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신재생에네지실험 | 전해질막 특성평가 TIP 1. 상업용 이온교환막을 사용하거나 또는 제조할 때에는 이온교환막에 대한 물리적 혹은 전기화학적 특성들을 분석하여야 한다. 2. 이온교환막의 성능을 파악할 수 있는 특성으로 가장 많이 분석하는 항목으로 이온교환막의 전기저항, 막의 선택성(이동수), 이온교환용량, 그리고 수분함량 등이 있다. 3. 여기서는 이온교환막에서 각 특성들이 나타내는 물리적인 의미와 함께 그 분석법에 대해서 살펴 보도록 하겠다. 실험 방법 1. 실험 과정 1) 건조막지급(Nafion) : 건조막자르기(2×2), 가로,세로,두께 측정, 건조막 무게측정(Wdry ) 2) 0.5M H2SO4준비하기 준비된 0.5M H2SO4 25㎖에 건조막을 넣은 후 3일간 stirring 하여 이온교환막내의 작용기가 acid 형태(e.g. -S.. Engineering/에너지공학 2023. 4. 29. 일반생물학실험 | 수분 함량의 측정 TIP 1. 자유수와 결합수의 의미를 이해한다 2. 수분 함량 측정을 통한 수분의 특성을 이해한다. 3. 건조법을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계산하고 수분함량 측정법을 익힌다. 수분의 특성 식품에 있어서 수분은 다른 탄수화물, 지방 그리고 단백질과 함께 매우 중요한 성분으로써 식품의 품질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미생물이나 여러 화학반응의 촉매제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에 적함한 수분의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으며 수분의 일반적 틍징은 다음과 같다 1. 대부분 식품의 총질량의 60~95%를 차지한다. 2. 액체, 고체,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3. 체온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영양분 및 분비물 수송의 역할을 수행한다. 4. 화학반응의 주체 및 중간 역할로써 식품으 l여러 화..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1. 6. 6. 일반화학실험 | 수화물 결정의 성질과 수분 함량 TIP 수화물 결정의 성질을 알아내고 수분함량을 측정한다 많은 이온 화합물들은 수용액으로부터 침전을 형성하게 되면 고체의 이온 결정에 물 분자가 결합하게 된다. 이온성 수화물 또는 수화된 화합물이라 불리는 이와 같은 화합물은 결정격자 안에 물 분자를 포함하게 된다. 수화물 이온화합물이 수용액으로부터 침전을 형성하게 되면 고체의 이온결정에 물분자가 결합하게 되는데, 이렇게 물분자와 결합하는 과정을 수화라고 하고 결정 내에 물분자를 포함한 화합물을 수화된 화합물(수화물)이라 한다. 실험 방법 1. 수화물 결정의 성질 1) CuSO4·5H2O, CoCl2·6H2O, Ni(NO3)2·6H2O를 1.0g 정도씩을 화학저울로 정확히 측정하고 미리 무게를 단 시험관 3개에 각각 넣는다. 2) 시료가 들어 있는 각각의.. Chemistry/일반화학 2021. 5. 9. 물리화학실험 | 바이오매스의 수분 및 회분함량 측정 TIP 건조를 통해 바이오매스 입자표면에 흡착된 수분의 함량을 측정하고, 연소 후 남은 무게변화로부터 회분함량을 측정해봄으로써 바이오매스와 같은 입자의 물리적 성질을 이해한다. 바이오매스 어느 시점에 임의의 공간내에 존재하는 특정한 생물군(生物郡)의 양을 중량이나 에너지량으로 나타낸 현상. 생물체량(生物體量) 또는 생물량이라고도 한다. 생물체를 열 분해 시키거나 발효시켜 메탄ㆍ에탄올ㆍ수소와 같은 연료, 즉 바이오매스 에너지를 채취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생물량은 생물 생산에 따라 증가하는데 군집의 호흡량ㆍ고사탈락량ㆍ피식량 등을 공제한 것이 축적량이 된다. 생태계에 있어서는 영양 단계가 낮은 생물군의 생물량이 많고, 이것을 먹는 고차의 생물군의 생물량은 적다. 바이오매스는 지구상의 생물권에는 동식물의 .. Chemistry/물리화학 2020. 7. 12. 식품분석학실험 | 수분 및 조회분 분석 TIP 수분분석과 조회분 분석을 하여 시료의 수분량과 조회분의 량을 측정 해보는 실험이다. 수분분석 시료를 일정량 평취하여 적당한 방법으로 수분을 제거한 후 재차 평량하여 수분을 제거한 전후 중량의 차를 수분량으로 하여 계산하는 방법이다. 수분은 영양소는 아니지만 식품의 품질평가에 있어서는 가장 기본적인 항목이다. 수분측정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시료 자체의 수분이 변화하기 쉬우므로 조금만 부주의하면 방습 또는 흡습하게 되므로, 수분의 증감현상을 막고 시료 전체를 대표 할 수 있는 랜덤한 시료의 조제가 요구된다. 즉, 분쇄 후 공기 중에 뒀다가 측정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으깬 시료의 표면적이 넓어 수분을 잘 흡수하기 때문에 물질의 수분을 측정함에 있어 오차가 날 수 있다. 수분량이 적으면 저장에 용이하고 ..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20. 7. 2. 분석화학실험 | 결정수 정량 분석 TIP 1. 일정한 BaCl2 수화물을 가열하여 물을 제거하고 수화된 물의 실험값과 이론값을 구하고 수화 BaCl2의 실험식을 예측한다. 수화 BaCl2의 화학식을 결정한다. 2. 화합물을 가열하여 물을 제거하고 수화된 물의 실험값과 이론값을 구하고 수화 화합물의 실험식을 예측한다. 3. 수화된 형태와 무수물로 변화된 형태의 화합물의 질량을 비교함으로써 수화된 무질의 실험식을 예측한다. 4. 순수한 시료 염화바륨 BaCl2·2H2O이 105℃ 가 되게 조절한 전기건조기에서 건조시켜 감소한 질량을 측정하고, 수분 함유량을 계산하여 이론적 결정수와 비교해 본다. 결정수(water of crystallization) 물질에 물 분자가 혼합된 것을 의미한다. 젖어있다는 의미(액체)가 아니라 특정물질의 분자구조에.. Chemistry/분석화학 2020. 6. 8. 환경공학실험 | 폐기물 성분분석 및 열중량 감량분석 TIP 종이, 나무, RDF, 플라스틱의 물리, 화학적 성상을 분석 할 수 있다. Meaning of Experiment 쓰레기의 성분은 수분함량, 겉보기 비중, 조성, 원소 분석치, 발열량 등의 물리, 화학적 성질에 따라 그 특성이 규정된다. 쓰레기의 분석에는 많은 노력과 시간을 요하며, 그 지역의 쓰레기 성상을 파악하는 데는 적어도 연 4회(춘하추동의 각 계절마다 1회)의 측정이 필요하다. 그리고 수분의 평균치를 알기 위해서는 비 오는 날은 수집을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쓰레기 채취는 될 수 있는 한 신속하게 작업해야 하며 1회의 채취는 적어도 쓰레기의 축소작업 개시부터 30분 이내에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축소시료 전량을 비닐시트 위에서 다음의 10종류의 조성으로 손 선별하고 각 조성별로 무게.. Engineering/환경 | 토양 | 폐기물처리 공학 2020. 3. 3. 일반생물학실험 | 수분함량의 측정 TIP 1. 자유수와 결합수의 의미를 이해한다 2. 수분 함량 측정을 통한 수분의 특성을 이해한다. 3. 건조법을 이용하여 수분함량을 계산하고 수분함량 측정법을 익힌다. 수분의 특성 식품에 있어서 수분은 다른 탄수화물, 지방 그리고 단백질과 함께 매우 중요한 성분으로써 식품의 품질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으나 미생물이나 여러 화학반응의 촉매제의 기능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에 적함한 수분의 함량을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수 있으며 수분의 일반적 틍징은 다음과 같다 1) 대부분 식품의 총질량의 60~95%를 차지한다. 2) 액체, 고체, 기체 상태로 존재한다. 3) 체온을 일정하게 조절하고 영양분 및 분비물 수송의 역할을 수행한다. 4) 화학반응의 주체 및 중간 역할로써 식품으 l여러 화.. Biology/일반 | 세포 생물학 2020. 2. 6. 식품분석학실험 | 식품의 수분함량 측정 물은 생체 및 식품에 필수성분으로 존재하며, 그 식품의 형태나 구조 또는 맛에 큰 영향을 주고 또 그 함량은 식품의 품질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세포가 생명활동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물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를 미생물의 발육에 적용하여 생각해 보면 식품에서의 수분이 식품 내 미생물의 증식에 큰 결정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물은 식품의 품질 특성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므로 식품에 있어서 물의 특성을 충분히 파악하는 것은 품질 보존상 매우 중요하다. 식품중 수분의 존재 상태 식품 속에 존재하는 물은 자유로이 운동할 수 있는 물과 식품 성분에 결합한 물의 두 가지 형태로 구분하여 생각할 수 있다. 전자를 유리수(free water) 또는 자유수라고 하며 식품을 건조시키면 쉽게 제거되고 .. Engineering/식품 영양 | 공학 2019. 10. 1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