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고분자기초실험 | Free radical polymerization 반응을 이용한 Polystyrene 중합 TIP 라디칼 중합 반응에 대해서 이해하고 Polystyrene을 합성한다. Radical polymerization 라디칼을 이용해서 Vinyl 계(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물질) 단량체가 고분자가 되는 중합반응이다. 1. 1단계 - 개시반응 : 라디칼이 만들어지는 반응으로 개시제를 사용하여 라디칼을 쉽게 만들 수 있다. 2. 2단계 - 전파반응 : 라디칼이 전파되어 단량체들과 만나면서 고분자 사슬이 길어지는 반응이다. 3. 3단계 - 종결반응 : 라디칼이 없어지는 반응으로 중합반응이 완결된다. 라디칼끼리 서로 만나서 사라지거나(Combination) 라디칼이 옆에 있는 탄소의 수소를 가져가서 이중결합이 되어 이종의 다른 분자를 만드는 경우(Disproportionation)가 있다. 실험 방법 1. 실..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1. 7. 12. 일반물리학실험 | 간섭을 이용한 빛의 파장 측정 TIP 이중 슬릿에 의한 빛의 간섭인 보강간섭, 소멸간섭과 회절현상을 관찰하고, 빛의 파장을 구한다. 토마스 영은 빛의 간섭현상을 발견하여 빛의 파동설을 세웠다. 간섭이란 두 개 이상의 파동이 합성되는 경우 각각 파동의 위상차에 따라 진폭이 커지거나 작아지는 현상을 뜻한다. 빛의 간섭현상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파장, 진동수, 속도 그리고 상대적 위상이 일정한 두 빛(단색광)을 사용해야 한다. 그림 1과 같이 광원에서 나온 빛이 슬릿 A를 통과하여 회절현상에 의해 슬릿 B, C를 통과하게 된다. 이 경우는 슬릿 B와 C에서 나온 빛은 서로 진동수가 같고 위상차가 없는 두 개의 광원으로 볼 수 있다. B와 C를 통과한 빛은 다시 회절하여 각각 구면파를 이루면서 퍼져나게 되고 결국 스크린에 도달하게 된다. 스크.. Engineering/물리학 2021. 7. 5. 기계공학실험 | 링압축 금속 성형 공정에서 금속 유동은 다이로부터 소재로 전달되는 압력에 의해 일어난다. 또한 재료와 다이 접촉면에서의 마찰 조건은 금속 유동, 표면 형성, 내부 결함, 다이에 작용하는 응력, 성형 에너지 등에 큰 영향을 미친다. 그러므로 금속 성형 공정에서의 마찰 조건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가 된다. 금속성형에서 마찰조건과 윤활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링 압축 실험을 가장 많이 이용하며, 본 장에서는 이 링 압축 실험을 통하여 마찰상수를 측정하도록 한다. 금속 성형에서 존재하는 마찰 조건 ① 건조 마찰(dry friction) 건조 마찰 조건하에서는 윤활제는 사용되지 않고 단지 산소 층이 다이와 소재 사이에서 분리층의 역할을 한다. 이 경우에는 마찰은 강하고, 이 조건은 평판의 열간 롤링과 알루미늄 합금.. Engineering/기계공학 2021. 7. 5. 일반물리학실험 | 레이저를 이용한 빛의 회절과 간섭 TIP 1. 레이저를 이용하여 단일 슬릿의 폭과 이중 슬릿의 슬릿 간격을 측정하고, 여러 가지 슬릿 문양에 대한 회절 현상을 관측한다. 2. 레이저(Laser)를 이용하여 빛의 특성인 회절과 간섭현상을 관찰하고, 영(Young)의 실험을 통해 빛의 파장측정방법을 이해한다. 단일 슬릿에 의한 회절(회절판 코드 - A B C) 빛의 회절이란 진행하던 빛이 장애물을 만났을 때 휘거나 번져나가는 현상을 말한다. 수면파나 호이겐스의 원리로부터 슬릿을 통과한 파동들은 모든 방향으로 퍼져나간다. 그림 1-(a)와 같이 직진하는 광선들을 생각하면 이들은 모두 같은 위상에 있으므로 스크린의 중앙에 밝은점(중앙 제1극대)을 만들 것이다. (b)에서는 슬릿 안의 제일 윗점과 제일 밑점을 지나는 빛과 밑점을 지나는 빛들이 정.. Engineering/물리학 2021. 7. 4. 단위조작실험 | 액체의 비중 측정 TIP 1. 액체의 비중과 밀도관계를 이해한다. 2. 각종 비중 측정 장치를 이해한다. 3. 액체의 농도와 비중 관계를 이해한다. 비중과 밀도의 차이 각 물질의 질량이 그것과 같은 부피를 가진 표준물질의 질량의 몇 배인가를 나타낸 수치. 엄밀하게 질량은 일정 압력에서의 관성을 측정함으로써 결정되는데, 보통은 같은 장소에서의 무게비로 결정되므로 비중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액체나 고체는 4℃의 물 1㎝³를 1g으로 하고 이것을 표준으로 한다. 기체의 경우는 0℃, 1기압에서의 공기를 표준으로 취할 때가 많다. 또 4℃ 물의 밀도는 0.999973g/㎝³이므로 비중의 0.999973배가 CGS단위로 나타낸 밀도와 같은데 실제 사용할 때는 그 차이를 무시해도 지장은 없다. 비중의 이용 실제로 비중병은 널리 사..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24. 화공기초실험 | 액체의 비중 측정 TIP 어떤 온도에서 물질의 순도를 확인할 수 있는 고유정수인 비중을 측정한다. 비중 [specific gravity] 표준물질에 대한 어떤 물질의 밀도의 비. (상대밀도라고도 한다.) 고체와 액체의 경우 일반적인 표준은 4℃의 이다. 물의 밀도는 4℃에서 1.000㎏/ℓ이다. 기체는 보통 건조한 공기와 비교하는데, 건조한 공기의 밀도는 표준상태(0℃, 1기압)에서 1.29g/ℓ이다. 예를 들어 액체수은의 밀도는 13.6㎏/ℓ이므로 비중은 13.6이다. 밀도가 표준상태에서 1.976g/ℓ인 이산화탄소 기체의 비중은 1.53이다. 비중은 같은 단위를 가진 두 양의 비율이므로 단위가 없다. 부력과 비중은 깊은 관련이 있다. 어떤 물질의 비중이 유체보다 작으면 그 물질은 유체 위에 떠 있을 것이다. 헬륨을 가..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23. 단위조작실험 | 한외여과 - 역삼투 여과 TIP 수돗물과 연못물을 분리막을 이용한 분리공정, 운전시간을 동일하게 유지시키고 기압의 변화를 주었을 때 투과유랑, 투과 Flux, 탁도측정, COD측정, 제거율을 측정하고 비교한다. 한외여과는 정밀여과와 역삼투의 중간에 위치하는 것으로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저분자물질을 제거한다는 점에서 투석법과 유사하다. 한편 물질의 분리에 농도차가 아닌 압력차를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역삼투압과 근본적으로 동일하다. 역삼투압은 고압을 이용하며, 염류 및 고분자 물질 모두를 배제시킬 수 있다. 반면에 한외여과는 저압을 이용하여, 염류와 같은 저분자물질은 막을 투과시키지만 단백질과 같은 고분자물질은 투과시키지 못한다는 점에서 역삼투와 구분된다. 또한 한외여과는 고분자물질을 각각 저, 중, 고분자 물질로 분리시킬수 있는 특징..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22. 건설재료시험 | 잔골재 및 굵은골재의 체가름 시험 (Testing Method for Sieve Analysis of Fine and Coarse Aggregate) – KS F 2502 TIP 1. 골재의 입도, 조립률, 굵은골재의 최대치수 등을 알기 위하여 실시. 2. 골재로서의 적부, 각종 골재의 적당한 비율의 결정, 콘크리트의 배합설계, 골재의 품질관리 등에 필요. 시료채취방법 (KS F 2501) 각 채취장소에 따라 시료 채취 1. 잔골재 : 100㎏ 2. 굵은골재 : 약 100㎏(5~20㎜), 약 50㎏(20~40㎜, 40~80㎜) 골재에 요구되는 일반적 성질 1. 콘크리트의 강도 및 내구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깨끗하고 유해물을 포함하지 않을 것 2. 물리, 화학적으로 안정하고 내구성이 클 것 3. 시멘트 풀과 부착이 잘되도록 표면조직이 좋을 것 4. 입도가 적당할 것 → 얇고 긴 석편(石片)은 좋지 않음 5. 마모에 대한 저항성이 좋을 것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1. 6. 20. 건축환경실험 | 건습구 온도계 TIP 1. 건습구온도계의 원리를 알 수 있다. 2. 측정장소의 위치별 시간대별 건구온도 및 습구온도를 측정하여 3. PMV데이터값과 비교해 본다. 자연에 대한 활발한 흥미가 넘치기 시작한 16~17세기에는, 관측에 도움이 되는 여러가지 기구들이 고안되었다. 그 중에서도 피렌체의 아카데미아 데르 티멘트(실험학회)의 업적은 유명하며, 온도계도 이 그룹들에 의하여 실용화되었다. 이전에는 갈릴레이나 드레벨(1573~1633)이 온도의 고저를 알 수 있는 간단한 온도계를 만들기는 하였지만 대기의 압력이 알려진 이 시대에는 이르러서 비로소 기압변동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하여 끝을 봉한 실용적인 알코올 온도계가 만들어졌다. 그 후 기상 관측에는 알코올 온도계가 많이 쓰여 공기의 성질이 점차 해명되었다. 영국에서 처음..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1. 6. 19. 건축환경실험 | Thermocouple TIP 열전대를 통해 물질의 온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설비공학과의 경우 구조체 내부의 온도, 파이프 내부의 온도, 펌프 내부의 온도 등 다양한 물질의 온도를 전선을 통하여 좀 더 안전하게 측정을 하고 각 물질에 따라 전류가 통하고 그 통한 것이 어떠한 온도를 구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Thermocouple(열전대) 두 종류의 금속을 조합하였을 때 접합 양단의 온도가 서로 다르면 이 두 금속 사이에 전류가 흐른다. 이 전류로 2접점 간의 온도차를 알 수 있다. 이 열전기(熱電氣)의 현상을 이용하여 고열로(高熱爐)의 온도를 측정하는 장치를 열전대라고 하며, 1821년 제베크는 두 종류의 금속 A, B를 접합하고, 양 접점에 온도를 달리 해주면 온도차에 비례하여 열기전력이 생긴다는 것을 발견..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1. 6. 18. 건축환경실험 | 여러 가지 요인에 따른 교통소음 측정 우리주변에서 끊임없이 발생되고 있는 음의 존재는 필요 불가결한 물리 현상으로 인간의 생리적, 심리적 요인으로 직접적으로 작용하고 있다. 가장 빈번한 소음 문제로는 누군가에 의해 어느 특정음을 소음으로 단정하여 당국에 시정을 요구한 경우로 우리 주변에서 종종 찾아볼 수 있다. 공장 소음을 부근의 주민이 당국에 진정한 경우, 주택가 주변의 소음, 자동차에 의한 소음, 공장 조업 시 기계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진정한 경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대부분은 항시 소음원이 존재하며 문제시되는 음을 찾아 원인을 조사하여 방지대책을 수립함으로써 문제점을 제시한 사람을 만족시키면 문제는 해결된다. 우리는 왜 소음을 문제 삼고 그 문제를 찾아 해결하려고 하는 것일까? 소음의 발생으로 나타나는 소음의 영향은 ..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1. 6. 16. 건축환경실험 | 환경 소음 측정 TIP 우리가 쉽게 주위에서 접할 수 있는 소음이라고 생각하는 소리를 측정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소리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힌다. 소음의 기준 소음 기준은 소음의 영향을 받는 대상 즉, 근로자의 청력보호를 위한 작업환경 측면과 제 3자에게 쾌적한 생활을 보전하기 위한 생활환경 측면으로 구분하여 설정된다. 전자는 공장 등에서 일하는 근로자의 청력보호를 위해 1일 8시간 일하는 사업장 내의 소음 수준을 90d(A)로 정하여 관리하도록 “산업안전보건법”에 규정하고 있다. 후자의 경우는 소음원으로는 교통기관, 공장, 공사장 및 확성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소음으로 주민들은 정온한 생활환경을 어느 정도이든 상실하기 마련이다. “환경정책기본법”에 정부가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하여 지역.. Engineering/건축 | 토목 | 수리 공학 2021. 6. 15. 유체역학실험 | 유체역학 - 페트병 TIP 생수 2L를 빨대 최대 2개까지 사용하여 훼손하지 않고 빠른 시간 안에 물을 다 빼는 방법을 연구하며 유체에 대해 더 알기 위함이다. 실험 기구 및 시약 1. 실험 재료 1) 생수 2L, 빨대 2개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빨대 두 개를 이용하여 생수통 입구 벽에 갖다 대고 세게 불었다. [유체역학실험]유체역학 - 페트병 레포트 1. 실험 목적 가. 생수 2L를 빨대 최대 2개까지 사용하여 훼손하지 않고 빠른 시간 안에 물을 다 빼는 방법을 연구하며 유체에 대해 더 알기 위함이다. 2. 실험 기구 및 시약 가. 실험 재료 1) 생수 2L www.happycampus.com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14. 일반물리학실험 | 미끄럼과 마찰 TIP 1. 나무토막에 무게를 더할 때마다 끌리는 힘과 그에 따른 마찰 계수를 구한다. 2. 마찰 블록과 도르래와 추와 클립 등을 이용하여 마찰 블록의 미끄럼과 마찰에 대하여 측정한 후 정지 마찰력에 대하여 알아본다. 3. 마찰력의 종류와 원리에 대해 알아보고 물체의 미끄럼 마찰력을 구하여, 수직항력, 접촉면의 재질, 접촉 면적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본다. 1. 마찰력 : 미끄럼 정도와 마찰 관계를 알아보고 자 물체가 다른 물체에 접촉하여 미끄럼 운동을 시작하려고 할 때, 또는 미끄럼 운동을 하고 있을 때 접촉면에 운동을 방해하려고 하는 힘이 생기는 현상 2. 정지마찰력 : 정지해 있는 물체에 외력을 작용하여도 물체가 계속 정지하고 있을 때의 마찰력이다. 정지 마찰력은 외력과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방향으.. Engineering/물리학 2021. 6. 14. 유체역학실험 | Laminar Flow TIP Laminar flow(층류)일 때 유체의 흐름을 가시적으로 확인해 보는 실험으로 잉크를 사용하여 stream line 형성을 확인한 후 여러 가지 solid 를 배치하여 유체 흐름의 형태 변화를 알아본다. 층류 (Laminar flow) 속도가 작을 때 유체는 측방 혼합(lateral mixing)이 없이 흐르게 된다. 마치 카드놀이에서처럼 인접한 층이 다른 층을 미끄러져 흐른다. 여기에는 교차흐름(crosscurrent)이나 에디(eddies)가 없다. 이러한 상태를 층류(Laminar flow)라 한다. 속도가 커지면 난류(Turbulent flow)가 생기고 에디가 발생하여 측방혼합이 일어나게 된다. 층류 유동시는 유동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전단응력은 유동하는 유체가 Newton유체라면 Ne..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13. 유체역학실험 | 레이놀즈 유동 시험 TIP 실제 유체의 유동은 점성의 존재로 대단히 복잡하게 진행한다. 유체에 점성의 영향은 임계 레이놀즈수를 기점으로 층류와 난류로 구분하는데 그 경계면의 유동을 천이구역이라고 한다. 레이놀즈수 측정 실험 장치를 통하여 유속 변화에 따른 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 모양을 시각적으로 관찰한다. 유체의 흐름이 층류인지 난류인지를 파악한 후 각각의 평균 유속을 측정하여 레이놀즈수를 계산하고 Reynolds 수와 파이프내의 유체의 흐름형태 (층류, 난류, 천이영역)의 상관관계를 이해한다. 아울러 장치의 조작 방법을 습득한다 층류와 난류 1883년 Osborne Reynolds 는 수평 유리관에 유체를 흐르게 하고 관 입구에서 노즐을 통하여 잉크를 흘려 유량의 변화에 대한 잉크의 흐름 현상을 실험하여 관찰하였다. ..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12. 단위조작실험 | 물과 페놀의 온도-조성 TIP 1. Binary liquid system에 있어서 온도-용해도 곡선을 작성하려 한다. 2. 물과 페놀을 각종 비율로 혼합하여 상호 용해도를 측정하고 이 계의 임계공용(용해)온도를 조사한다. 물-페놀 계에서 매우 희석되면 완전 동일 상이 되고, 농도가 짙으면 불균일상이 된다. phase(상) 물리학 화학용어로 어떤 물질이 어느 부분에서건 물리적 화학적으로 같은 성질을 같은 성질을 나타낼 때를 표현하는 것이다 기체상 액체상 고체상이 존재하고 하나의 상으로 이루어지는 균일계 2개 이상의 상으로 이루어지는 불균일계로 나뉜다. 어떤 물질의 어느 부분을 취해도 물리적/화학적으로 같은 성질을 나타낼 때 그 물질은 하나의 상을 이룬다고 한다. 예를 들면 공기는 질소 산소 및 그 밖의 기체의 혼합물이나, 혼합은..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10. 단위조작실험 | 습도측정 TIP 건습구 온도계를 이용하여 공기의 상대습도를 측정하는 방법을 익히고, fortin형 기압계의 사용법을 배운다. 습도 상대습도라고 부르는 것이 원칙이지만 보통 습도라고 한다. 대기 중의 수증기의 표현법으로서는 이밖에 혼합비·수증기압·비습(比濕)·이슬점온도 등이 있다. 1. 상대습도 단위부피의 공기 속에 함유되어 있는 수증기의 질량과, 그 온도에서 단위부피 속에 함유할 수 있는 극한(極限)의 수증기 밀도와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2. 절대습도 절대습도란 습윤공기 1㎥ 의 체적 속에 포함된 수증기의 질량(g). 3. 포화습도 수증기로 포화 상태가 된 공기(포화 공기)의 온도(溫度)를 절대 습도(absolute humity, specific humidity)로 나타낸 값을 포화 습도라고 한다. 4. ..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21. 6. 9.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