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석화학실험 | 미지시료의 식염정량 TIP 침전반응을 이용하여 종말점까지 적정 소비량을 구하여 정량하는 침전 법의 원리와 이를 응용하여 염화물의 정량에 많이 이용되는 Mohr법을 이해한다. 염화이온을 Mohr법으로 정량하는 방법은 100여년전에 개발되어 오늘날까지 사용되고 있다. 물론 브롬화이온, 시안화이온 등의 적정법에도 쓰이고 있지만, 대부분 염화물을 적정하는 방법으로 쓰이고 있다. 이 방법은 pH 6.5~10.5와 같이 약 알칼리성이 아니면 실험 오차가 크다는 결점이 있지만, 실험방법이 비교적 간편하여 김치, 간장 등의 식품의 식염정량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수돗물중의 염화물 이온 함유량을 구하는 데에도 많이 쓰이고 있고, 인간의 체내에서 풍부한 음이온으로서 양이온과 함께 세포 외액의 삼투작용에 기여하며 위액의 성분으로써.. Chemistry/분석화학 2020. 9. 12. 분석화학실험 | Mohr법과 Fajans 법을 이용한 NaCl의 정량 TIP 1. 침전 생성반응을 이용한 침전 적정법 중에 Mohr법과 Fajans법을 이용하여 NaCl을 적정하였다. 2. NaCl을 정치하여 H2O에 녹인 후 지시약으로 10% K2CrO4를 1㎖ 가한 다음 노란색에서 적갈색이 될 때까지 0.1N -AgNO3로 적정하는 Mohr법의 결과, NaCl의 함량은 99.705%로 측정되었다. 3. Fajans 법으로 NaCl을 정치하고 H2O에 녹인 후 흡착지시약인 0.2% Fluorescein 10방울을 가한 용액을 0.1N -AgNO3로 황록색에서 분홍색이 될 때까지 적정하였다. NaCl의 함량은 100.187%로 측정되었다. 실제로 NaCl의 함량은 99.5%로 Mohr법이 비교적 오차가 적음을 알수 있었고, 두 방법의 결과가 같지 않았다. 침전적정법(per.. Chemistry/분석화학 2020. 7. 25. 이전 1 다음 반응형