기의 강약, 농도, 해리과정에 소요되는 에너지가 달라 약간 다르다 5) H+(aq) + OH-(aq) → H2O(ℓ) + 열(중화열) 6) 크기 : 중화반응에 참여하는 분자의 수에 비례 7) 측정 : 반응한 용액의 비열 × 부피 × 밀도 × ΔT 8) Q(반응열) = m×c×T(m=용액의 질량, c=1g이 1℃ 올라가는데 필요한 열의 양, T=용액의 온도변화) 열용량(Heat Cap.. Chemistry/물리화학 2019. 10. 7. 이전 1 ··· 4 5 6 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