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식품분석학실험 | 조단백질 함량 측정 TIP 1. 식품에 함유된 단백질은 아미노산으로 되어 있고 아미노산에는 질소가 포함되어 있다. 2. 질소의 양을 먼저 측정한 후 질소계수를 곱하여 단백질의 양을 구한다. 비지 비지는 두부제조의 부산물로 마쇄한 대두로부터 두유를 압착하고 남은 찌꺼기이며 두유로 추출되지 않은 불용성성분과 압착되지 않고 남은 두유로 이루어진다. 대두로부터 두유를 제조할 때, 비지가 되는 비율은 대두의 마쇄 정도나 가수량에 좌우되지만 대략 대두 고형분의 1/3~1/4이다. 실험 방법 1. 분해 1) 비지 1g을 유산지에 싸서 분해관에 넣고 분해촉매제 2g을 넣는다.(공시험을 위해 시료를 넣지 않은 유산지와 분해촉매제를 넣는다) 2) 진한황산 30㎖를 조심스럽게 분해관에 넣고 내용물을 진한황산에 충분히 적신다. 3) 분해관을 분..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2. 9. 2. 신소재공학실험 | 박막 실험 현재 magnetron sputter는 반도체, LCD 등을 포함하는 microelectronics 산업에서 박막 형성을 위한 주요 장비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소자의 고집적화 및 대형화 추세에 따라 그 이용가치는 더욱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TFT-LCD용 color filter제조시 ITO 박막 형성을 위해 사용하는 magnetron sputter내부의 플라즈마 분포 및 ion kinetic energy에 대한 해석을 실시 하였으며, ITO target의 erosion형상의 원인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magnetron sputter은 target에 가해지는 기본 전압에 의해 target과 shield 혹은 target과 substrate 사이에서 생성될 수 있는 플라즈마 사이의 전위차에 의..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2. 9. 2. 신소재공학실험 | 탄소강의 열처리에 따른 미세조직 및 경도 비교 TIP 열처리를 이해한 후 다른 열처리에 따라 같은 조성을 갖는 탄소강이 변화하는 미세구조와 경도 차이를 이해하는 것. 열처리 열처리란 재료에 가열과 냉각의 조작을 통하여 우리가 원하는 성질로 변화시키는 것을 말하며 동일 재료라도 열처리에 따라 그 적응성은 광범위하게 변화 할 수 있다. 열처리를 통하여 모든 산업기계, 구조물 , 모든 소성가공, 형상물 등에 적용하여 그 성질이 적합하도록 변화시킬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열처리는 모든 금속을 취급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기초 기술이다. 열처리의 목적으로는 1) 경도나 항장력을 확대시킨다. 2) 조직의 연화 및 기계 가공에 적합한재료로 만든다. 3) 조직을 미세화하여 방향성을 작게 하고 편석이 작고 균일한 상태로 한다. 4) 중간 풀림 열처리를 통하여..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2. 8. 31. 환경화학실험 | 화학적산소요구량(COD) - 망간법 TIP COD의 측정 목적 및 그 중요성에 대해 알고 과망간산칼륨을 이용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의 측정 방법 및 원리를 이해하고 COD를 구하여 본다. 화학적산소요구량(COD) 하천 물이나 하수도 물 속의 유기물 함량의 지표의 하나로서, 물속의 환원성 유기물을 일정한 산화조건으로 반응시켜, 그것에 요하는 산화제의 양을 당량 산소량으로 환산하여 나타낸것. 보통 산화제로서 과망간산칼륨을, 산화조건으로는 산성, 100℃, 30min 값을 씀. 측정이 쉬우므로 해역이나 호소의 환경기준 등에 널리 쓰이고 있으나, 유기물의 종류에 따라 산화분해의 정도가 다르고, 또 무기성인 환원물질도 측정에 걸리므로, COD값을 나타내는 내용은 명확하지 않음. 그러나 수질검사에는 중요 항목으로서 널리 쓰이고 있음. 일반적으로 공장폐..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2. 8. 31. 기계공작실험 | 열처리에 의한 금속조직 TIP 1. 탄소 함량에 따라 금속조직과 기계적 성질 관찰한다. 2. 탄소 함량, 열처리 등이 금속조직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다. 기계재료의 기계적인 성질인 금속 조직은 합금의 종류와 제조공정에 따라서 결정된다. 이에 우리는 합금의 종류와 제조공정을 살펴보고 마지막 결과적으로 금속 조직을 관찰하며 토의해 볼 것이다. 본 실험에서의 이론은 크게 사용하는 재료의 금속조직과 열처리에 관한 이론, 경도측정에 관한 이론을 사용하였다고 볼 수 있다. 실험 방법 1. Cutting 작업 1) 두 개의 시편 SM20C(노랑) , SM45C(빨강)를 준비한다. 2) Cutting Machine을 이용하여 시편을 절단하여 SM20C(노랑색 - 0.20%의 C함 유), SM45C(빨강색 - 0.45%의 C함유) 각 두 개씩.. Engineering/기계공학 2022. 8. 31. 재료역학실험 | 열처리에 따른 충격인성의 변화 관찰 TIP 1. 철강 재료에서 0.2wt% 탄소강의 열처리 조건에 따른 미세조직을 예측 2. 샤르피 충격시험을 통해서 충격인성을 측정 파괴 고체가 응력을 받을때 둘 또는 그 이상으로 분리 또는 쪼개짐을 말한다. 이런 파괴과정은 균열의 생성과 성장 두 과정으로 생각할 수 있고, 파괴는 연성 및 취성파괴의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1. 취성 파괴 전체적인 변형이 없으며, 미소 소성변형이 없는 빠른 균열 전파에 의한 파괴를 말한다. 이는 이온 결정의 벽개와 유사하다. 취성파괴의 경향은 온도의 낮아짐과 변형 속도의 커짐 및 3축 응력 상태가 조장됨에 따라 커진다. 취성파괴는 예고 없이 재난을 불러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어떤 방법으로라도 피하여야 한다. 2. 연성 파괴 연성 파괴는 큰 소성 변형을 동반하는..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8. 31. 신소재공학실험 | 가공경화, 열처리, 냉각시 경도값의 변화 재료시험법 수업 중 로크웰 경도시험기를 이용하여 표준시편의 경도값을 측정하는 실험을 하였었다. 실험을 하던 중 과연 반복적인 외부의 힘을 받은 시편의 경도값은 어떠한 결과를 보일지 호기심이 생겼다. 그리고 온도를 변화시킨 시편의 경도값은 또 어떻게 될 것인가도 궁금해졌다. 다시 말해, 시편을 냉각 하였을 경우 와 열처리를 한 경우에 경도값의 차이를 알고 싶었다. 그 궁금증을 풀기위해 가공경화, 열처리, 냉각시 경도값의 변화로 설계목적을 정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표준 : 로크웰 경도기를 이용하여 표준시편 경도값을 측정 2) 가공경화 준비된 구조물을 이용하여 일정한 무게의 추(1.0731㎏)를 일정한 높이(0.735m)에서 일정하게 낙하시켜 반복적인 하중(mgh=7.73㎏·m/sec2 )을 ..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2. 8. 27. 금속재료공학실험 | 석출경화(Precipitation Hardening) 석출경화 금속의 모재상 내부에 미세하고 균일한 분포의 2차 상의 입자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의 강도와 경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미세한 입자의 “석출상”의 형성을 수반하므로 석출 경화라고 하며, 시간에 다라 경도가 증가하므로 “시효 경화”라고도 한다. 석출 경화에 의해 경화되는 합금에는 알루미늄-구리, 구리-베릴륨, 구리-주석, 마그네슘-알루미늄 등이 있다. 다수의 철합금도 석출경화가 가능하다. 템퍼링된 마르텐사이트를 형성하기 위한 강의 열처리와 석출 경화는 열처리 조건이 서로 유사하지만 전혀 다른 현상이다. 이 두 공정의 기본적인 차이점은 경화와 강화가 만들어지는 기구에 있다. 시험 방법 1. 시험재료 2024 Al 합금(대표적인 고강도 Al-Cu 합금임) 2. 시편준비 상기의 봉상 합금에서..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8. 27. 금속재료공학실험 | 시효 경화(Age Hardening) TIP 듀랄루민형 (4~5% Cu-Al), 합금에 대한 석출시효를 통하여 비평형 반응에 의한 강화기구 중 고상석출반응의 하나인 시효경화(age hardening) 현상을 이해하고, 다상금속의 강화기구를 알기위함. 시효경화 시효에 의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금속재료의 경도가 증가하는 것을 시효경화라고 한다. 시효경화 효과는 강도가 석출입자의 크기와 배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이므로, 시간, 온도 및 냉간가공 정도에 따른다. 각 합금의 종류마다 최대강도를 내기 위한 온도와 시간이 표준작업 지침으로 지정되어 있다. 온도를 표준온도보다 높게 또는 낮게 함으로써 필요하면 최대강도나 경도이하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 표준온도 보다 높게 하면 석출이 빨리되어 강도가 빨리 높아지고 온도를 낮추면 강도가 높아지는 ..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8. 24. 일반물리학실험 | 단진자에 의한 중력가속도 측정 TIP 본 실험은 회전센서에 연결된 단진자의 주기적 운동을 통해 중력가속도를 측정하는 것이다. 단진자는 중력에 의한 복원력 때문에 주기적 운동을 하게 되며, 이 경우 단진자의 주기 및 진동수는 중력가속도와 줄의 길에의 의해 결정된다. 단진자는 단단한 줄에 추를 메달아 중력가속도, g를 결정한다. 위쪽이 고정되어있고, 질량이 무시될 수 있는 끈의 아래쪽에 크기를 무시할수 있는 질량 m 인 추가 매달려 주시운동을 하는 역학계를 단진자라고 한다. 단진자를 통해 역학적 에너지 보존 법칙을 설명할 수 있다. 역학적 에너는 물체의 속력에 따라 결정되는 운동에너지 Ek와 물체의 위치에 따라 결정되는 위치에너지 Ep의 합으로 정의된다. 그리고 위치에너지가 운동에너지로, 또는 그 반대로 전환되기도 한다. 외부의 물리적 .. Engineering/물리학 2022. 8. 24. 일반물리학실험 | 구의 공간운동을 이용한 역학적 에너지 보존법칙 TIP 사면과 원주 궤도를 따라 금속 구를 굴리는 과정에서 구의 회전 운동에너지를 포함하는 역학적 에너지의 보존법칙을 살펴본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구의 공간장치를 [그림3]과 같이 끝점 C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실험대에 장치하고 트랙으로부터 지면까지의 거리 y를 측정한다. 2) 구의 출발점의 높이를 변화시키면서 구가 원형트랙의 꼭지점 T를 간신히 접촉하면서 지나갈 때의 출발점의 높이 h를 측정한다. 3) 구가 낙하되리라고 추정되는 위치에 먹지와 갱지를 깔고 과정 2)에서 정한 높이 h에서 구를 굴러내려 수평거리 x를 5회 측정한다. 4) 점 C에서 구의 속력 v(실험)를 x와 y를 사용해서 계산한다. 5) 식 (2)에 h값을 대입하여 구한 구의 속력 v(이론)과 비교한다. 6) v(실험)과 .. Engineering/물리학 2022. 8. 23. 신소재공학실험 | Al-Cu의 석출경화에 따른 경도측정 TIP Al-Cu(98%-2%) 시편을 균일하게 연마하고 미세한 조직을 관찰하 고 상, 결정립의 형상 및 분포상태, 크기 또는 결함 등을 관찰하고 열처리 시간에 따른 경도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Al-Cu계 합금 공정온도에서 Al은 5.7% Cu를 고용한다. 온도가 강하함에 따라 용해도는 감소하여 400℃에서 1.5%, 200℃에서 0.5% Cu를 고용한다. 따라서 4% Cu합금을 500℃부근까지 가열한 후 급랭하면 과포화 상태의 고용체를 상온에서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과포화상태는 대단이 불안하므로 제 2상을 석출하려는 경향이 크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경도, 강도가 증가한다. 이를 상온시효(natural aging)라고 한다. 상온보다 약간 높은 온도(100~150℃)로 가열하면 이러한 현상이..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2. 8. 23. 화공기초실험 | 염화칼슘의 용해열 TIP 간단하게 만든 열량계로 염화칼슘(CaCl2)의 용해열을 측정한다. 물의 열용량, 비커 열용량, 온도계 열용량, 염화칼슘 넣기 전후 온도 차이와 염화칼슘 몰수를 구하여 염화칼슘의 용해열을 측정한다. 실험 방법 1. Cm계산 1) 200㎖ 증류수를 비커에 넣은 후 5분간 유리막대로 저은 후 온도를 측정한다. 2) 1)에서 측정 된 온도보다 30℃ 높게 200㎖ 증류수를 끓인다. 3) 2)에서의 증류수를 스티로폼 안 비커에 부은 후 5분 뒤 온도를 측정한다.(열을 밖으로 쉽게 안 빼앗기기 위해 스티로폼을 두껍게 준비한다.) 2. 용해열 측정 1) 전자저울에 비커를 넣은 후 영점을 맞춘다. 2) 비커 안에 CaCl2 4g를 넣는다.( CaCl2 은 수분과 쉽게 반응하기 때문에 실험을 최대한 신속히 한다...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2. 8. 20. 재료공학실험 | 알루미늄 합금의 석출경화 TIP 알루미늄 합금의 용체화에 따른 재료 특성의 변화를 살펴보고, 용체화 시킨 합금을 시효시켜, 시효시간에 따른 합금의 경도변화를 관찰함으로써 석출 경화현상을 이해한다. 또한 도출해낸 결과를 미세조직 사진과 비교해 봄으로써, 석출경화에 따른 경도변화를 미세조직의 변화와 함께 관찰해 볼 수 있다. Polishing 보통 금속 실험을 할 때 가장 먼저 하는 일이 polishing을 하는 일이다. 고체의 표면을 다른 고체의 모서리나 표면으로 문질러 매끈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2개의 면을 비벼댈 때, 어느 쪽이 먼저 평평해지는가 하는 문제는 비벼대는 물질의 굳기가 아니고 녹는점이 낮은 쪽이 먼저 평활해진다. polishing 할 때는 우선sand paper(사포)로 먼저 한다. sand paper는 숫..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8. 20. 합금공정실험 | 석출 경화 TIP 동일 조성에서 다른 시효온도 일 때와 다른 조성에서 동일 시효온도 일 때의 Al-Cu-Mg-Mn합금의 경도 변화를 알아본다. 석출 강화란 열처리 과정을 통하여 과포화 고용체로부터 제2상을 석출시켜서 강화시키는 현상을 말하는 것이다. 석출 강화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온도에 따른 고용도의 차이가 있어야 한다. 즉, 고온에서는 제2상이 고용되어야 하고 온도가 감소함에 따라 제2상의 고용도가 감소해야 한다. 제2상에 의한 강화의 크기는 제2상 입자의 분포에 따라 달라지며, 제2상 입자의 형상, 부피분율, 평균 입자 직경 및 평균 자간 거리가 강화의 정도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인자이다. 기지(matrix)와 석출물(precipitate)의 특성이 합금의 여러 가지 성질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하는 것에 대하.. Engineering/신소재 공학 2022. 8. 20. 일반물리학실험 | 전기에너지에 의한 열의 일당량 측정 열의 일당량 열은 역학적 일로 역학적 일은 열로 서로 전환 될 수 있다. 열과 일의 비례관계를 열의 일당량이라고 한다. 물에 고무풍선을 띄우고 물의 온도를 서서히 높이면, 고무풍선은 서서히 부푼다. 이렇게 열은 고무풍선을 부풀리는 일을 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열과 역학적인 일 사이의 관계를 열의 일당량이라고 한다. 열은 그 열을 담고 있는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량으로 나타 낼 수가 있으며 칼로리(㎈)로 표시한다. 또한 역학적인 일은 줄(J)로 표시한다. 1㎈가 4.2J의 역학적 일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실험 방법 실험은 열량계의 몰당량 측정과 열의 일당량 측정의 두 단꼐로 나누어서 한다. 1. 열량계의 몰당량 측정 1) 상온의 물 150cc를 250cc 비커에 붓는다. 2) 전열기 위에 석면 석.. Engineering/물리학 2022. 8. 20. 일반물리학실험 | 정류 회로 TIP 전류를 한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성질을 지닌 다이오드(Diode)를 사용하여 교류(AC)를 직류(DC)로 변환할 수 있는 회로를 제작하고 그 특성을 관찰하도록 한다. 정류회로란,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 (AC → DC)로 바꾸어주는 회로를 일컫는다. 이 정류회로에 사용되는 다이오드(Diode)는 전류를 한 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해준다. 이 다이오드는 P형 반도체와 N형 반도체가 접합한 구조를 가지며, 우측 그림의 (a)와 같이 순방향 전압을 걸어주면 (즉, PN 접합 다이오드의 P형 반도체에 (+) 전압을 가할 경우) 전류가 흐르게 되고, 역방향 전압을 걸어주면 (즉, PN 접합 다이오드의 N형 반도체에 (+) 전압을 가하는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된다. 실험 방법 실험 1) 변압기의 특성.. Engineering/물리학 2022. 8. 17. 재료공학실험 | Al 합급재료의 석출경화(시효거동)의 관찰 TIP Al 합금을 항온시효 시킬때 시효시간에 따른 합금의 경도변화를 추적 함으로써 석출경화현상을 알아본다. 실용 금속재료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이용되는 가장 중요한 현상의 하나는 석출경화(또는 시효경화, Age Hardening)이다. 듀랄루민, 베릴륨동, Inconel등은 석출경화현상을 최대한 이용한 대표적인 재료이다. 금속재료는 전위의 이동을 저지 함으로써 강화될 수 있다. 순금속에서는 점결함, 선결함, 면결함 들의 존재가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단상합금에서는 변형저항은 용질원자와 규칙도에 의해서 생길 수 있다. 2상합금에서는 전위가 제2상 입자를 자르고 지나가거나 또는 입자가 잘려지지 않아서 전위가 입자를 피해감으로써 추가적인 응력이 필요하게 된다. 때문에 미세하게 분산된 석출물은 금속재료를 매우..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8. 17. 이전 1 ··· 12 13 14 15 16 17 18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