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물리학실험 | 반응시간 측정 TIP 시각적 자극에 대한 손가락 근육의 반응시간을 측정해, 신경에 자극이 전달되는 동안 통과하는 시냅스의 개수를 유추해 본다. 실험대상자에게 외부자극이 가해진 후 인체가 반응할 때 까지 걸리는 시간을 반응시간이라고 한다. 반응시간은 감각기관에 의해 감지된 신호가 뇌에 전달되고, 운동기관에 뇌의 운동명령이 전달되는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존재한다. 그리고 외부자극을 받아들이는 기관과 운동기관을 연결해주는 뇌 사이에 신호가 전달되면서 걸리는 시간은 신호를 전달하는 뉴런이라는 신경세포와 신경세포 사이의 연결부위인 시냅스의 개수에 따라 다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2) 프로그램 화면에서 화살표 아이콘을 눌러 측정횟수 및 설정값을 설정한다. 이때 측정횟수는 기본적으로 5회로 설.. Engineering/물리학 2022. 4. 26. 기계기초실험 | 인장 강도 실험 - Tensile strength experiment TIP 1. 본 실험은 인장 강도 실험으로 금속시편을 일정한 속도로 축 방향으로 인장력을 가하여 재료의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응력-변형률선도 등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2. 본 실험은 금속을 인장시키는 기계에 금속 시편을 물린 뒤에 일정한 힘으로 잡아당겨 금속의 인장강도, 연신율 등을 알아보는 실험이다. 항복강도 항복강도는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한계응력으로 육안으로는 정확하게 탄성변형구간과 소성변형구간을 나눌 수 없다. 하중을 받아 탄성변형이 발생한 재료가 원상태로 복구될 수 있는 한계점을 의미한다. 인장강도(tensile strength) =극한강도(Ultimate strength) 재료를 인장시키면서 인장하중과 변형의 관계를 그려보면, 처음에는 변형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이 선형적으로 증가하다가 항.. Engineering/기계공학 2022. 4. 24. 환경공학실험 | 고형물 측정 TIP 오염폐수분석의 기초가 되는 고형물 측정 실험을 통해 고형물에 대해 이해하고 시료 속 유기물(TS, TSS, TFS)의 중량을 측정할 수 할 수 있다. 고형물이란 불순물이 혼입된 물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켰을 때 남는 잔류물을 뜻하며 농도 단위로 (㎎/l)를 사용한다. 이 고형물을 태우면 불순물의 성상에 따라 휘발되는 물질과 잔류되는 물질로 나누어진다. 휘발되는 물질은 대부분 유기물이며, 잔류되는 물질은 대부분 무기물이다. 즉 물속에는 기본적으로 태우면 휘발되어 없어지는 부유물질(휘발성부유물, VSS)과 용존물질(휘발성용존고형물, VDS) 태워도 남는 부유물질(강열잔류고형물, FSS)과 용존물질(강열잔류용존고형물, FDS)이 있다. 실험 방법 1. 총고형물(TS) 측정 ① 증발접시를 미리 증류수로..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2. 4. 24. 재료기초실험 | 인장 실험 TIP 고분자 재료를 연신(신장)하면서 응력과 변형율을 측정한 뒤, 인장 응력-변형 곡선을 작성하고, 이 곡선으로부터 고분자 재료의 여러 가지 기계적 성질들을 계산하여 다른 재료들과 비교하는데 이용하고자 한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시편을 준비하고, 시편의 치수를 실측·측정한다. 이때 시편의 중심부에 50㎜를 표시한다.(시험장치, 시험편 포함, 사용시험편은 실측하여 도면으로 그릴 것.) 2) 시편을 만능재료실험기에 맞게 조정하여 장착시킨 다음 변위측정기를 시편에 장착시킨다.(변위측정기: 평행부의 늘어난 길이를 측정하는 기구로써 이 실험에서는 실험기의 인장으로 늘어나는 길이를 측정해주는 기구) 3) 만능재료실험기를 작동시킨다. 4) 파단이 일어나기 전에 변위측정기를 해체한다.(이유: 파단이 일어..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4. 24. 대기환경실험 | 고도와 기온 TIP 1. 전등을 켰을 때 평형온도를 기준으로 위치에 따른 온도계의 온도 관찰 후 고찰 2. 측정한 값에 따른 1㎞ 당 온도감률 추정 기온 감률 대기권 내에서 지구로부터 멀어질수록 기온이 떨어지는 비율이다. 기온체감률이라고도 한다. 대류권 안에서는 평균 100m당 0.5∼0.6℃로 되어 있다. 즉, 대류권 내의 기온감률은 약 6.5℃/㎞(표준 온도 체감율에 의한 온도 변화는 대략 1.000피트당 섭씨 2도씩 감소한다.) 10∼25㎞의 하부성층권에서는 감률이 거의 0이 되지만, 그 이상이 되면 기온은 높이에 따라 상승하여 50∼60㎞에서 극대가 된다. 즉 이 사이는 감률이 마이너스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다시 80㎞ 정도까지는 기온이 낮아지며, 80㎞ 이상이 되면 또다시 마이너스의 감률을 나타내어 기온은 .. Engineering/대기공학 2022. 4. 20. 기초공학실험 | 금속 재료의 인장시험 인장시험은 재료강도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얻을 목적으로 수행되는 공업시험 중에서 가장 기본적인 시험으로, 보통 환봉이나 판 등의 평행부를 갖는 시험편을 축방향으로 인장하중을 가해 하중과 변형을 측정한다. 보통 이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값은 연성재료와 취성 재료가 다르며 연성재료에서는 인장강도, 항복점, 연신율 및 단면수축률 등을 구하고 취성재료에서는 인장강도와 연신율을 주로 구하게된다. 또한 고 외에 인장시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는 재료의 기계적 성질로서는 비례한도, 탄성한도, 탄성계수, 포와송비 등이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표준시편을 준비하여 실제 신장부의 직경을 측정하여 기록하고, 표점거리 50㎜를 표시한다. 2) 인장시험기에 시편을 설치하고 정확한 표점거리내의 변형을 측정하기위해 ..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4. 20. 건설재료시험 | 콘크리트 쪼갬 인장강도 시험 TIP 1. 콘크리트가 포장 슬래브, 물탱크 등과 같이 인장력을 받는 구조물에서는 인장강도가 중요 하므로 인장강도에 대해서 알아보고, 안장강도 시험법에 대해서도 알아본다. 2.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 작아, 철근 콘크리트 설계에서는 보통 무시되지만 건조수축, 온도변화에 의한 균열의 방지를 위해 필요하다. 인장강도 시험 종류 ① 직접 인장시험 : 공시체(봉상:奉狀)를 인장기구에 설치하여 잡아 당겨 파단시키는 방법으로 실험연구 이외에는 많이 사용되지 않는다. ② 간접 인장시험 (쪼갬시험, 할렬 인장시험) : 직접인장시험에 대신하여 많이 사용되는 방법으로 압축강도에서와 같이 KS F 2403에 따라 만든 공시체를 사용한다. 공시체를 눕힌 상태에서 압축력을 가하면 그림에 나타낸 것과 같이 힘이 가..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20. 화학공학실험 | 나노 자성유체의 제조 TIP 자성유체의 합성을 통해 자성유체의 특성에 대해 알아본다. 자성유체 자성 유체 (Ferrofluid)는 자기장이 존재할 때 강하게 자 화되는 액체이다. Ferrofluid의 역사로는, 1963년에 나사 의 스티브 파펠에 의해 고안된 액체 로켓 연료로서 자기장을 적용하여 무중력 환경의 펌프 입구로 연료를 끌어당길 수 있게 만들어졌다. Ferrofluid는 반자성의 강자로 이루어진 콜로이드 액체이며, 대개 유기 용매 또는 물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작은 입자(나노 입자)는 계면 활성제로 완전히 코팅되어 있으며 입자들이 강력한 자기장에 노출될 때 콜로이드 혼합물에서 분리될 수도 있다. 나노 입자의 자기력은 계면 활성제의 반 데르 발스 힘(분산력)이 자성을 방해하기에는 약하다. 일반적으로 철은 외부적으로 인..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2. 4. 16. 건설재료시험 | 철근 인장강도 시험 TIP 1. 철근의 인장강도를 시험함으로써 철근의 특성 및 성질을 이해할수 있다. 2. 철근의 항복점, 항복강도, 인장강도 등을 측정한다. 시험 방법 1. 시험 과정 1) 2m의 철근을 절삭기를 이용해 약 46㎝ 로 자른다. 2) 총 길이 46㎝ 철근을 중앙부분 16㎝ 로 하고, 중앙부 양 옆을 각각 15㎝ 로 잡아, 철근위에 분필로 표시를 해둔다. 3) 게이지 부착을 위해 이형철근의 수직부분의 중앙부를 약 5㎝ 정도 그라인더로 갈아준다. 4) 이물질 제거를 위해 그라인더로 간 부분을 신나로 세척한다. 5) 게이지를 부착을 위해 정확히 가운데를 표시한다. 6) 게이지를 붙일 준비를 하고, 준비가 됬으면 게이지를 CN(접착제)를 발라 중앙에 부착시킨다. 기름종이를 이용해 제대로 한번 더 부착시켜 준다. 7..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16. 기계재료실험 | 재료 인장 강도 TIP 기계 건축 분야에 있어서 구조물의 안정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구조물에 사용되는 가장 기본적인 재료의 특성을 해석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 할 수 있고 설계자에게 보다 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제품 설계를 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본 실험을 통하여 재료를 국제적으로 표준화된 시편으로 만들어 대표적인 기계적 성질인 인장강도에 대해 분석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하중은 부재에 가해지는 힘이다 축방향 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우리는 축하중 이라고 정의한다. 부재에 가해지는 축하중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축하중을 단위 면적으로 나누어 주어서 응력 이라는 일정한 특성을 부여한다. 응력(σ) = 축하중(P)/면적(A) 부재의 실제의 응력 분포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부재내의 발생된 변형에 관한 해석이 .. Engineering/기계공학 2022. 4. 16. 기계재료실험 | 철근 인장 강도 TIP 1. 철근의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길이변화률 등의 측정 2. 탄성계수의 범위 실험 방법 1. 사전 준비 1) 철근절단기로 철근을 절단하여 철근을 준비. 2) 철근의 전체길이를 측정 철근 412㎜ 2. 실험 과정 1) 철근 실험체를 기계의 상, 하부에 물린다 2) UTM 가압 레버를 조작하여 철근이 끊어질 때까지 서서히 압력을 높인다. 3) 시간이 지나서 어느 정도 인장되어 파단 된다. [기계재료실험]철근 인장 강도 레포트 1. 실험 목적 가. 철근의 항복점, 인장강도, 연신율, 길이변화률 등의 측정 나. 탄성계수의 범위 2. 실험 이론 및 원리 가. 일반 사항 1) 이형 철근의 항복강도 및 인장강도를 알아보기 위해 KS B 0802( www.happycampus.com Engineering/기계공학 2022. 4. 14. 토목공학실험 | 목재의 인장강도 시험 TIP 1. 목재의 인장강도와 영계수는 구조물의 구조설계 계산에 필요하다. 2. 목재의 물리적 성질을 판단할 수 있다. 목재의 인장강도 분류 1. 목재의 세로인장 ⓐ 섬유에 평행방향인 세로인장을 받으면 섬유가 가로 또는 경사로 절단되어 섬유사이의 부착이 떨어져 파괴된다. ⓑ 세로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해서 크지만 이음이 어렵고, 옹이나 마디, 섬유의 변형 등으로 인장강도가 작아지기 쉬우므로 인장재로서 사용하기가 쉽지 않다. 2. 목재의 가로인장 ⓐ 섬유에 직각방향인 가로인장을 받으면 섬유가 길이방향으로 끊어지면 서 파괴된다. ⓑ 세로인장에비해서 매우 낮으며 인장방향이 나이테와 접선방향일 때는 세로인장의 약 2~10%이고, 나이테의 반지름방향일 때는 2~25%정도에 불과하다. 시험 방법(세로 인장시험) 1..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14. 건설재료시험 | 시멘트 모르타르의 인장강도 시험방법 TIP 1. 시멘트 모르타르의 인장강도 시험은 시멘트 자체의 인성을 파악하고, 실제 구조물에 사용되는 시멘트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추정하기 위함이다. 2. 마감 및 보수재료로 사용되는 시멘트 모르타르 자체의 인장강도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시험 방법 1. 모르타르 배합, 표준주도 및 혼합 1) 표준 모르타르의 배합은 중량비로 하여 시멘트 1에 표준사 2.7로 한다. 1 배치에서 한번에 혼합하는 건조재료의 양은 6개의 시험체에 대하여 1000~1200g으로 하고, 9개의 시험체에 대해서는 1500g~1800g으로 한다. 2) 표준 모르타르에 사용 할 물의 양은 같은 시멘트 시료를 사용해서 표준 주도를 나타낼 순 시멘트 반죽은 만드는데 소요된 수량을 기준으로 정한다. 시멘트와 모래의 비율이 중량비로 1:..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9. 재료공학실험 | 금속 조직 관찰 TIP 금속 표면 조직관찰의 목적 금속학적 원리를 기술 분야에 적용하려면 금속조직을 검사하는 방법을 알아서 제조과정에서 일어나는 조직의 변화와 그 재료의 조직과 성질과의 상호관계를 연구하여야 한다. 금속의 내부조직을 연구하는 데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현미경이며, 이것으로 금속입자의 크기, 모양, 배열을 볼 수 있고, 또 금속중의 여러 가지 상과 조직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금속의 조직에 미치는 열처리, 가공 및 기타 처리의 영향을 알 수 있고, 또 기계적 성질과의 관계도 연구할 수 있다. 금속의 응고와 미세조직 금속의 원자는 액체상태에서는 이온이 되어 고체상태의 원자간 거리와 같은 정도로 접근하여 존재하나 결정내부에서와 같이 일정한 위치에 있지 않고 항상 이동하고 있다. 액체금속이 냉각되어 융점에 .. Engineering/재료 공학 2022. 4. 4. 기초광학실험 | 프리즘 TIP 프리즘이 어떻게 흰색 빛(백색광)을 각 구성 색으로 분리하는지를 관찰하고, 서로 다른 색깔을 서로 다른 각도로 프리즘에 굴절되는 것을 실험을 통해 이해 할수 있다. 햇빛이나 전등의 빛이 여러 가지 단색광으로 나누어지는 현상을 빛의 분산이라고 한다.대표적으로 빛을 분산시키는 광학 장치 에는 프리즘이 있다. 본 실험에서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백색광이 어떻게 여러 가지 단색광으로 분리시키는지 관찰한다. 파장이 긴 빨간색 광선은 파장이 짧은 보라색 광선에 비해 상대적으로 굴절이 적게 된다는 것을 알수 있고,그 이유에 대해서 이해 할수 있는 실험이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광선 상자 모드의 광원을 흰 종이 위에 놓고, 바퀴를 돌려 흰색 단일 광선을 선택한다. 2) 트라페조이드를 아래 그림과 같이 ..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4. 4. 안전공학실험 | 분진 폭발 TIP 미분말상 고체의 분진폭발 시험을 수행함으로써 나타내는 가연성 분진의 위험성을 조사할수 있다 분진 폭발 지름이 1,000μm 보다 작은 입자는 물질의 종류에 관계없이 분체라고 부른다. 그 중 75μm이하의 고체입자로서 공기 중에 떠 있는 분체를 분진이라 부른다. 이들은 항상 우리의 생활주변이나 생산공정 중에 존재하고 있으며 대단히 입자가 작아서 대략 직경이 10-5cm 이하로 되면 aerosol로 공기 중에 분산하여 현탁상태 가는 고체 입자가 분산하고 있는 상태이다. 공기 중에 떠도는 농도 짙은 분진이 에너지를 받아 열과 압력을 발생하면서 갑자기 연소·폭발하는 현상이다. 먼지폭발·분체폭발이라고도 한다. 석탄가루에 의한 탄진폭발이 잘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 밀가루·설탕·철가루·플라스틱 가루·폴리에틸..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4. 4. 토질역학실험 | 흙의 정수위 투수계수 시험 - KS F2322 TIP 흙 속의 물이 흐르는 성질을 투수성이라 하는데, 정수위법은 사질토와 같은 투수성이 큰 흙에 사용하는 시험으로 미리 물로 포화시킨 시료를 t(sec)사이의 투수량 Q(㎤/sec)를 일정한 수두차를 유지하면서 투수계수를 구하여 Darcy 법칙에 의해 earth dam, 제방, 도로, 매립지 등의 투수성을 예측 할 수 있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약 2kg의 흐트러진 시료를 준비, 무게를 측정한다. 2) 투수 몰드의 안지름을 측정하여 그 단면적을 계산한다. 3) 투수 몰드를 유공판 위에 올려 고정, 필터용 모래를 1㎝두께로 깐 후에 0.074㎜크기의 황동제망을 놓는다. 시료를 다짐봉으로 다지면서 투수몰드에 균등하고 일정하게 채우고 높이를 측정한다. 4) 투수 몰드에 투입하기 전의 시료의 중량..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2. 4. 1. 기초광학실험 | 평면 연마 TIP 렌즈의 평면 연마 이론을 이해하고 평면연마 과정을 실험을 통하여 습득하며 렌즈의 평면 연마를 할 수 있다. 우리는 평면 연마 중에서 SMOOTHING에 중점을 두어 실험을 한다. 렌즈의 연마방법은 크게 렌즈를 피치를 연마판에 붙여서 연마하는 방법(현장에서는 오스카식 연마라 부르고 있다.), 리세스툴(recess tool)을 써서 연마하는 방법, 고속 연마기를 이용하여 렌즈를 한 개씩 연마하는 방법 등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방법 중에서 렌즈를 피치로 연마 판에 붙여서 연마하는 방법이 가장 많은 공정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 방법은 다른 방법에 의한 연마 작업에서 나타나는 대부분의 공정을 포함되고 있으므로 이 방법을 중심으로 렌즈연마의 대략적인 흐름을 살펴보도록 하자. 실험 방법 1. 재료 수령 실.. Engineering/그외 공학 2022. 3. 30. 이전 1 ··· 18 19 20 21 22 23 24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