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섬유화공실험 | 나일론 6,6의 계면중축합 TIP Nylon 6,6을 제조하여 보고 구성성분을 파악하고 제조원리를 이해하며 반응 원리를 알아보자. 나일론은 나일론mn 및 나일론m으로 나누어지는데 전자는 디카르복시산(dicarboxylic acid) 및 디아민(diamine)이 반응하여 아미드기를 형성하는 경우로 디아민에 포함된 탄소의 수를 m, 디카르복시산에 포함된 타소의 수를 n으로 나타낸다. 또한, 아미드기는 아민기와 카르복시산기를 동시에 갖는 단량체로부터도 형성 될 수 있으며, 이때 단량체에 포함된 탄소의 수를 m이라고 하며 나일론 m이라 명명한다. 나일론6,6는 헥사메틸렌디아민(hexamethylenediamine)과 아디핀산(adipic acid)를 원료로 하여 탈수축합반응으로 합성한다. 그러나 실험실에서는 산염화물을 이용하여 저온에서 ..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2. 10. 25. 유기화학개론 | 라디칼(Radical) TIP 1. 라디칼의 정의 2. 자유라디칼 [Free radical] 3. 자유라디칼 중합반응과 그 메커니즘 4. 안정한 라디칼 5. 불안정한 라디칼 6. 자유 라디칼의 자기적 성질 라디칼의 정의 라디칼(radical, 基)은 자유 라디칼(free radical)이라고도 하며 화학에서 적어도 1개 이상의 홀전자를 포함한 분자를 말한다. 대부분의 분자들은 짝수 개의 전자를 갖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분자 내에 원자들을 결합시키는 공유결합은 원자들이 전자쌍을 공유함으로써 결합을 형성한다. 대부분의 라디칼은 정상적인 전자쌍 결합이 쪼개짐으로써 생성된다. 결합이 끊어지면 모든 분자는 2개로 쪼개지며, 이들은 깨진 결합에서 생성된 1개의 홀전자와 그의 나머지 부분은 정상적인 전자쌍을 이루고 있는 원자들로 이루어져 .. Chemistry/유기화학 2021. 2. 16. 유기화학실험 | 중합반응 TIP 1. 스타일렌의 현탁중합을 통해 중합반응에 대해 이해하고 폴리 스타일렌을 합성해 본다. 2. 중합반응의 종류에 대하여 공부한다. 중합반응을 통해 얻어지는 화합물에 대하여 알고 중합반응을 이해한다. 중합(Polymerization) 단위체가 화학반응을 통해 2개 이상 결합하여 분자량이 큰 화합물을 생성하는 반응 원래의 분자량의 정수배의 분자량을 갖는 물질 1. 단위체 : 중합체(polymer)의 원료 2. 중합체 : 중합에 의하여 생성된 화합물 3. 중합도 : 고분자를 구성하는 반복된 단위의 수 중합반응의 방법 1. 벌크 중합 ① 단량체에 그대로 소량의 개시제를 가해서 중합시키는 방식 ② 축합중합체를 만드는데 이용 2. 용액중합 ① 단량체, 용매, 개시제를 사용하는 중합 ② 가능한 한 연쇄이동을 적.. Chemistry/유기화학 2021. 1. 24. 일반화학실험 | Synthesis of Nylon TIP 1. 대부분의 나일론은 디아민과 디카르복시산의 축합중합에 의하여 합성된다. 2. 일상생활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나일론을 카르복시산과 아민화합물로부터 합성해 본다. 3. 염화세바코일과 헥사메틸렌다이아민으로부터 폴리아미드인 나일론을 합성해본다. 4. 최초의 합성 고분자였던 나일론의 합성을 통하여 고분자의 특성을 이해한다. 5. 실험을 통해 제조한 물질이 나일론인지 확인해 본다 6. 나일론 6.10(poly(hexamethylene sebacamide))의 합성을 해봄으로써 중합 방법중의 하나인 계면축합중합을 습득함이 그 목적이 있다 나일론(Nylon)의 합성 일반적으로 많은 수의 단위체(monomer)들이 반복적으로 결합된 분자를 고분자(polymer) 또는 거대분자(macromolecule)라고 한.. Chemistry/일반화학 2020. 3. 19. 일반화학실험 | 플러버(얌채볼, 탱탱볼) 만들기 TIP 1. 플라스틱 같기도 하고, 고무(rubber)같기도 해 플러버로 불리는 것이 있다. 쫙쫙 늘어나 얇은 막처럼 보이던 것이 어느새 통통 튀는 얌체공이 된다. 2. 플러버의 제조원리와 성질을 이해하고 플러버를 직접 만들어본다. 3. 중합반응을 이해한다. 붕사는 테트라 붕산나트륨이(Na2B4O7·10H2O)라는 붕산의 원료 광물로써 비누, 의약품 등에 이용된다. 또한 붕사는 물에 녹으면 알카리성을(pH 9) 나타내는데, 물에 녹은 용액이 풀속의 PVA분자와 PVA분자 사이에 끼어 분자 사이를 거대한 사술로 연결시키기 때문에 덩어리가 지며 굳으면서 말랑한 공이 됩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모양의 물체는 고무의 특징을 갖게 되고 합성고무는 탄성이 크기 때문에 잘 튀게 됩니다 PVA(폴리비닐알콜)는 비닐 알.. Chemistry/일반화학 2020. 3. 14. 고분자공학실험 | 현탁 중합 TIP 1. Styrene과 Dibinylbenzene 을 중합하여 polystyrene 을 직접 합성할 수 있으며 중합반응중의 하나인 현탁 중합에 대해서 이해 할 수 있다. 2. 현탁중합에 있어서 생성되는 중합체의 크기나 모양에 영향인 교반 속도가 빨라질수록, 교반 시간이 길어질수록, 온도가 높아질 수록 현탁중합에서 생성물의 입자의 크기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이해하며 수득률을 구해본다. 고분자(高分子, macromolecule)는 분자량이 1만 이상인 큰 분자를 말한다. 100개 이상의 원자로 구성되어 있다. 대개 중합체이다. 물질의 성질로서는 첫 번째로 분자량이 일정하지 않아 녹는점과 끓는점이 일정하지 않고 ,두 번째로 액체 또는 고체로 존재한다. 세 번째로는 반응을 잘 하지 않아 안정적이다. 단량체는..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20. 1. 15. 화학공학실험 | PMMA 벌크 중합 TIP 1. Bulk중합법(모노머:MMA, 개시제:AIBN)을 습득하고 free radical mechanism으로 진행되는 중합반응을 이해한다. 또 다양한 분석기기를 통해서 중합한 PMMA의 물성을 알아본다. 2. MMA(Methylmethacrylate)를 단량체로 이용해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을 통하여 고분자형태인 PMMA (Polymethylmethacrylate)을 만들고 개시제 농도에 따른 용해도 및 IR, DSC 측정값을 통해 이론치와 비교하여 실험원리를 이해하고 차이점을 검토한다. 단량체, 개시제만으로 간단히 중합체를 얻을 수 있는 벌크중합(Bulk polymerization)은 기체 및 고체 상태에서도 가능하지만 주로 액체 상태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많다. 이 중합방.. Engineering/화학 공학 | 단위조작 | 유체역학 2019. 12. 15. 고분자화학개론 | 고분자의 이해 TIP 1. 고분자의 개요 2. 고분자 화학의 발전 3. 고분자(高分子, macromolecule) 4. 고분자 화합물 5. 고분자의 성질 6. 고분자 화합물의 종류와 용도 1. 고분자의 개요 고분자화합물의 합성은 오래 전인 19세기에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만, 20세기 초반기까지의 셀룰로오스·고무 등의 천연 고분자에 대한 수많은 연구를 모체로 하여 1930년경 슈타우딩거에 의하여 처음으로 사슬모양 고분자의 개념이 명확히 제출된 이래, 고분자화학은 물리화학적 방법가지 받아들여 눈부신 발전을 하기에 이르렀다. 특히 40년 이후의 발전은 경이적이며, 현재도 이루 헤아릴 수 없는 새로운 고분자화합물들이 합성되고 있으며 새로운 합성방법이 연구되고, 또 이들의 특성이 연구되고 있다. 학문적으로는 현재 화학분야 중 가.. Engineering/고분자공학 2019. 10.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